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는 좋은 것을 사두고 장기간 보유해야한다는 점, 돈을 버는 것은 그 물건을 살 때도, 팔 때도 아닌 '기다리는 것' 에 있다는 것.
좋은 것을 판별해내는 부동산의 입지 요소를 잘 알고 분석해야한다는 것 -> 부동산은 환금성과 입지(수요)다!
나의 수요도 중요하지만 투자할 때는 타인의 보편적인 수요를 고려햐여 수요(5가지 입지요소)를 잘 따져봐야 한다는 것.
호재를 부동산 투자할 때 얼마만큼 봐야하는지가 궁금했는데, 호재를 기름으로 비유하여 호재일 때와 악재일 때 어떤 역할인지, 좋은 호재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을 배운 점.
비전보드를 만들 때 내 직업적 분야에서 최고를 이루는 것과 투자자로서 탑을 찍는 것 동시에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것 -> 10년에 한 가지 상위목표를 세우고, 그것을 향한 하위목표를 세우고 나서 우선순위대로 생활하기 (치킨먹으면서 다이어트 하려는 욕심 x, 우선순위에 맞는 행동
<나에게 적용해보고 싶은 점>
좋은 물건을 찾아보자! - 현재 내 종잣돈 + 대출을 일으켜 투자할 수 있는 수도권 임장을 다니며 시세그룹핑을 해보는 것, 같은 가격대의 아파트 중 입지를 분석하여 우선투자순위를 매기는 것
전세가율& 전고점대비 하락률 & 입지 요소(타인의 수요) & 주변 공급 & 호재 유무 등을 잘 파악하여 1등 뽑기 해보기!
지역별 1등들 시세트레킹하고, 더 자주 임장다니면서 투자 원칙에 부합했을 때 매수하기(1호기 투자!!)
감정이 아닌 월부에서 배운 투자 원칙을 반복해서 익히고 세뇌해서 객관적인 기준을 갖고 투자하기
첫 술에 배부른 투자보다 잃지 않는 투자를 하는 것에 집중
절약하며 종잣돈 더 모으기
내가 활용할 수 있는 대출 제도 비교해서 투자 시뮬레이션 돌려보기, 대출금이 감당 가능한지도 파악
부동산 관련 뉴스 기사 꾸준히 읽기
월부 카페에서 올라온 매력적인 지역들 조사해서 임장가보기
미라클 모닝 실천해보기
상위목표를 향한 우선순위에 맞게 행동하기 - 한번에 다는 못한다. 투자와 공부 > 운동, 취미, 여가 ( 두 마리 토끼 다 잡으려 말고 한 쪽은 내려놓는 마음도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