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퍼스트펭귄] #2025-61 '지방도시 살생부' 독서후기

8시간 전

 

책 제목 : 지방도시 살생부

저자 및 출판사 : 마강래 / 개마고원 출판사

읽은 날짜 : 25.08.22

핵심 키워드 3가지 뽑아보기 : #스마트압축도시 #집중과압축 #국토균형발전

도서를 읽고 내 점수는 : 10점 만점에 7점

 

 

1. 저자 및 도서 소개

수도권에서 계속 살아오며 대도시가 제공하는 기회를 맘껏 누려왔음에도 불구하고 수도권 독식으로 인해 말라가는 지방도시들의 모습에 마음 아파한 저자는 최근 수년동안 지방도시들의 암울한 현실을 직접 돌아다니며 목격하고, ‘국토균형발전’에 대한 고민과 그 결과를 이 책에서 풀어내었다. 

 

 

2. 내용 및 줄거리

* 지방 도시의 인구가 줄어들고 도시가 쇠퇴하는 위기는 지방만의 문제에 국한되지 않는다. 재정투자의 비효율이 급속도로 높아질 것이고 우리 국민 모두가 짊어져야 할 부담을 가중시킨다. 

 

* 인구의 감소와 물리적 낙후 현상의 원인은 경제적 이유에 있다. 사람들이 떠났기 때문에 일자리가 없어졌다기보다 일자리가 없어졌기 때문에 사람들이 떠난 것이다. 

 

* 쇠퇴의 근본 원인을 직시해야 한다. 문제는 경제다. 지역 경제가 몰락한 상태에서는 인구유입도 물리적 환경 개선도 이뤄질 수 없다. 

 

* 지방도시가 빠르게 쇠락하는 원인

- 한 시대를 풍미했던 제조업이 경쟁력을 잃음(거제시 조선업) 

- 지역 자연자원이 고갈되거나 수요가 없어짐(태백시, 문경시, 삼척시, 정선군 탄광도시) 

- 미군부대가 다른 지역으로 이전(동두천시)

- 교통망의 변화가 도시에 불리하게 작용(나주시, 남원시)  

 

* 특정 산업에 의존적이면 외부 환경의 변화에 민감할 수 밖에 없고 중추 산업이 위기를 맞으면 도시 전체가 한 방에 쓰러질 수 있다. 울산, 포항, 거제, 아산, 당진, 구미, 여수, 광양 등의 도시들도 산업의 쇠퇴를 예상하고 그것이 가져올 수 있는 미래에 대비해야 한다. 

 

* 인구유출의 원인은 결국 깔때기처럼 하나로 수렴한다. 바로 ‘일자리가 없어지기’ 때문이다. 아니면 ‘다른 도시에 더 좋은 일자리의 기회가 있기’ 때문이다. 

 

* 외곽의 싼 땅에 자꾸 개발 사업을 벌여서 도시의 중심부에 있던 인구가 빠져나가고 있는 상황이다. ‘줄어드는 인구’와 ‘흩어지는 인구’, 이 두 가지 현상이 결합하면 도시를 살리기 위한 정부의 노력은 헛고생으로 끝날 가능성이 크다. 

 

* 대도시에서의 도시재생사업은 약발이 받는데, 왜 지방 중소도시는 그렇지 않을까? 결론은 간단하다. 주변에 일거리가 있으면 재생이 성공할 가능성이 있고, 그렇지 않으면 불가능하다. 

 

* 대도시에서 재생사업이 성공할 수 있는 것은 주변에 풍부한 일자리가 있으며, 그런 일자리를 통해 소비력을 갖춘 사람들이 다수 존재하기 때문이다. 

 

* 도시를 ‘성장’시키는 것이 아니라 ‘압축’하는 쪽으로 방향을 바꿔야 한다. 

 

* 한국의 ‘모든 지역’이 수도권에 있는 ‘모든 기능’을 똑같이 가지고 있을 수는 없으며, 그럴 필요도 없다. 지방의 모든 도시들이 수도권만큼 성장을 해야 한다는 강박관념을 버려야 한다. 이루질 수 없는 꿈이고, 바람직하지도 않다. 

 

* 지방 중소도시들은 줄어든 인구가 어떻게 함께 모여서 행복하게 살 수 있을지 진지하게 고민해야 한다. 양적 발전이 아닌 질적 발전을 위한 변화를 모색해야 한다. 

 

 

3. 나에게 어떤 점이 유용한가? 

지방도시에서 태어나 지방에서 계속 살고 있는 나에게 수도권은 그저 동경의 대상이기도 했고 1년정도 거주했을 때 복잡하고 넓은 환경에 적응하기 힘들었던 적도 있었다. 투자공부를 하면서도 수도권에 대한 지식이 많이 없어서 모든 것을 내가 살던 ‘지방 기준’으로 느끼기도 했다.

 

직업상 오프라인 매장을 통해 수익을 창출해야 하는 나로써는 상가의 입지, 즉 상권이 형성되고 발전하는 지역에 관심이 갈 수 밖에 없고 나름대로 분석하고 있지만 아직 공부할 길이 멀다. 

 

저자는 책에서 지방 중소도시의 몰락을 결국엔 ‘일자리의 부재’로 귀결된다고 했고 이는 내가 찾는 적절한 상권의 선택에도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여러가지 사업상 전략을 만들고 수정해가며 다듬어야 하는 나에게 대한민국 모든 도시들을 다시 한 번 찬찬히 살펴보고 분석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지방 도시들은 정말로 도시의 인구가 더 이상 흩어지지 않아야 한다는 의견에 나도 공감한다. 그리고 인프라가 갖추어진 곳에 투자가 집중되어야 한다. 이런 지역들을 계속해서 찾아보고 답사도 가보며 공부하자. 

 

 

4. 이 책에서 얻은 것과 알게 된 점 그리고 느낀 점

강의에서 지역 입지분석 요소로써 인구, 직장, 교통, 학군, 환경 이 다섯가지를 강조한다. 

 

이 책은 부동산 투자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책은 아니지만 지방 중소도시들의 현황과 문제점들을 살펴보며 인구와 직장이 왜 도시의 생존을 걸 정도로 중요한지 다시 한 번 깨닫게 되었다. 

 

투자자의 관점으로 접근할 때도 인구는 투자수요 그 자체이며, 그 인구와 교통, 학군, 환경 네 가지를 모두 발전하게 하는 양질의 일자리 여부’는 도시의 흥망성쇠로 보나 투자자로써 투자의 가치를 판단할 때나 가장 중요한 요소임을 느낄 수 있었다.

 

올해 안에 지방 투자를 목표로 하고 있는 나에게 명확한 기준을 다시 한 번 새길 수 있었고 이 점을 잊지 않고 투자자로써 공부하고 접근해보자. 

 

 

5. 기억하고 싶은 한 문장

(P.17)

“지방 중소도시들의 생존전략을 한 마디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분산/팽창하면 죽고, 집중/압축하면 산다!’” 

 

(P.109)

“일자리는 젊은이들을 머물게 하고, 다른 지역 사람들을 끌어드리며,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는 힘을 만든다.” 

 

 

 

▼5월 너나위 추천도서 바로 보러가기

 


댓글


건강한사과
25. 08. 22. 17:13N

일자리의 중요성!! 그리고 투자자로서는 수도권 투자!!를 되새기게 되네요..ㅎㅎ오늘도 원씽 고생많으셨습니다:)

동기유발
25. 08. 22. 20:46N

경제가 상당히 중요하군요! 펭귄님은 잘하실 수 있습니다! 후기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