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파란 열정으로 나아가는 레이니J입니다.
튜터님께서 좋은 기회주신 덕에
용맘님의 실전 2강을 오프로 수강할 수 있었습니다.
임장은 임장대로, 임보는 과제니까..”그냥” 하는 수준에서 벗어나
현장과 임보를 연결해서 투자라는 결과로
“제대로” 이어나가는 법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전고점, 아실그래프로 비교 하는 것이 아니라,
정석대로 가치와 가격을 비교해서 헷갈리지 않는
비교평가하는 법에 대해서도 배울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정말 궁금한 현재 규제 상황에서도 투자할 수 있는 법을
실제로 최근 규제 이후 진행한 투자 사례로 알려주셨습니다.
보여지는 단점, 짚고 넘어가자
생활권과 단지에 대한 단점에 주목해서 편견을 가지면 안됩니다.
편견을 버리고 왜 그럼에도 수요가 있는지에 주목해보세요.
이번 주 주말부터 분임, 단임, 매임까지
본격적인 임장이 시작됩니다.
이 때, “선호요소”를 찾는 것을 가장 강조하셨습니다.
특히 단점이 있는 생활권과 단지를 볼 때
유의해야 하는 사항이 굉장히 인상 깊었습니다.
장점은 그 지역의 핵심가치가 된다는 점은 익숙하지만,
그 생활권과 단지가 가지지 못한 것이 있다면?
그럴때에도 거긴 언덕이니까.. 주변이 별로니까..
하며 선입견을 가지고 투자 범위에서 제외하면 안됩니다.
‘그럼 그 안에서 뭐가 중요할까? 어떤 요소가 이 곳의 수요를 이끌까?’
‘그럼에도 여기를 살고자 선택하는 사람들은 어떤 선호요소때문에 찾아올까?’
짚고 넘어가야 한다고 알려주셨습니다.
용맘튜터님은 한번 가서 잘 모른다는 생각이 들면,
매년 가보면서 눈, 귀, 발로 느껴보며 선호요소를 이해한다고 하셨습니다.
이렇게 모호한 요소를 확인하고 넘어가는 것
꼭 벤치마킹해봐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더불어, 내일 분위기 임장을 갈 때
활용할 수 있는 꿀팁도 알려주셨습니다.
분임 전, 동료분들과 지역에 대해 궁금했던 점을 모아본다면
임장지의 핵심 요소 뿐만 아니라 동료들의 의문도
추가로 확인해볼 수 있다고 알려주셨습니다.
이 부분은 당장 조톡방에 공유하여
궁금한 점을 모아보았습니다.
험블 튜터님의 지도 아래 바로 BM하는 험브레인즈 ^^
모아본 궁금증을 현장에서 체크하고 오겠습니다.
제대로 비교평가 하는 법
비교평가를 감으로 하는 분들이 계시거든요?
나중에 헷갈려요. 꼭 적어서 비교해보세요.
앞마당을 늘리다보면,
경솔하게 비교평가를 뇌피셜로, 감으로 해볼 때도 있었습니다.(ㅜㅜ)
이렇게 하다보니,
한 군데 앞마당을 모아놓고 가치를 다 섞어서 비교하려다보니
정말 많이 헷갈렸던 경험이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전고점, 아실 그래프 붙여보기, 단지가 위치한 급지..
간편한(?) 툴로 비교를 해버렸습니다.
이렇게 본질이 아닌 것에 의존하거나
감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제대로 하는 비교평가의 핵심포인트를 알려주셨습니다.
1.단지가치 : 선호도 = 상품성 + 입지
2.가격 : 현재가격 (제일 중요) & 과거가격(참고)
3.상황 : 물건조건 & 내 투자금
각 케이스별로 사례를 알려주신 과정을 따라
비교평가를 적용해서 이번 임보에 반영해보겠습니다.
이정도까지 해야한다는 리미트는 없다.
그냥 되는 데까지 찾을 때까지 하는거다.
용맘님께서 최근 투자를 진행하며 현장에서 여러 번
물건을 놓쳤음에도 결국 투자를 진행할 수 있었던 이유는
될 때까지 했기 때문이라고 말씀해주셨습니다.
투자할 때 뿐만 아니라,
월부 과정이 너무 버겁고 따라가기 어렵다는 생각이
매 과정마다 드는 것 같습니다.
아.. 이렇게까지 해야하나?
이렇게까지 하고 결과를 못내면 어떡하지?
두려울 때도 있었습니다.
그런데 용맘님께서 말씀주신
이정도까지 해야 한다는 리미트는 없다는 말씀이
기억에 남았습니다.
결국 해내기 위해서는 포기하지 않고
계속 지속 해야 한다는 것.
명심하고 포기만은 하지 않겠습니다.
꾸준히 해나가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용맘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