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전투자경험

앞마당 몇 개 만들어야 투자 할 수 있나요? [제이든J]

25.08.11

Q. 앞마당 몇개를 만들어야 1호기 할 수 있을까요?

 

"앞마당 3개를 만들고 나면 투자를 시작하세요."

"늦어도 이번년도 말까지는 앞마당 만들고 투자를 하세요."

이런 말씀을 들으면 조급한 마음이 들어 실력이 쌓이지 않았지만

앞마당이 3개 이상은 되니 이 안에서 내 투자금 대비

최고의 매물을 찾아 투자를 해야하나? 하는 생각에 혼란스럽습니다.

 

image.png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사람마다 다르다입니다.

 

1. 사람마다 목표하는 금액이, 비전이 다릅니다.

2. 사람마다 가지고 있는 종자돈, 연 저축액이 다릅니다.

3. 사람마다 투자생활에 더 몰입 할 수 있는 상황이 다릅니다.

 

1. 목표하는 금액과 비전

제가 만났던 분들의 비전은 각각 달랐습니다.

- 인플레이션만 피하고 싶으신 분 (가벼운 재태크 관심 정도)

- 내집마련 하나는 하고 싶으신 분

- 노후 대비를 하고 싶으신 분

- 인생을 바꾸고 싶으신 분

 

각자의 비전과 목표에 따라, 지금 살아가고 추구하는 열정도 달라질 것이고

행동해야할 것들도 달라진다고 생각합니다.

 

내집마련 하나를 하고 싶으신 분이라면, 현재 직장을 중심으로

지금 들어오는 금액을 기준으로 가장 좋은 것을 매수해도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그 위치가 서울 수도권, 그리고 일정 가치 이상이라면 장기적으로 보았을때 우상향 한다고 생각합니다.

 

노후대비를 하고 싶으신 분은

현재 시장에서 가치가 있는 것 중에

저평가인 것을 찾는 노력을 해야할 것입니다.

 

인생을 바꾸고 싶으신 분이라도

초반에는 그 확신을 가지기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그럼에도 잃지 않는 투자를 하면서 경험을 쌓아 나가고

실력을 쌓아 나가면서 더 나은 투자를 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2. 종자돈과 연 저축액

2025년 8월 현재 시장에서 보면 가진 돈에 따라 어떤 앞마당을 봐야할지 달라지기도 합니다.

[김인턴] 종잣돈 1억으로 무엇을 할지 고민된다면? 이렇게 투자해야 돈 벌 수 있습니다

 

특히나 종자돈이 1억이 있으신 분은 수도권 외곽, 지방 선호단지 둘 모두 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 연 저축액이 5천만원 이상이라면 수도권을 해볼 수 있고

5천만원 이하라면 지방을 봐야할 수 있습니다.

 

이유는 연 저축액이 5천만원 이상이라면

다음 투자를 생각해볼 수 있는 반면에

연 저축액이 5천만원 이하라면 돈을 빨리 불리는 것이 더 중요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3. 각자의 상황

- 누군가는 임장을 많이 갈 수도 없고 시간을 많이 들일 수도 없습니다.

- 누군가는 돈은 적지만 투자시간을 많이 넣을 수 있습니다.

 

이 상황에 따라서도 나는 한 달에 하나의 앞마당을 만들 수 있는지,

혹은 두달에 하나의 앞마당을 만들 수 있는지

그리고 그 앞마당을 만드는데 분임, 단임, 매임을 하고

사전임보, 단지분석, 결론, 앞마당 중에 투자검토 단지 뽑기, 전수조사

등 얼마나 뾰족하게 만들 수 있는지

 

모든 것이 다를 것 같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 상황에 따라

저평가라는 생각이 들고 잃지 않는 다면 투자를 고려해볼 수도 있죠.

반면에 종자돈과 연 저축액 자체가 적어서 정말 더 최선의 투자를 하기 위해

 

임장, 임보를 쓰면서 투자 우선순위 단지를 뽑고

매물털기를 정말 많이 하면서, 매물을 만들어 투자를 하시는 분도 있을것 같습니다.

 

이런 상황들에 따라 제가 추천드릴 수 있는 방향성 역시 달라질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공식처럼

"몇개의 앞마당을 만드세요."

"지금은 저평가 시장이니 당장 만드세요"

등을 말씀드리기 어렵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앞마당을 3~4개 정도 만든 경험이 있으신 분이라면

6개월 안에 투자를 하시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투자생활을 한 지 1년이 넘어가도록 투자를 하지 못하면

공부를 하러 온 기분이 들기도 하고

오히려 슬럼프에 빠지시는 분들도 보기도 했습니다.

 

개인적인 추천으로는

투자코칭을 받아보신 이후에

현재 종자돈 + 연 저축액 + 본인의 성향 등을 고려햐여

수도권 or 지방으로 방향성을 잡는 것이 우선이라

 

방향성이 잡혔다면, 저는 최대 5개의 앞마당을 만들면서

그 안에서 1호기 투자를 진행할 것 같습니다.

 

 

 

우선적으로 투자후보지역 3군데를 앞마당으로 만듭니다.

그럼에도 투자 확신이 들지 않는다면, 하급지 앞마당 하나를 더 추가해서 만들 것 같습니다.

 

저의 지방 1호기는

비슷한 급지의 지역에서, 비슷한 단지의 가치를 보았는데, 한 단지의 가격이 싸다는 것을

교통사고 처럼 느꼈습니다.

 

서울 2호기는

서울 4급지 2개, 경기 4급지 3개를 만들때에도 큰 확신은 없었지만

서울 5급지를 만들면서 수직비교를 통해 4급지 중간단지와 5급지 중간단지를 비교했을때

가치적으로는 4급지 중간단지가 더 좋았지만, 가격은 5급지의 단지 가격과 같았습니다.

 

이때 역시 교통사고 처럼 확신을 느끼게 된 계기가 되었습니다.

 

우리가 임장을 가고, 임장보고서를 쓰고

비교평가까지 하면서

투자 검토를 하는 이유는

 

매수에 조금 더 확신을 가지기 위해서입니다.

너바나님이 아무리 좋은 물건을 추천해주더라도

 

투자자 본인의 의사결정과정을 따르지 않았다면,

매수 시점에는 잘 샀다고 생각할지 몰라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하락하거나 보합하는 그 시기에

보유하기 힘들어지는 분들도 많습니다.

 

해당 투자에 대한 의미를 알기 위해서 우리는 임장을 가고 임보를 쓰고

비교평가를 합니다.

 

image.png

 

이렇게 투자를 잘 했다고 하더라도 2년동안 다른 단지는 오르는데, 내가 투자한 단지가 오르지 않으면

마음도 힘들어서 조금 올랐다면 매도 하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1. 올바른 과정으로 투자를 하는 것

2. 잃지 않는 투자를 하는 것

3. 보유를 잘 해나갈 수 있는 것

 

이 3가지를 잘 하기 위해서 해야할 일을 다시 정리해보겠습니다.

 

1. 투자 방향성을 정한다.

- 본인의 종자돈, 연 저축액, 성향 등을 고려해서

- 추천 Tip. 처음부터 투자코칭 받기

 

2. 앞마당 5개를 만들어 나간다

- 투자 후보지역 3개, 하급지 1개, 상급지 1개 순서로 만들어나간다.

- 꼭 5개를 채우고 투자를 할 필요는 없으며, 그 사이에 싸다는 확신이 들면, "저환수원리" 원칙에 따라 나의 생각을 정리해본다.

 

3. 1호기 투자 이후에도 투자생활을 이어간다.

- 매수 이후의 복기도 중요하지만, 투자 생활을 지속하고 더 많은 지역을 늘리면서 알게 되는 것들도 있습니다.

- 매수 당시에는 거인의 어깨를 빌려 매물코칭을 하지만, 그 이후에 지속적 시장에 남아있으면서, 그 물건에 대한 가치를 더 알아갈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저는 1호기, 2호기를 더 잘지키기 위해서라도, 더 많은 성장을 하고 싶었습니다.

 

 

1호기 물론 최선의 투자는 해야겠지만,

누구나 처음부터 잘 할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잃지 않는 투자는 해야합니다.

 

1. 투자 방향성을 정한다.

2. 앞마당 5개를 만들어 나간다.

3. 1호기 투자 이후에도 투자생활을 이어간다.

 

 

1호기를 준비하시는 모든 분들 응원드리겠습니다.

 

 


댓글


하오림
25. 08. 11. 08:19

투자의방향성과 비교평가를 위한 앞마당 만들기에 대한 생각을 정리해보게되는 칼럼이네요. 감사합니다!

스뎅
25. 08. 11. 08:30

꾸주니꾸주니~~~~~~~ 계속해서 킵고잉 하겠습니닷🦾🦾🦾

핫스윙스
25. 08. 11. 08:31

튜터님 처음 오티때 이야기해주신 수직비교가 딱 들너가있네요! 사실 수평비교만 생각하다 수직비교까지? 라는 생각이 들었는데 필뇨하겠다는 샌각이 들어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