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성향과 자금에 따른 차별화 전략
핵심 : 성향 및 자금 상황에 따른 접근법 차별화 전략
1) 투자를 먼저 생각해야 하는 사람 ← 나는 여기 해당!!
- 성향 : 거주안정성보다 자산을 쌓고 싶은 사람
- 자금 : 종잣돈이 부족하여 돈을 불려야하는 사람
2) 내집마련을 생각할 수 있는 사람
- 성향 : 거주안정성 우선
- 자금: 내집마련하고도 투자할 수 있는 사람
2. 자산 2억 고정,서울(또는 수도권) 한 채 Vs 지방 두 채
핵심 : 역량에 따른 전략 선택이 중요
1) 초보면 2억 한 채 구매 ← 나는 초보니까 여기 해당!!
- 시간이 지나면 집값이 너무 올라서 살 수 있었던 것도 못 살 수 있다. 지금 살 수 있는 것 중 최선의 것을 선택!
2) 자신 있다면 두 채 구매
- 단점 : 지방, 수도권 모두 검토하면 시간, 발품 더 많이 소요
- 장점 : 상대적으로 소액 투자 가능, Risk 분산, 전세를 월세처럼 받는 시스템(현금 흐름 발생), 양도세 과세 표준이 다름 ← 내가 지향해야 할 방향. 종잣돈을 조금 더 늘리고 적용해보기!
3. 저평가와 저가치 구분하기
핵심 : 저평가, 환금성, 수익률, 원금보존, 리스크 대비의 다섯가지 투자 기준을 기반으로 투자 선택
1) 저평가, 저가치를 구분하는 기준
- 저평가 : 서울에는 많지 않으며, 지방에는 꽤나 있음. 수도권은 상대적 저평가를 선택해야 함.
- 저평가 및 저가치의 기준 : 거주민 선호도, 환금성, 상대적 가격
4. 환금성
부동산이 오를 때 아파트 신축→재개발재건축→분양권→구축→주거용 오피스텔→… 순서로 오름.
-아파트 가격이 올라가는 건 오피스텔 대비 가진 땅이 많기 때문이고 건물이 노후화되어도 땅값이 높아지기 때문에 가치(가격)이 오르는 것. “내가 거주하기 편한 곳을 매수하는 것이 아니라, 많은 사람들이 매수하고 싶어하는 수요가 있는 주택 유형에 투자하기. 오피스텔, 지산, 도시형생활주택, 생활형숙박시설 등 어떤 유형의 집을 선택할 때에는 그에 장점만 보는 것이 아니라 수요 및 단점도 봐주시는 것”이 중요하다.
<나에게 적용하기>
댓글
홍디오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