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Q&A

중소도시(50만 이하) 어떻게 생각을 해야 하는지 방향을 모르겠습니다.

25.08.30



선배님들.. 고견을 듣고 싶습니다.

 

1. 저는 최근에 군산이라는 지역을 앞마당으로 만들고 있습니다. but 고민이 생겼습니다.

지방 강의에서 지방의 기준이 인구이며, 50만이상 도시을 기준으로 보시는데요..

군산의 경우 인구가 26만입니다.

 

2. 앞마당을 만들다보니, 완전 완전 초신축기준으로는 저환(?)수원리에 맞다고 판단은 하였습니다.

단지. 고민이 되는 부분이 인구수가 26만인 도시가 환급성이 있을까? 받아들이는 수요가 있을까...

이부분이 가장 의문 및 고민이 되는 부분 입니다.

 

50만이하 중소도시는 어떻게 봐야지.. 하는 의문이 생겼습니다. 여러가지 생각이 많이 들어서요... T. T

 

3. 많은 선배님들.. 고견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바쁘시간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댓글


행복한노부부
25. 08. 30. 23:43

캔디수원님 안녕하세요 :) 날씨가 많이 더운데 열심히 임장하시는 모습이너무 멋집니다💛 군산도 군산 안에서 살아야 하는 분들이 있기때문에 선호하는 곳이고 기준에 맞으면 투자는 가능하지만 같은 투자금으로 할 수 있는 더 좋은 곳들이 많기때문에 현재 시장에서 우선순위는 아닌 거 같습니다. 저도 비슷한 인구 규모에 임장을 가고 물건을 찾던 경험이 있어서 응원드리고 싶었습니다. 인구 규모가 크다는 건 말씀처럼 거주해야하는 사람이 많기 때문에 환금성 면에서 더 좋고 상승장일때 수익률도 높을 확률이 많습니다. 중소도시 중에서도 인구가 더 많은 곳들 먼저 보시고, 비슷한 규모의 지역들 3개정도 만든 후 비교해보고 결정하면 좋을 거 같아요 응원합니다💛

버즈으
25. 08. 30. 23:56

안녕하세요 캔디수원님! 지방 앞마당을 늘리시고 계시군요! 너무 멋지십니다! 저는 50만 이하의 앞마당은 없지만 지방 위주의 앞마당을 많이 만들어 왔는데요! 1,3. 지방에서는 인구가 수요인 측면이 있으며 규모가 작을수록 더 수요가 작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므로 50만이상의 지역을 먼저 앞마당을 만들어 보시면 어떠실까 추천드려요ㅎㅎ) 2.단지에 따라서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답변인 어렵지만 환금성의 기준이 인구 수는 아니지만 수요가 작으면 상황에 따라 환금성에 불리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캔디수원님 화이팅입니다ㅎㅎ

라이프리
25. 08. 30. 23:58

캔디수원님, 군산을 앞마당으로 만들고 계시군요! 더운 여름날 화이팅입니다♡ 부동산에서 인구 규모는 즉 수요입니다. 그렇기에 26만 도시인 군산에서도 사람들이 좋아하는 아파트는 분명히 있습니다. 하지만 50만 도시에서 사람들이 좋아하는 아파트와 비교하면 어떨까요? 그리고 두 개 아파트의 가격이 똑같다면 어떨지 한번 생각해보세요 :) 수요 자체가 환금성, 수익성, 원금보전, 리스크 모든 것에 연결되어지기 때문에, 잃지 않는 투자를 위해서 50만 이상의 도시를 월부에서는 기준으로 삼고 있는데요. 구체적으로 더 많은 사람들이 좋아하는 아파트= 더 많은 수요이므로, 팔고 싶을 때 받아줄 사람도 더 많고(환금성), 시장 상황이 좋으면 가격도 더 많이 오를거고(수익성), 매매를 할 수 없으면 전세로라도 들어가고 싶어할 것이기에 전세가율도 잘 받혀주고(원금보전), 반대로 시장 상황이 좋지 않더라도 가격이 덜 떨어지기 때문에 투자자의 (리스크)도 덜하게 됩니다. :) 현재 앞마당이 어떤 지역이 있는지 모르겠지만, 중소도시, 광역시를 더 넓혀나가시다보면 자연스럽게 이해되실거에요. 캔디수원님 화이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