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실준반 수업중 너나위님께서 PIR KB부동산에서 보는 법을 알려주셨는데요
사실 잘 이해가 안되어서 질문 드려보아요..
이표를 보면 시계열 11시트인데요
전국과 서울시중 경기도 쪽은 어디를 보고 판단하는건지 PIR 11이하면 저평가된거라고하셨는데
1분위~5분위 이부분이 뭘의미하는건지 모르겠구요
소득을 1~5로 나눈거면 어디분위기준으로 판단하는건지요?
몇분위 기준으로 판단하는건지요?
자세히 아시는분 공유 부탁드려도 될까요?
부린이라 아직 갈길이 멀고 지식적으로도 잘 모르고 답답한데 또 욕심은 자꾸 생기는데
혼자하려니 답답하네요 >..<
월부 앱을 설치하고, 답변에 대한 알림🔔을 받아보세요!
앱을 설치하는 방법은 앱 출시 공지사항 ← 여기 클릭!
댓글
안녕하세요 초긍님~
실준반 강의로 공부하고 계시는군요 응원드립니다☺️
아시다시피 PIR이 집값이 소득 대비 어느정도 수준인지(N년 모아야 집 산다) 개념이기에
집값이 10억이라도 소득을 얼마로 보느냐에 따라 수치가 달라지고
소득이 1억이라도 집값에 따라 수치가 달라집니다.
따라서 거주민 소득과 주택 가격을 크게 5등급으로 나누어 발표하는건데요.
너나위님께서 알려주시는 기준은 서울 지역 & 3분위(주택가격&소득) 로 보시면 되고, 수도권 집값은 연동되기에 서울을 기준으로 수도권의 집값 수준을 판단합니다.
관련하여 월부인의 글을 첨부드리오니 참고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https://cafe.naver.com/wecando7/11549724?tc=shared_link
초긍님 안녕하세요 !! 위에 우도롱님께서 자세히 설명해주셨는데 경기도는 서울과 부동산 사이클이 같이 가기 때문에 서울 PIR 지수를 보고 판단하는 것만으로 충분합니다. 3분위(회색칸 굵은 글씨)를 기준으로 PIR을 판단하시면 됩니다. 빠이팅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