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나눔방

[전생] 지방광역시, 중소도시 월별 입주물량 25년 3분기

  • 25.08.03

안녕하세요 전생입니다.

 

지방광역시, 중소도시 월별 입주물량 

3분기 업데이트 입니다.

 

입주물량 업데이트하면서 간단한 생각을 적으면서 

 

복기한다는 느낌으로 적은것이니 

 

참고하여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전체적인 판단의 인사이트를 주신 

제주바다님께 감사드립니다.

 

 

 

 


1. 부산광역시

부산은 상급지의 입주물량의 거의 끝나가고

2년뒤 남구의 입주물량만 해결되면 

앞으로의 리스크는 없는거 같습니다.

 

 

 

 

 

 

2. 경상남도

창원은 성산구 상남동에 큰 입주물량 말곤 2년뒤엔 

아예 없어서 투자리스크는 없을거 같습니다.

 

 

 

 

 

 

3. 대구광역시

대구는 현재까진 입주물량이 많아보이지만 

대단지급의 물량이 없어서 입주물량이 현저히 적습니다.

 

 

 

 

 

 

 

4. 경상북도

경북은 포항 외에는 크게 입주물량이 없으며 

4개의 행정도시를 같이 보기보다는 

각각 보시는게 좋겠습니다.

 

 

 

 

5. 대전광역시

대전은 현재 투자하기엔 둔산외엔 큰 리스크는 없으나

투자하고나서 2년뒤 유성구, 중구에 대규모 

입주물량이 기다리고 있어

많은 리스크가 있습니다.

 

 

 

 

6. 충청남도

천안은 저번 분기에 비해 물량이 크게 바뀌진 않았지만

그래도 물량이 많은편이며, 

아산 탕정면과 신불당을 이어주는 곳에도 

대규모 물량이 기다리고 있어서 

향후 대단지급 물량이 더 늘어날것으로 예상됩니다. 

 

 

 

 

 

7. 충청북도

청주도 일자리에 가까운 테크노폴리스와 용정지구에

입주물량이 대단지로 과다물량이 많아서

현재도 2년뒤에도 쉽지 않을것으로 예상됩니다.

 

 

 

 

8. 광주광역시

광주는 현재시점에서 대단지급 물량은 없지만

공원부지로 인한 잠재적 물량이 있어서 

잘 체크해야 할거 같습니다.

 

 

 

 

 

9. 전라북도

전주는 2분기때 봤던 물량과 

크게 차이가 없습니다.

 

 

 

 

10. 울산광역시

울산은 대단지급의 물량은 신정동에만 있지만 

남구 대현동과 중구 복산동쪽에서 

물량이 하나둘씩 튀어 오르고 있어서

투자를 할때 유의깊게 보셔야 하실거 같습니다.

 

 


댓글


전생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