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부자는 왜 더 부자가 되는가
돈을 위해 일하는 사람들 / 돈을 위해 노동력을 파는 프롤레타리아가 되라고 조언하는 셈이다. 전문직 종사자도 봉급생활자로 생산수단을 소유하지 않는다⇒ 생산자 되어야 넥스트 레벨로 갈 수 있다.
부자는 돈을 위해 일하지 않는다
진정한 금융교육은 무엇인가? ⇒추상적이지만 예시로 적용해봐야겠다
금융문해력 = 돈의 언어를 읽고 이해하는 능력, 부채와 자산을 구분하는 능력! 현금흐름 : 손익계산서와 대차대조표 각 계정을 통해 현금흐름을 만들어 내는 방법을 아는 능력! 연봉 , 순자산, 자본이득, 현금흐름! ⇒ 여기서 현금흐름을 이룬사람이 미래를 가장 잘 통제할 수 있다 (삶의 자유를 가질 수 있다 = 융통할 수 있는 삶의 범위가 넓어져 대안이 많아진다 = 여유)
중산층과 빈곤층은 더욱 가난해진다. 부자들이 점점 부유해지는 이유는 빈곤층과 중산층은 작은 그림에 집중하기 때문이다. 작은 그림 = 열심히 일하고 세금을 내고 저축하고 집을 사고 빚에서 벗어나고 주식시장에 투자하라! 작은 그림을 그리는 영업사원에게 나의 돈의 행방을 묻는다 중산층은!
⇒ 나는 이렇게 재테크를 하고 있는데 나의 방향성은 잘못된 것인가? 그렇다면 부자들이 그리는 큰그림 은 뭐지? 그럼 부자를 만나서 시야를 넓혀라는 것?
저축하는 사람은 패배자인가? 돈에는 독성이 있다. 물가가 올라가 돈의 가치는 떨어진다. 그렇기에 저축만 하는 사람들은 인플레 헷지가 되지 않는다. 미국의 달러는 사실상 금본위를 폐지하고 유가에 연동되어 있어 그나마 가치가 있다. 금본위 폐지후 미국의 재정적위기마다 조금씩 달러를 찍어 냈다. 그래서 통화량이 많아지고, 돈의 가치는 떨어졌다. 현재 많은 나라에서 유사한 현상으로 인플레가 되는 것이다.
노동도 위협받고 있다. 로봇이나 ai가 우리의 일자리를 대체하고 있기에 우리는 예전방식으로는 미래를 대응할 수 없는 것이다.
<aside> 💡
E 봉급생활자
B 전문직, 운동가, 개인 사업자
S 500이상 고용을 창출하는 사업가
I 수동적 투자자가 아닌 적극적인 투자자
</aside>
<aside> 💡
실패에 대한 에디슨 명언
댓글
새벽여행자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