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공부인증

[김디디] 연금저축계좌 세팅하고 나의 은퇴 목표 자금 계산하기

  • 23시간 전

연금저축계좌 세팅하고 나의 은퇴 목표 자금 계산하기

 

  1. 증권사 MTS 설치 및 계좌 개설 

 

원래 한국투자증권에 연금저축계좌와 ISA 계좌가 있었으나 2주 강의를 듣고 미래에셋으로 수수료와 정보접근의 편의성을 위해 옮기려고 하였다.

그러나 비대면 개설에서 얼굴인식니 실패에 지점에 방문하니 수수료가 10배 더 높다고 하니 지점에서 개설할 경우 다시 고려해보는 게 좋을 것 같다. 

한국투자증권의 ISA와 연금저축계좌의 현 수수료를 확인해보니 0.004%로 우대받고 있고 올해까지는 연금저축계좌는 유지, 본 계좌까지는 ISA 수수료가 미래와 크게 차이나지 않아 옮기지 않을까했지만 비대면계좌개설에 얼굴인식이 어려운 점을 제외하고는 한국투자증권이 내 계좌의 수수료 찾기도 어렵고 내 계좌가 증거금 설정이 안되며 과제제외금액 신청시 지점을 직접방문하는 방법밖에 없는 등 정보접근이 어려운 것을 이번에 느껴 신분증의 사진을 변경하여 추후 미래로 연금저축과 ISA를 이동하는 게 좋을 것 같다. 

두 계좌 다 타 증권사의 계좌 가져오기를 이용할 수 있다고 하니 개설 전까지는 현 계좌에서 투자를 하고 있어야겠다.

 

2. 연금저축 리밸런싱

 

내 이전 연금저축 포트폴리오는 위와 같았지만, 배당을 주는 S&P500 배당귀족은 배당을 위해 현재의 성장을 깎을 수 있다는 광화문금융러님 말씀에 따라 두 S&P를 ACE S&P로 옮기기로 했다.

ETF정보를 자세히 알기 위해서 강의에 나온 ETF체크 https://www.etfcheck.co.kr/mobile/main 를 이용하면 수수료(중요!) 및 규모, 상장기간 등을 알아보기 좋다. 특히 ETF 비교하기 기능이 있어 비교하기도 좋았다. 

 또 내 결정세액이 상황이 많이 바뀌어 추정이 불가능해 연금저축에 50만원을 매달 납입하되 100만원 투자시 싱글 투자자는 보통 결정세액이 60만원정도 추정된다는 말씀에 따라 계속 가지고 있을 S&P ETF좌의 금액은 30만원으로 매달 자동 적립으로 설정했다.

 

 

이전에 가지고 있던 금, 일본리츠,미국배당다우존스는 올해 상황을 보며 삭제하거나 감액할 것 같다. 

 

 

3. ISA 활용

 

연금저축에 월 50만원씩, 결정세액을 미정인 현재 2025년까지는 IRP에 25만원씩을 넣고 남은 금액 (목표 75만원)은 ISA계좌에 넣으려 한다. 이 때, 생기는 목돈은 2,000만원 범위 내에서는 ISA에 넣는 것을 목표로 해 3년 뒤에 최대의 효과로 찾는 것을 우선하되 1년 2,000만원 범위가 운이 좋게도 넘게 된다면 일단은 연금저축 계좌를 하나 더 개설해 넣어 세액공제받지 않는 금액으로 두고 매매수수료 우대 효과를 노리기로 생각했다. (건보료의 이점도 있다) 광화문 금융러님 강의 커리큘럼을 따라 미국 기초반-월 300만원-무손실을 수강하여 추후 포트폴리오는 수정하기 전까지는.

 

 

 

참고 - 내 결정세액에 따른 연금저축 납입액 계산 방법

 

 

4단계 : 나의 은퇴 목표 자금 계산하기

내가 원하는 시점에 직장을 그만두려면(은퇴) 얼마가 필요할까요?

은퇴 목표 자금을 계산해보고 느낀점을 함께 작성해보세요.

 

1) 은퇴하면 어디에 살고 싶은가요?

(실제 매매 가격이 어느 정도인지? 네이버 부동산에서 검색해보세요!)

 

꿈으로는 서울 서초구의 레미안원베일리 24평을 사고 싶다. 현 시세는 30억정도. 2060년 시세가 얼마될까 궁금해서 챗GPT와 대화를 해봤다.

 

 

추정이 500억까지 최대 10배까지 상승예상률이 나오는 걸 보면 역시 수요가 높아 빨리 살 수록 이득이긴 할 것 같지만 중간 목표가 없이는 달성하기 어려울 것 같다. 

 

현재 돈을 모으면서 경기도권에 직장이 있고 운전에 미숙하니 대중교통이 편한 지역을 과천, 안양, 일산 등을 선 목표로 잡아 2035년 매매를 가정해 다시 예상해봤다.

 

 

2035년까지 대략 15억에서 20억정도 들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과천, 안양, 분당의 전세가율을 참고하여 투자금을 추정해보면 과천은 50-60%, 분당은 60-70%, 안양은 70-75%정도로 2035년까지는 중간목표를 1억, 2억, 5억씩을 투자할 수 있게 준비하는게 좋을것 같다.

 

2) 은퇴 후 매월 생활비는 얼마나 필요한가요? (은퇴 후 기대 수명 년수 x 월 생활비 x 12개월)

 

은퇴예정 시기가 65세 이므로 25-30년 후부터 약 40년을 생존할 것으로 예상된다. 독신으로 살 확률이 높기 때문에 월 생활비를 여자 혼자 안전하게 살기 충분하게 보수적으로 잡으면 200-250만원 정도 추정한다. 그러면 1년에 3,000만원씩 최소 12억 정도의 노후 자금이 필요하다. 

 

3) 은퇴 후 여가, 여행이나 의료비 등 기타 비용으로 얼마가 필요할까요?

 

여행이나 의료는 목돈이 들어갈 항목으로 현 의료비 비중이 높은 것을 고려하여 1년에 약 1,000만원으로 잡아본다. 그러면 최소 4억 정도의 자금이 필요하다.

 

4) 위 금액을 모두 합하면 은퇴에 필요한 은퇴 목표 자금입니다!

 

은퇴할 때 만족스러운 삶을 살기위해 유동자산으로 16억정도의 자금이 필요하다 할 수 있다. 

 

지금은 목돈의 크기를 불려서 현금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추후 포트폴리오를 조정하면 좋을 것같다.

 

잡담) 조사를 하며 느낀 건데 GPT는 생각보다 바보다. 여러 가지를 돌려 검증하고 확인하는 과정이 꼭 필요하다. 그리고 정확성은 뤼튼보다는 제미니나 퍼블릭시티가 더 높은 것 같다. 

 

아래는 참고용 (한투 이벤트는 2025년까지)

 

  • Screenshot_20250808_175915.jpg

    다운로드

댓글


김디디D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