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제1부 그릿이란 무엇인가
성공하는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그릿 : 강한 회복력, 근면, 원하는 것의 이해, 결단력, 뚜렷한 방향성
1부를 통해서 그릿의 개념을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단순히 열심히 노력하는 것이 아닌, 스스로에게 열정의 대상을 찾고 그 열정의 대상을 발전하기 위한 부단한 노력을 하는 것 그리고 그 결과가 자신을 이롭게 하는 것에 더해서 세상(타인)을 이롭게 하는 것의 개념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세상을 이롭게 하는 것이라는 넓고 숭고한 개념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에 과거에 투자 초반에 읽었던 그릿이라는 것에서, 기버 활동을 하면서 나 자신과 타인이 더 나아지는 것을 고민하면서 그릿이 품고 있는 더 넓은 의미를 상기시킬 수 있었습니다.
그런 면에서 있어서 부동산 투자라는게 그릿과 잘 맞을 수 있다는 것도 더 느낄 수 있었습니다. 투자의 빠른 이해에서는 재능이라는 것이 도움이 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우리가 하고 있는 아파트라는 투자대상을 보다 더 이해하기 위해서는 번뜩이는 아이디어도 필요하지만, 보다 많은 대상을 눈으로 보고 발로 걷고 손으로 정리하는 시간과 노력의 영역이 보다 더 중요하다는 것을 그릿과 연결시킬 수 있었습니니다. 성취는 재능 X 노력2가 딱 이 투자의 영역에 맞다고 생각합니다.
투자를 하기 전에는 겉으로 보이는 재능의 영역을 생각했다면, 투자를 한 이후에는 불로소득이 아닌 노력의 산물이라는 것. 재능 같아 보이는 결과가 사실은 무수히 많은 연습과 노력의 과정들이 합쳐진 것이라는 점들을 알 수 있었습니다. “아무도 예술가의 작품 속에서 그것이 완성되기까지의 과정을 보지 못한다.” (니체)
-워런 매켄지 : 양적인 노력, 90세에도 매일 물레는 돌리는 꾸준함
-존 어빙 : 재능이 없더라도 노력하면 천성이 된다는 것, 지구력, 가장 잘하는 일은 고쳐쓰기, 단점이라고 생각한 것들이 장점이 된다는 것(유창하지 못함과 맞춤법에 서툰 것이 느림과 검토의 장점이 된다) : 긍정적 사고
-윌스미스 : 근면성, 포기하지 않는 마음과 행동
-우디 앨런 : 출석만 하면 8할은 성공이다. 시작의 중요성과, 하나의 완성에 대한 중요성
그릿을 다루지만 열정의 지속성과 최종목표(상위목표)에 대한 것들이 그릿에 녹아 있는 것들을 보면서 '나는 왜 이 일을 하는가', '원씽' 등 성공하는 것들의 중요한 개념들이 각자가 아닌 하나의 거대한 개념이라는 것을 생각해볼 수 있었습니다.
그릿을 기르는 네 가지 관점인 관심, 연습, 목적, 희망 중 깊게 생각해 본 것과 혹은 놓치고 있던 것이나 잘 모르는 관점에 대해서도 더 생각해볼 수도 있었습니다. 요즘 느끼는 것은 목적(열정)에 대한 것인 것 같습니다. 투자에 있어서 세상을 더 이롭게 하는 것의 열정을 품고 있고, 그 과정에서의 어려움들을 고민하지만 그 목적이 선명도가 시간이 필요한 것인지 더 큰 노력이 필요한 것인지의 어려움을 겪는 것 같습니다. 성취까지의 과정에서 할 수 있는 것, 통제할 수 있는 것 그런 즐거움이나 노력 혹은 희망에 대한 점들을 더욱 의식적인 노력으로 키워가야겠습니다.
제2부 ‘포기하지 않는 나’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 내 안에서 그릿을 기르는 법
그릿의 시작점이자 그릿을 유지하는 것에서 열정의 지속에 대한 점들을 많이 볼 수 있었습니다. 그런 면에서 해보는 것의 중요성을 책을 읽으면서 배울 수 있었습니다. 도전과 행동 그리고 끈기 있는 시간. 열정과 관심사를 찾는 것도 무수히 많은 경험과 도전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동시에 나는 어떤 경험들을 하였는가, 다양한 삶의 경험들을 충분히 하였는가 하는 생각도 들었고, 현재 하고 있는 것들이 익숙해짐에 따라 도전과 경험을 통한 가치를 찾고 그릿을 키우는 것에 대해서 부족하지는 않았는지 더 돌아보게 되었습니다.
자기 일에 대한 열정을 발견하는 것은 시작일 뿐 그 열정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고 평생 심화시켜야 한다
처음부터 완벽할 수 없고, 꾸준히 해봐야 한다. 열정을 발견하는 것은 시작, 그 열정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고 심화시켜야 한다는 것들이 크게 와닿았습니다.
열정의 대상을 찾기 → 발견 → 발전 → 파헤치기, 함께하기, 멘토 만나기
이 과정에서 부족한 것들은 무엇인지, 발전의 단계와 파헤치는 것 그리고 기버 오프모임에서 배웠던 많은 시도를 통한 실패와 올바른 발전에 대한 것들도 생각났습니다.
높은 목적의식, 목적 개념의 핵심은 우리가 하는 일이 자신 외의 사람들에게도 중요하다는 생각이다. 골든_벽화 "예술은 생명을 구해주니까요." // 갈로니_와인평론가"사람들의 미각을 일깨워주는 일."
그릿의 목적의식을 보면서, 사람이 행복을 느끼는 세가지 요소와도 큰 관계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하나는 가치와 발전 성장에 대한 점. 하나는 즐거움에 대한 점. 그리고 하나는 사회적인 관계에 대한 점들입니다. 그에 대한 것들이 목표를 달성해가는 면인 그릿에 하나하나 녹아져 있다는 것을 생각해볼 수 있었습니다.
그릿이라는 것이 단순히 노력에 대한 것을 넘어, 나 자신을 알아가는 과정이며 그 속에서 성장하기 위한 올바른 방법에 대한 것을 의미한다는 것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적용할 점들이 무수히 많지만, 단 하나의 적용점을 생각한다면 "도전하는 것" 도전과 경험, 그리고 열의와 목적을 통한 그릿의 실현입니다.
(마지막으로 내가 읽은 책의 페이지나 책 표지를 대표사진으로 꾹 클릭해주세요.)
댓글
부주낙낙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