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장쪼개기 

 

재테크 기초반 강의를 듣기까지 고민이 많았었는데요, 

저는 통장 쪼개기나 저축은 잘 하고 있다고 생각했거든요…!

(정말인가…! ㅋㅋㅋ)

 

생각보다는 실제로 잘 하고 있었지만, 본인의 상태(독립 싱글, 주거비 없는 싱글, 맞벌이 신혼 등)에 따라 다양하게 통장 쪼개기 가이드라인을 주셔서 흥미롭고 재밌었습니다. 

다만, 저의 경우 싱글이고 친구들과 약속이 많지 않아서 생활비/활동비로 나누기 보다 

 

 - 공과금, 통신비, 대중교통비 등

 - 주간 용돈

 

으로 나누는 게 더 편리해서 제 라이프스타일에 맞게 통장을 쪼갰습니다. 뭔가 생활비/활동비는 기혼이신 분들이 용돈 받아서 사용할 때 쪼개기 편리해보였습니다. ㅋㅋㅋ

 

 

 

 연말정산 

 

연중부터 연말정산을 대비한 흐름을 알려주시는 분이 계시다!?

저는 사실 세법 공부를 하면서 연말정산의 흐름을 알고 있었습니다. 근데 제가 실제로 어떻게 활용할지까지는 생각해 본적이 없었는데요, 

 

제일 크게 다가온 건, 바로 연금저축. 과세표준에서 빼주는게 아니라 세액 자체를 공제해주니, 정말 안할 수 없겠더라구요. 실제로 저는 작년까지 부양가족(어머니)이 있다가 없어져서 세금을 토할 뻔한 적이 있었는데요, 

(너나위님은 세금을 토하면 좋아하라고 하시더라구요! ㅋㅋㅋ) 

 

그 때, 다른 부양가족 없는 싱글 친구들한테 어떻게 하고 있냐고 물어보니 모두가 연금저축을 하고 있더라구요..

Ah……. 저만 몰랐죠 ㅋㅋㅋㅋ

그때 바로 가입했었고 그 뒤로 매달 10만원씩 넣고 있는데요, 

 

1년 내 1호기 투자 후 세제혜택 한도(600만원)까지 납입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 저희 회사는 월급에서 원천징수 세금 비율을 조정할 수 있는데요(80%, 100%, 120%),

저는 100%로 하고 있었는데, 이번 수업을 듣고 과세이연 효과를 생각하면 80%로 바꿔야겠더라구요. 

듣자마자 회사 출근해서 바꾸려고 했는데 연초에 1회만 변경 가능해서, 내년부터 바로 바꾼다고 설정해뒀습니다!

 

예전에는 120% 떼고 연말정산에 세금 돌려받으면 막 기뻐했는데… 

사람이 정말 배워야한다고 느꼈습니다. 

 

 

 

 보험 

 

역시 보험의 신 계리사 너나위님

저는 통계학과인데, 보험만 나오면 머리가 지긋지긋하고 뭔지 모르겠더라구요.

근데 이번에 연령대별로 어떤 보험을 들어야 하는지, 보험이 무엇인지 알려주셔서 정말 큰 도움이 됐습니다. 

 

그리고 정말 인상 깊었던건.. 60~90대는 생존이 위험이다…

30대에 정기보험은 60세 보장으로 들라고 하시면서 하신 말씀인데, 명언이었습니다. 

 

그리고 정기보험은 가족이 생긴다면 들어야겠다는 생각을 했는데, 

연수입의 3배 가량 가입하라고 하시면서, ‘남은 가족들이 3년 정도면 준비를 한다’ 고 하셔서

뭔가 먼저 죽을일이야 웬만하면 없겠지만 3년 정도면 가족들이 정신차리고 살겠구나 싶어서 마음이 놓였습니다..(?)

 

 

 

 퇴직금 

 

저는 이직하면서 전 회사 퇴직금을 받아서 해지하지 않고 그대로 뒀는데요, 

일단 퇴직소득세 과세 이연한 나 자신 칭찬해.ㅋㅋㅋ

 

근데 1호기 투자를 할 때는 퇴직금이 상당한 지분을 차지하고 있어 해지할 수 밖에 없을 거 같은데요, 

늘 대체 내 퇴직소득세는 얼마일지 걱정이 됐습니다. 

지점에 방문해서 물어보닌깐, 그 정도 금액은 적어서 걱정하지 말라고 하셔서 머쓱해졌었습니다. 

저한텐 큰 돈인데요… :(

 

퇴직소득세는 14%정도라고 하셔서 대략적으로 제가 어느 정도의 자금을 유용할 수 있는지 알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갓나위님 >_<

 

 

 

재테기를 듣기 전 통장쪼갠 거 하나로 우쭐했던 제가 부끄러웠고, 

첫 강이 부터 정말 많은 걸 배워서 너무 유익했습니다. 

그리고 돈을 모으는 인내 역량 빵빵하게 키워보겠습니다!! 가자!!!! >_<


댓글


홍드림
25. 08. 07. 23:36

굳굳! 화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