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내 투자금에 맞는 아파트 3개 찾아보기
아실 사이트 혹은 앱에 접속 https://asil.kr/
*우측 가이드를 참고해보세요 :)
2. 3개 단지 과거 수익률 계산하기
*지방인 경우 5년 전(2020년) 과거와 현재 가격 비교,
수도권인 경우 10년 전(2015년) 과거와 현재 가격 비교
단지명 : 이문 현대아파트(26평)
과거 매수가격 : 3.79억
과거 전세가격 : 2.8억
현재 매매가격 : 6.8억
현재 전세가격 : 3.6억
시세 차익 : 약 3억
전세 상승 : 0.8억
수익률 : 300%
연수익률 : 30%
단지명 : 벽산블루밍(24평)
과거 매수가격 : 3억 900
과거 전세가격 : 2억 2,000
현재 매매가격 : 6억 8,500
현재 전세가격 : 4억
시세 차익 : 3억 7,600
전세 상승 : 1억 8,000
수익률 : 422%
연수익률 : 42.2%
단지명 : 성복역리버파크(26평)
과거 매수가격 : 3억 1,000
과거 전세가격 : 2억 4,500
현재 매매가격 : 6억 6,000
현재 전세가격 : 3억 400
시세 차익 : 3억 5,000
전세 상승 : 5,900
수익률 : 538%
연수익률 : 53.8%
단지명 : 수지신정9단지(21평)
과거 매수가격 : 3억 5천 8백
과거 전세가격 : 2억 5천
현재 매매가격 : 7억 5펀
현재 전세가격 : 3억 6천
시세 차익 : 약 4억
전세 상승 : 1억 1천
수익률 : 434%
연수익률 : 43.4%
가장 수익률이 좋은 단지 : 성복역리버파크
3. 3강 듣고 느낀점, 적용할 점
- 단순히 내 가용자금에 맞추어 단지를 찾고 매전갭이 내 가용자금에 들어오는지 그리고
수도권의 경우 강남접근성, 전고점 대비 얼마나 여유가 있는지를 생각했었는데
3강을 통해 수익률을 감안함으로써 좀 더 촘촘한 판단기준을 얻게 된 것 같다.
아울러, 지난번 너나위님 무료 강의에 이어 자모님 무료 강의까지 들으면서
얻은 인사이트가 꽤 있어서(전세금의 현금흐름, 아실과 네이버부동산 활용하여 데이터 찾기,
수도권에서 최우선적으로 고려해야하는 점 등) 정규강의 결제를 통해 좀 더 디테일하게
배워보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예전만큼 막연한 느낌에서 조금씩 채워지는 느낌이 든다.
댓글
룬타차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