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10월 돈버는 독서모임 - 돈의 얼굴
독서멘토, 독서리더

원씽 (게리 켈러)
# 본 것(인상깊은 구절)
p.17 당신이 이번 주에 할 수 있는 일 중 다른 모든 일들을 제쳐 두고서라도 꼭 해야 할 단 ‘한 가지 일’(The One Thing)이 무엇입니까?
‘파고든다는 것’은 곧 자신이 할 수 있는 다른 모든 일을 무시하고 반드시 해야만 하는 일에만 집중하는 것을 뜻한다.
아무것도 줄이지 않은 채 일을 자꾸 더하기만 하면 결국엔 부정적인 결과를 맞을 수밖에 없다. 마감 기한, 만족스럽지 못한 결과, 스트레스, 업무 시간, 수면 시간, 영양 상태, 운동, 가족/친구와의 시간
p.24 앞으로 성공을 생각할 때는 항상 달을 목표로 삼아라. 남다른 성과를 얻기 위해선 삶에서 도미노 효과를 만들어 내야 한다.
p.31 사람에게는 누구나 자신에게 최초로 영향을 끼치고, 자신을 훈련시키고 혹은 관리해 준, 가장 중요한 단 한 사람이 있기 마련이다. 누구도 홀로 성공할 수 없다. 그 누구도.
무언가를 향한 열정은 곧 어마어마한 양의 연습이나 노력으로 이어진다. 그렇게 쓰인 시간은 기술로 축적되고, 기술이 나아지면 결과 역시 나아진다. 더 나은 결과는 보통 더 많은 즐거움을 불러오고, 그러면 다시 더 많은 열정과 시간이 투자된다.
제1부 거짓말
p.51 제대로 된 인풋 하나가 대다수의 아웃풋을 만들어 낸다. 선택적 노력이 거의 모든 성과를 창조한다.
생각은 크게 하되, 아주 작은 곳에 초점을 맞춘다.
가장 중요한 일을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일이 되어야 한다.
p.62 해야 할 모든 일을 하기에 시간이 부족한 것이 아니라, 주어진 시간 내에 너무 많은 일을 해야만 한다고 느끼는 것이 문제다.
p.80 당신의 습관이 당신이 누구인지 말해 준다. 당신이 얻는 성취는 한 번의 행동이 아닌 삶에서 만들어진 습관에서 나온다.
p.99 많은 사람들이 “내 삶엔 균형이 필요해”라고 한탄한다. 그렇지 않다. 목적의식, 삶의 의미, 중요성, 이런 것들이야말로 성공적인 삶을 만드는 요소다.
중도적인 삶을 살아도 괜찮은 때가 있는가 하면 그렇지 않은 때도 있다. 언제 중도를 택하고 언제 극단을 달려야 할지 아는 것이 본질적으로 지혜로운 삶을 사는 방식이다. 탁월한 성과는 바로 이와 같은 시간과의 타협을 통해 이루어진다.
p.109 직업적인 성공에서 핵심은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이 얼마나 되느냐이다. 탁월한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무엇이 가장 중요한지 선택한 다음 그것을 성취하는 데 필요한 모든 시간을 들여야 한다. 개인적 삶에서는 무엇보다 ‘안다는 것’이 중요하다. 자신의 몸과 마음을 알고, 가족과 친구를 알고, 자신이 실질적으로 무엇을 필요로 하는지 알아야 한다.
p.117 큰 성과를 가능하다고 믿으면 기존과는 다른 질문을 던지게 되고, 다른 길을 따르게 되며, 새로운 것들을 시도할 수 있게 된다.
Think Big, Act Big, Succeed Big
멀리에서는 오를 수 없는 높은 산처럼 보이던 것도 거기에 도달했을 땐 그저 작은 언덕처럼 보일 것이다. 큰 것을 경험할수록 당신도 커진다.
제2부 진실
p.136 시작하는 비결은 복잡하고 어려운 일들을 관리하기 쉬운 작은 조각들로 나눈 다음, 가장 첫 번째 조각에 덤벼드는 것이다.
“나의 단 하나는 무엇인가?” 무엇을 완전히 배우고 싶은지, 무엇을 다른 사람들에게 전하고 싶은지, 그리고 나중에 어떻게 기억되고 싶은지.
“지금 당장 해야 할 단 하나의 일은 무엇인가?” 아침에 일어났을 때, 그리고 하루 일과 내내 이 질문을 사용하라.
이해하고 믿어라 → 개념을 이용하라 → 습관으로 만들어라 → 잊지 않게 메모하라 → 도움을 받아라
해답의 세 가지 범주. ‘당장 할 수 있는 것’, ‘최대한 힘을 발휘해야 하는 것’, ‘가능성이 있는 것’
p.161 무엇을 배우든 그것을 이용해 다른 최고의 성과를 올린 사람들이 했던 일을 연구, 즉 벤치마킹과 트렌딩을 실시해야만 한다.
‘최대한 힘을 발휘하는’ 접근법을 쓰면 당신이 처음 가졌던 ‘최고 한계점’이 이후에는 당신의 ‘최저점’이 될 것이다. 거기에서 멈추지 말고 그 너머로 올라가 다음번엔 또 어떤 것이 나타날지 멀리까지 내다보아야 한다. 이것이 ‘트렌딩’이다. 최고의 성과를 올린 사람들이 향하고 있는 방향을 찾는 일이다.
p.168 당신이 가져야 할 ‘big One Thing’은 목적의식이고, ‘small One Thing’은 그 목적의식을 행동으로 옮길 때 필요한 우선순위다.
제3부 위대한 결과
p.180 ‘큰 그림’을 보지 못하면 반복적으로 성공만 찾게 되기 쉽다. 왜? 일단 원하는 것을 얻고 나면 새로 얻은 것에 금세 익숙해지기 때문에 머지않아 행복감이 사라진다.
행복은 더 많은 재산보다는 더 큰 목적의식을 가졌을 때 나타난다. 그래서 행복은 만족으로 가는 길에 나타난다고 하는 것이다.
탁월한 성과를 내려면 자신에게 무엇이 중요한지 알고, 매일 그것과 발맞추어 행동해야 한다.
p.195 “당신은 지금 어디로 가고 있고, 최종적으로 어디에 있고 싶습니까?”
p.204 ‘불필요한 다른 모든 일’을 다 마치면 물론 그날 밤 잠을 더 푹 잘 수 있을지는 몰라도, 그것이 당신을 승진시켜 주지는 않을 것이다.
휴식시간 확보하기 → 단 하나의 일을 할 시간 확보하기 → 계획할 시간 확보하기
p.210 “그거야 스티븐 킹이니까 그렇게 할 수 있는 거죠!” “그가 스티븐 킹이기 때문에 이렇게 할 수 있는 걸까요, 아니면 이렇게 하기 때문에 스티븐 킹이 된 걸까요?”
매주 한 시간을 따로 떼어 연간 목표와 월간 목표를 검토하라.
확보한 시간을 보호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그것을 변경하거나 미룰 수 없다는 생각을 확고히 하는 것이다. 관건은 단 하나의 일이 완수될 때 넘어가기 시작할 도미노의 모습을 머릿속에 확고히 그리고, 그렇게 되면 다른 모든 일이 더 쉬워지거나 불필요해질 수 있다는 사실을 명심하는 것이다.
p.221 단 하나를 위한 세 가지 약속 : 1) 자신의 일을 완벽하게 자신의 것으로 만들어 최고의 경지에 이르고자 하는 마음가짐을 가져야 한다. 2) 끊임없이 최적의 길을 찾으려 노력해야 한다. 3) 자신만의 단 하나를 달성하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일을 하고 있다고 기꺼이 책임질 수 있어야 한다.
p.225 “단순히 최선을 다하고 있는 겁니까, 아니면 이룰 수 있는 최고의 결과를 얻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는 겁니까?” 많은 사람들이 스스로 최고의 노력을 기울이고는 있지만, 이룰 수 있는 최고 수준까지 노력하지는 않고 있다.
p.231 자신의 결과에 대해 다른 누구도 아닌 스스로 책임을 지는 것이야말로 성공을 위해 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행동이다.
p.235 아마추어와 전문 연주자들 사이의 가장 중요한 차이점은 미래에 전문 연주자가 된 사람들은 스승이나 코치를 찾아내고, 그들의 지도하에 훈련을 한 반면, 아마추어들은 그와 비슷한 유형의 연습을 하는 경우가 매우 드물었다.
p.241 자신이 무엇을 원하는지 아는 것의 절반은 그것을 얻기 위해 무엇을 포기해야 하는지 아는 것이다.
p.251 생산성 높은 사람의 일간 에너지 계획 : 명상/기도. 건강하게 먹고, 운동하고, 충분히 잔다. 사랑하는 이들과 교감, 목표-계획-달력, 단 하나를 위한 시간 확보. 오전 시간을 에너지 보충에 투자하면 별다른 노력을 기울이지 않아도 남은 하루를 잘 버텨 낼 수 있다.
홀로 성공하는 사람도 없고, 홀로 실패하는 사람도 없다. 주변 사람들에게 관심을 기울여라.
p.259 문제는 최대한 큰 삶을 살려면 생각만 크게 하는 것이 아니라 거기에 이르는 데 필요한 행동을 취해야 한다는 것이다.
p.260 나는 땅에 사과나무 한 그루를 심고 싶었다. 그런데 완전히 자란 나무는 살 수가 없었다. 내가 선택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은 작은 묘목을 사서 크게 키우는 것이었다. 크게 생각할 수는 있지만 작게 시작하는 것 말고는 다른 도리가 없는 것이다. 나는 그렇게 했고, 5년 뒤 첫 사과를 얻었다. 당신이 손에 넣을 수 있는 것은 작은 것과 그것을 크게 키울 수 있는 기회뿐이다.
p.263 두려워하지 말고 온전히 살아라. 목적의식을 가지고, 거기에 모든 걸 바치고, 절대 포기하지 마라.
# 느낀 점, 적용할 점
1. 이전과 다르게 와닿은 부분
- (p.31) 즐거움까지의 순서 : 열정이 시작 → 연습량/노력량 → 기술 → 더 나은 결과 → 즐거움 → 더 큰 열정 → 더 많은 시간
결국 중요한 건 열정이 필요하다. 열정 없이 타인에 의해 연습량/노력량을 늘리게 되면 그 자체가 얼마나 괴롭겠는가. 나 자신에게도 필요한 말이고, 튜터링 등으로 투자활동을 힘들어 하는 분을 만났을 때 ‘투자를 시작하던 때의 열정’을 불러일으키는 게 중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동기부여는 타인이 해주는 게 아니라고 하지만, 스스로 동기 부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건 할 수 있다. 자모님께 큰 울림을 받는 것도 만나는 사람들의 가슴에 다시 뜨거운 불이 타오를 수 있도록 동기부여를 잘 해주시기 때문이라는 생각이 든다.
- (p.51) 제대로 된 인풋 하나가 대다수의 아웃풋을 만들어 낸다. 선택적 노력이 거의 모든 성과를 창조한다. (p.182) 탁월한 성과를 내려면 자신에게 무엇이 중요한지 알고, 매일 그것과 발맞추어 행동해야 한다. 어떤 일을 할 때 잘 안 풀리더라도 스스로 그 이유를 제대로 알고 있다면 더욱더 노력할 수 있는 동기와 의지가 생긴다.
생각이나 고민을 하지 않고 인풋을 넣어야 하는 시기를 지나고 나면 ‘제대로 된 인풋’이 무엇인지 고민하고 그 파레토를 찾는 게 중요하다. 그를 위해서는 큰 그림이 명확해야 한다. ‘나는 OO한 사람이 되고 싶은데 지금 이런이런 것에 집중하는 게 제 목표를 위해 맞는 걸까요?’라는 질문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 (p.180) ‘큰 그림’을 보지 못하면 반복적으로 성공만 찾게 되기 쉽다. 왜? 일단 원하는 것을 얻고 나면 새로 얻은 것에 금세 익숙해지기 때문에 머지않아 행복감이 사라진다.
내가 꾸는 큰 그림이 정말 중요하다. 이건 WHY와도 연결되는 부분인데, 내 마음에서 진심으로 원하는 게 무엇인지 모르는 상태에서는 남들이 하는만큼, 그 이상 내가 해내야 ‘성공’한 것처럼 생각하게 되고, 필연적으로 나는 남보다 부족한 부분이 있기에 이는 곧 자신감 부족이나 실패의식으로 연결되기 쉽다. 반대로 나의 큰 그림이 명확하다면 남들이 보기에 ‘실패’인 일도 나에게는 실패가 아니게 된다. 그게 진짜 중요하다.
- (p.225) “단순히 최선을 다하고 있는 겁니까, 아니면 이룰 수 있는 최고의 결과를 얻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는 겁니까?” 많은 사람들이 스스로 최고의 노력을 기울이고는 있지만, 이룰 수 있는 최고 수준까지 노력하지는 않고 있다.
뼈아픈 팩폭인데, 성공을 위해 너무 중요한 말이다. 중요한 건 ‘저는 최선을 다했어요’가 아니라, 최고의 결과를 얻기 위한 최선이 무엇인지 찾고 그것에 온 힘을 다하는 것. 간혹 ‘내 노력’으로 타협하게 되는 순간이 있는데, ‘최선’인지 생각해보아야 한다. ‘최고 수준의 노력’
2. 열반 중급반 후배분들과 나누고 싶은 이야기
(p.62) 해야 할 모든 일을 하기에 시간이 부족한 것이 아니라, 주어진 시간 내에 너무 많은 일을 해야만 한다고 느끼는 것이 문제다.
(p.123) 멀리에서는 오를 수 없는 높은 산처럼 보이던 것도 거기에 도달했을 땐 그저 작은 언덕처럼 보일 것이다.
(p.260) 나는 땅에 사과나무 한 그루를 심고 싶었다. 그런데 완전히 자란 나무는 살 수가 없었다. 내가 선택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은 작은 묘목을 사서 크게 키우는 것이었다. 크게 생각할 수는 있지만 작게 시작하는 것 말고는 다른 도리가 없는 것이다. 나는 그렇게 했고, 5년 뒤 첫 사과를 얻었다.
요즘은 실전준비반, 서투기 수업 이후에 열중반을 듣는다고 하니.. 아마 투자 공부를 하는데 해야할 일이 너무 많아서 힘들게 느끼는 분들이 이전보다 더 많을 것 같다. 중요한 건, 더 많이 하는 게 아니라 지금 나에게 중요한 일을 정하고 힘을 쏟는 것. 그리고 너무 높은 산처럼 보이는 것을 언덕으로 바꾸겠다는 마음을 갖는 것. 그를 위해서는 큰그림을 그리고 (비전보드) 작은 묘목을 사서 매일 물을 주는 것.
3. 적용할 부분
(p.112) 무게를 맞추는 삶을 살아라. 중요한 일을 맨 앞에 두고, 나머지 부분들은 기회가 닿는 대로 관심을 쏟아라. ▶ 원씽 외의 일들은 집 오기 전까지 틈틈이 (시세, QnA, 댓글, 글쓰기)
(p.158) 크고 구체적인 질문은 크고 구체적인 해답으로 이어진다.: “향후 6개월간 매출을 두 배로 높이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목표는 큰 동시에 구체적이다. 여기에는 큰 해답이 필요하다. 스스로 생각하는 한계를 더욱 넓히고, 기존에 가지고 있던 해결책 이상의 것을 살펴야 할 것이다. ▶ 4분기 3개월간 만 명을 돕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한 달에 4천 명. 일주일에 1천 명. QnA는 모두 답을 할 것 + 일주일에 천뷰
(p.196) 목표와 가장 중요한 것을 적어두는 것은 우선순위에 따라 살기 위해 당신이 해야 할 마지막 단계다. ▶ 목실감에 월/주간 목표와 원씽 기록
(p.213) 매주 한 시간을 따로 떼어 연간 목표와 월간 목표를 검토하라. ▶ 토요일 23시
(p.248) 매일 에너지 사용 계획을 세워라. ▶ 8시 독서, 9시 목실감 & 꿈 그리기
(p.221) 단 하나를 위한 세 가지 약속 : 1) 자신의 일을 완벽하게 자신의 것으로 만들어 최고의 경지에 이르고자 하는 마음가짐을 가져야 한다. 2) 끊임없이 최적의 길을 찾으려 노력해야 한다. 3) 자신만의 단 하나를 달성하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일을 하고 있다고 기꺼이 책임질 수 있어야 한다. ▶ PC 목표글에 추가
# 논의하고 싶은 부분
p.51 제대로 된 인풋 하나가 대다수의 아웃풋을 만들어 낸다. 선택적 노력이 거의 모든 성과를 창조한다. 당신이 원하는 것 중 대부분은 당신이 실천하는 몇 개의 일에서 비롯될 것이다.
Q. 의미 없는 노력은 없다는 말도 맞지만, 인풋-아웃풋의 관점에서 파레토를 찾는 것이 성공에 중요한 방법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각자 큰그림이 무엇인지, 현재 시점에 필요한 ‘제대로 된 인풋(파레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고 있는지 이야기 나누어보고 싶습니다.
댓글
우도롱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