관련 강의
실전준비반 - 한 달안에 투자할 아파트 찾는 법
권유디, 너나위, 코크드림, 자음과모음

자모님 강의는 참 재밌다. 이해도 잘되고 귀에 쏙쏙 들어온다. 나도 회사 업무랑 발표할때 참고해야지!ㅎㅎ
투자는 완벽하게 하는게 아니다. 보완하고 조정해서 앞으로 나아가야 한다.
종잣돈을 가지고 가장 좋은 것 한개를 매수하자.
#. 시세
나는 시세딸때가 가장 힘들다. 반복+지루한 작업을 하면 온몸이 좀쑤신다.
시세딸때는 즐거운 노래 들으면서 생각 빼고 하자. 그리고 하루 10개씩 or 30분 정해놓고 하는것도 괜찮은 방식인듯!
시세는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 임장보고서
임장보고서를 쓰는 이유는 가치를 확인해서 저평가인 것을 뽑아내는 것이다.
입지분석을 통해 땅의 가치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내가 가치를 알고 가격에 대한 확신이 있을 때 투자를 하는 것임을 잊지 말자.
임보 마지막 장표에는 <저환수원리> 장표가 정리된 것이 반드시 있어야 한다.
저평가
환금성
수익성
원금보존
리스크관리
내가 늘린 앞마당에서 비교단지를 생각하며 진입해보자.
같은 가격 중 가장 좋은 단지일까? 이 가격, 이 투자금으로 할 수 있는 더 좋은 것이 없을 까?
같은 투자금이면 더 싼 물건이 있지 않을까? ★
내가 갖고 있는 투자금으로
내 임장보고서에는 4가지가 정리되어 있어야 한다.
1. 내가 투자하는 물건이 있는 지역의 입지는 어떠한가
2. 내가 투자하는 단지 입지는 어떠한가
3. 투자할 수 있는 지역 중 가장 좋은 지역인가
4. 투자할수 있는 단지 중 가장 좋은단지인가
>> 이 과정을 거쳐야 매수-보유-매도 결정을 스스로 내릴 수 있다.
#. 투자범위
1~4생활권 중에서 -> 1~3생활권정도 까지 띵크
제일 별로인 생활권은 제끼고 -> 입지가 제일 좋은 생활권과 2~3번째 생활권을 바운더리 내에서 분석할 것.
가치가 있는 것 -> 저평가
#. 비교평가 = 저평가
동일 투자금 내에서 더 저평가되어 있는 단지는 무엇일까?
사람들이 좋아하는 단지의 분위기: 20평~40평대 섞여 있는 곳임
<비교평가 순서>
1. "지역 내" 비교평가가 먼저임.>> 지역 내에서 같은 매매가 기준에 저평가 된거 없는지 확인
2. 투자금 기준으로 "지역 간" 비교평가를 실시해야 함.
투자금 기준으로 먼저 뽑는게 아니라 그 지역 안에서 저평가된게 무엇인지 먼저 확인하고 > 투자금(ex. 3억: 11*7 vs 9*6 vs 11*8)으로 넓혀야 한다.
#. 투자까지의 순서
1. 단지가치 -> 투자범위 -> 선호도를 고른다
2. 저평가된 물건 고르기
3. 내 투자금에 맞는 것의 교집합을 고른다
>>> 여기서 매물임장할 물건을 고른다. (2번, 3번의 교집합이 매물임장)
월부는 취미다.
지난 7월은 출장 + 휴가 + 회사 워크숍으로 정말 바빴다.
집오면 녹초였고, 이상하게 회식이 많아 취미가 또하나의 짐이 된 느낌이었다.
하지만 8~9월은 월부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이 되었기에
자모님 말씀처럼
반마당이 되버린 내 서대문구를 8월 강서구 서투기 하면서 앞마당으로 보완해야겠다.
댓글
탕탕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