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도시가스 고지서를 보고 "이렇게 많이 쓴 적이 없는데?" 하며 당황해 본 경험 있으신가요?
매달 고지서가 오기 전까지는 이번 달 요금이 얼마나 나올지 예측하기 어렵죠.
도시가스 요금을 미리 확인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은 생활비 관리에 정말 중요한 부분인데요.
도시가스 사용량과 요금을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것만으로도 예상치 못한 요금 폭탄을 방지할 수 있어요.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예스코 도시가스 요금 조회 방법, 요금 계산법, 자동이체 신청 방법, 자주 묻는 질문까지 한 번에 정리했습니다. 처음 가스요금을 관리하시는 분들도, 매번 확인 방법을 잊어버리는 분들도 이 글 하나로 쉽고 간편하게 도시가스 요금을 관리하실 수 있을 거예요 🙂
예스코 도시가스 요금 조회 방법에는 총 4가지 방법이 있는데요.
4가지 요금조회 방법과 각 방법의 장점 아래에서 확인해보세요 👀
장점: 공과금 관리부터 안전 서비스까지 원스톱 제공
장점: 로그인 없이 간편조회 가능
장점: 인터넷/스마트폰 사용이 어려운 고객도 도시가스 요금조회 가능
도시가스 요금은 어떻게 계산되는걸까? 궁금하시죠!
👇 예스코에서 안내한 도시가스 요금 계산법은 아래와 같아요.
구분 | 계산식 | 비고 |
---|---|---|
주택 취사 | 기본료 + (사용열량 × 열량요금단가) + 부가세(10%) | 기본적인 취사용 가스 |
주택 취사 + 난방 | {기본료 + (사용열량 - 516MJ) × 난방단가 + (516MJ × 취사단가)} + 부가세(10%) | 516MJ까지는 취사용 단가, 초과분은 난방 단가 적용 |
기타 용도 | (사용열량 × 열량요금단가 + 교체비) + 부가세(10%) | 계량기 교체비 포함 (7등급 이하 면제) |
너무 복잡하죠.
사실 ‘요금계산기’ 서비스만 이용한다면, 예상 사용량을 입력하면 쉽게 납부 예상금액 확인할 수 있어요.
아래에 이어서 요금계산기 사용법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방법은 매우 간단해요!
예스코 홈페이지에서 간편요금조회에 접속한 후,
금월지침과 검침일만 입력하면 예상금액을 확인할 수 있답니다.
자동이체 신청시 입력해야 하는 예스코의 지로번호는 4000051 입니다.
꼭 기억해두세요!
고객번호는 아래 경로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자동이체는 신청한 다음 달 납부 마감일부터 적용됩니다.
👉 따라서 신청하신 달에는 반드시 고지서를 확인해 주셔야 합니다.
가능합니다. 단, 가정용 고객만 해당되며 카드 종류에 따라 납부 방법이 달라집니다.
이중 납부분은 자동 정산되거나, 필요시 환불받을 수 있습니다.
납부기한을 놓치면 다음 달 고지서에 체납 금액이 합산되어 청구되며, 장기간 미납 시 공급이 중단될 수 있습니다.
예스코 요금조회부터 요금 계산법, 자동이체 신청, 자주 묻는 질문까지 모두 정리해 보았습니다.
매달 고지서를 기다리며 불안해하기보다, 카톡·가스앱·홈페이지에서 언제든 직접 확인하고 관리해 보세요 👍
👇 다음 글에서는 도시가스 난방비 절약 꿀팁을 소개할 예정이니 꼭 이어서 확인해 보세요!
보일러 외출모드 난방비 절약에 소용없습니다. 대신 ‘이것' 만 하세요. (개별난방/지역난방 모두 가능)
사진 출처: 예스코 홈페이지, 가스앱
댓글
월부Editor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