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나눔방

청약 예치금 지역별·면적별 총정리! 2025 청약 1순위 조건 완벽 가이드

25.08.26
  • 청약 예치금은 민영주택 1순위 자격을 얻기 위해 반드시 채워야 하는 최소 금액이에요.
  • 지역과 전용면적별 예치금 기준, 그리고 청약통장 가입 기간에 따라 청약 1순위 자격이 달라져요.
  • 청약 예치금액부터 가입기간, 청약 1순위 당첨 조건까지 미리 확인해 청약 당첨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목차

1. 청약 예치금이란?

2. 청약 예치금 지역별·면적별 기준

3. 민영주택 청약 1순위 조건 및 당첨자 선정

4. 청약 예치금 Q&A


 

 

청약예치금열쇠들고있는손

 

 

“청약 1순위가 되려면 통장에 얼마를 넣어야 하나요?”

 

많은 분들이 주택청약을 준비하면서 가장 헷갈려 하는 부분이 바로 청약 예치금이에요. 단순히 통장을 오래 유지한다고 끝나는 게 아니라, 정해진 예치금액까지 충족해야 진짜 1순위 자격을 얻을 수 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청약 예치금의 기본 개념부터 지역·면적별 기준, 그리고 민영주택 청약 1순위 당첨 조건까지 전부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청약 예치금이란?

청약 예치금은 민영주택 청약 1순위 자격을 얻기 위해 청약통장에 반드시 채워둬야 하는 최소 금액이에요.

 

많은 분들이 “청약통장에 꾸준히 돈 넣으면 1순위 되는거 아닌가?”라고 생각하시는데요.

같은 청약 통장이라도, 어떤 주택에 신청하느냐에 따라 청약 1순위 조건이 달라져요.

 

  • 국민주택(공공분양)의 경우, 납입 횟수와 월 납입금 총액으로 1순위 판정
  • 민영주택(민간분양)의 경우, 지역별·면적별 예치금을 채워야 1순위 가능

 

👉 국민주택은 ‘얼마나 오래·꾸준히 넣었는가’, 민영주택은 ‘얼마가 들어있나’로 달라지는 거죠.

 

즉, 민영주택 청약의 경우 단순히 청약통장을 오래 유지했다고 해서 자동으로 1순위가 되는 게 아니고,

  • 내가 살고 있는 지역
  • 청약하려는 아파트 전용면적

이 두 가지 조건에 따라 충족해야 할 예치금 기준이 다르게 정해져 있어요.

 

예를 들어, 서울에서 전용면적 85㎡ 이하 아파트에 청약하려면 통장에 최소 300만 원 이상이 있어야 하고, 

135㎡ 초과 아파트에 청약하려면 무려 1,500만 원이 필요해요.

 

아래에 이어서 민영 주택 신청 시,

청약 예치금 지역별·면적별 기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볼게요.

 


 

청약 예치금 지역별·면적별 기준

민영주택 청약 1순위 예치금 기준은 거주 지역과 청약하려는 아파트의 전용면적*에 따라 달라져요.

 

*전용면적이란? 아파트에서 발코니나 계단, 엘리베이터, 복도 등 공용공간을 제외한 순수 거주 공간만의 면적을 뜻해요.

→ 분양시 타입에 84a type 등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이 전용면적이며 전용면적으로 보면 84.xxx로 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어요.

 

 

지역·전용면적별 예치금액

구분서울/부산기타 광역시기타 시/군
85㎡ 이하300만 원250만 원200만 원
102㎡ 이하600만 원400만 원300만 원
135㎡ 이하1,000만 원700만 원400만 원
모든 면적1,500만 원1,000만 원500만 원

👉 여기서 꼭 주의할 점!

예치금 기준은 분양 아파트가 있는 지역 기준이 아니라, 본인의 주민등록상 거주지 기준으로 적용됩니다.

예를 들어, 내가 거주하는 주소지가 서울이라면 전용면적 135㎡ 이하 인천 송도 아파트를 청약할 때도 ‘서울 기준 예치금(1,000만 원 이상)’을 채워야 1순위가 돼요.

 


민영주택 청약 1순위 조건 및 당첨자 선정

청약 예치금만 채웠다고 해서 청약 1순위 자격이 생기는 건 아니에요.

청약 예치금 + 필수 청약 가입기간 기준을 충족해야 민영주택 청약 신청 시, 1순위 자격이 주어집니다.

 

민영주택 청약 1순위 청약통장 가입 기간 기준

위치청약통장 가입 기간
투기과열지구주택청약 가입 후 2년 경과
그 외 수도권주택 청약 가입 후 1년 경과
그 외 지방권주택 청약 가입 후 6개월 경과
위축 지역주택 청약 가입 후 1개월 경과

👉 민영주택 청약 1순위 조건을 맞추기 위해선 청약통장 가입 기간과 예치금 모두 충족해야한다는 점! 꼭 기억하세요.

 

*투기과열지구란? 집값 급등을 막기 위해 청약·대출·전매 규제가 가장 강하게 적용되는 지역을 뜻해요. 
(2025년 8월 기준, 서울 강남구·서초구·송파구·용산구)

*위축 지역이란? 인구나 산업이 줄어 주택 수요가 낮은 지역을 뜻해요.

 

민영주택 청약 당첨자 선정

민영주택 청약에서 1순위 요건(예치금 + 가입 기간)을 모두 충족했다고 해서 무조건 당첨되는 건 아닙니다.

1순위 자격을 갖춘 사람들 중에서도 당첨자는 가점제와 추첨제를 통해 결정돼요.

 

1. 가점제란?

가점제는 1순위자 간 청약 경쟁률이 높을 때, 점수(가점)를 기준으로 순위를 매겨 당첨자를 뽑는 제도예요.

가점은 총 84점 만점이며, 아래 3가지 항목으로 계산됩니다.

가점 항목최대 점수설명
무주택 기간32점무주택 기간이 길수록 점수 ⬆️ (최대 15년 이상 = 32점)
부양가족 수35점부양가족이 많을수록 점수 ⬆️ (6명 이상 = 35점)
청약통장 가입 기간17점가입 기간이 길수록 점수 ⬆️ (15년 이상 = 17점)

👉 결론적으로 가입기간과 무주택 기간이 길며 부양가족이 많을수록 가점이 높아져 중장년층에게 유리해요.

 

2. 추첨제란?

추첨제는 말 그대로 무작위 추첨으로 당첨자를 선정하는 방식이에요.

가점이 낮아 가점제에서 불리했던 2030세대도 충분히 당첨 기회를 노려볼 수 있습니다.

 


청약 예치금 Q&A

 

1. 청약 예치금, 한 번에 넣어도 되나요?

👉 가능합니다. 특히 민영주택 청약의 경우 납입 횟수가 아니라 예치 기준 금액 충족 여부가 중요해요.

예를 들어, 서울에서 전용 85㎡ 이하 아파트를 청약하려면 300만 원 이상만 채우면 되기 때문에, 입주자 모집공고문 발표될 때까지 한 번에 입금해도 1순위 요건을 갖출 수 있습니다.

 

2. 청약 예치금, 언제까지 준비해야 하나요?

👉 청약 공고일 기준으로 충족되어 있어야 해요.

청약홈 공고문에 ‘예치금 기준일’이 명시되는데, 보통 입주자 모집공고일 전일 혹은 당일이 기준이 됩니다.

 

또한 통장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요.

  • 주택청약종합저축 가입자 → 입주자모집공고일 당일까지 예치금 충족
  • 과거 청약통장(청약저축, 청약예금, 청약부금) 가입자 → 입주자모집공고일 전날까지 예치금 충족
  • 특히 청약저축 가입자는 민영주택 청약이 불가능하므로, 반드시 모집공고일 전일까지 청약예금으로 전환해야 신청할 수 있습니다.

 

3. 청약 예치금, 청약신청 당일 입금해도 인정되나요?

👉 청약신청 당일 입금은 인정되지 않습니다.

청약 자격은 청약신청일이 아니라 입주자모집공고일을 기준으로 산정돼요.

즉, 모집공고일이 기준이기 때문에 그날까지 예치금이 충족되어 있어야 1순위로 인정됩니다.

 

4. 청약 예치금, 매달 조금씩 넣는 게 좋을까요?

👉 국민주택은 납입 횟수(12회·24회 등)가 중요하므로 꾸준히 넣는 게 유리해요.

반면 민영주택은 한 번에 채워도 상관없으니, 내가 청약하려는 주택이 국민주택인지 민영주택인지 확인 후 전략적으로 납입하는 게 좋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청약 예치금의 기본 개념부터 지역·면적별 기준, 그리고 민영주택 1순위 당첨 조건까지 살펴봤습니다.

 

“청약 당첨은 운이 아니라 준비다.”

청약에 관심 있는 분들이라면 한 번쯤 들어보셨을 말이죠.

 

예치금은 1순위 자격을 갖추기 위한 출발선에 불과합니다.

정작 많은 분들이 당첨 소식을 듣고도, 계약금·중도금 같은

실제 필요한 자금 계획을 세워두지 않아 결국 기회를 놓치는 경우가 많아요.

 

청약은 ‘언제 넣느냐’만큼이나 ‘당첨 후에 어떻게 준비하느냐’가 중요한데요!

 

 

당첨 이후 필요한 자금 구조를 미리 알고, 준비하고 싶다면?

👇 아래 칼럼에서 확인해 보세요!

청약 당첨되면 제 돈 얼마 필요해요? 자주 묻는 청약 질문 Top

 

 

사진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댓글


월부Editor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