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천만원 아끼는 부동산 지식은?
[당일 마감 예정!] 열반스쿨 기초반 - 1500만원으로 시작하는 소액 부동산 투자법
주우이, 너바나,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25개월 아기엄마 중 최고가 되고싶은 아오마메입니다 :)
시세지도 어떻게 작성하고 계신가요?
저는 처음 사전임장보고서를 작성할 때,
시세지도가 가장 힘들었습니다.
지도 위에 수많은 데이터를 예쁘게(?)
잘 올리는 것부터가 어렵게 느껴졌던 것 같은데요.
시세지도를 왜 작성하는지
깨닫고나니 조금은 수월해진 것 같습니다.
시세지도를 작성하는 이유는
바로 저평가 단지를 찾는 것 !!!
연식, 세대수, 평형, 가격
데이터를 복붙하면서 시세지도를 완성하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지도 위에 단지 위치와 정보들을 올리면서
자연스럽게 비교평가를 하는 게 중요한데요.
예를 들면...
역에서 가까운데 5천만원이나 더 싸네?
초품아라서 3천만원 더 비싼건가?
그런데 20평대의 경우,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가 하나 더 있습니다
바로 구조인데요 !
계단식 vs 복도식
방3 vs 방2
구조를 제외하면
비교평가가 제대로 안되는 경우가 많더라구요.
(예시) 안양시 동안구 시세지도
구조를 몰랐다면,
역에서 가까운 단지가 더 싸니까 "여기가 저평가다!!!"
라고 생각할 수 있는데요.
전세가격도 비슷한 걸 보니,
역에서 한블럭 더 멀어도
계단식에 대한 선호도가 그만큼 더 클수 있다고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5~8천만원의 매매가 차이가 적정한지
판단하기 위해서는
전임, 매임으로 확인이 필요하겠죠 !
덧붙여서...
00년대 전후 단지들이 모여있는 생활권이라면
지하주차장 엘베연결 여부 !
지방의 30평대는
방4 vs 방3 여부 !
그 지역과 생활권의 특징에 따라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함께 본다면
비교평가하기가 더 수월할 것 같습니다.
시세지도를 작성하면서
바로 비교평가를 해본다는 생각으로
재미있게 해보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화이팅입니다 !!!!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