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10월 돈버는 독서모임 - 돈의 얼굴
독서멘토, 독서리더

1. 책 제목: 월급쟁이 부자로 은퇴하라
2. 저자 및 출판사: 너나위
3. 읽은 날짜:25.09
4. 총점 (10점 만점): / 10점
[1장 왜 투자를 해야 하는가]
-돈의 가치는 떨어진다. 소득을 자산으로 이동시켜야 한다.
-첫째로 생각해야 하는 것은 경제적 자유가 아닌 노후대책
[2장 당신과 돈이 가야 할 방향]
-나아가야 할 방향은, 시간을 직접 투입하지 않아도 돈을 벌 수 있는 방법이다.
시간과 무관하게 돈을 버는 사람은 오히려 노동자보다 돈은 더 많이 벌면서 시간 역시 많다.
돈을 버는 방식보다 쓰는 방식을 변화시키는 데서 답을 찾았다. 소비자산→생산자산
-투자할 대상에 관한 정확한 이해와 기준이 없다면, 투자가 조금만 힘들고 원하는 대로 일이 풀리지 않을 때 포기할 가능성이 크다. 꾸준한 투자를 위해서라도 반드시 생각해 보길 바란다.
[4장 성공 투자를 위한 필수 지식]
-투자를 통해 돈으로 인한 어려움을 극복하고 싶다면 먼저 해야 할 것이 있다. 그동안 갖고 있던 경제적으로 여유롭고, 폼 나는 투자자의 이미지를 머릿속에서 지우는 것이다. 오히려 주변 사람으로부터 ‘왜 저렇게까지 할까?’라는 소리를 들을 각올도 해야한다.
[5장 누구나 따라할 수 있는 투자 메뉴얼]
-'거기 아니면, 여기에 하지 뭐'란 마음이 드는 상황을 만들어 두는 것이다. 이는 곧 2개 이상의 투자처를 확보해 둔다는 의미다
[6장 당신의 돈 그릇을 키우고 싶다면]
-오래 걸어가야 하는 길 위에. 당신뿐 아니라 같은 곳을 향하는 사람들도 함께한다면 그 길이 힘들기만 한 것은 아닌 것이다.
-투자를 해야하는 이유를 알았다. 목표를 투자로 정했다면, 종잣돈을 만들기 위한 첫 단계로 나의 소득(돈) 흐름을 잘 파악하고 관리해야 한다.
-그동안 꾸준히 하기 힘들었던 이유는, 명확한 지식이 없어서 그런것 같다. 그 정확한 이해와 기준을 가지는데 분명 힘들이 있을것이다.
-막연히 종잣돈을 만들기 위해 아끼는 것이 아니라, 불필요한 소비를 과감히 줄이고, 과할 정도로 아끼고, 투자에 진심으로 행동할 것.
-투자를 할 때 한 아파트에 모든것을 다 걸지 말자. 그렇게 할 경우 조급하고 투자를 망칠수 있다
-혼자하면 빠를 것 같지만, 금방 지치고 그만둘 가능성이 높다. 조금 느릴지라도 동료들과 함께 즐겁게 투자를 하고 싶다.
-내 소득과 지출 명확히 알고, 비전보드 작성하여 잘 보이곳에 놓기.
-경제와 투자관련 서적 읽기 / 투자강의 듣고, 오프라인 모임 참석하여 동료 만들기/
실제로 투자하기 / 이것을 계속 반복하기!
-불필요한 소비를 줄이고, 생산자산 구입에 집중하기.
소득→절약→저축→투자→반복
-임장을 다녀 왔다면 그 지역은, 그지역에 살고있는 사람들보다 더 정확히 파악할 정도로 알기.
-잔금일과 전세 만료 시점은 가능하면 성수기에 맞춰 세팅하기. 2,3,9,10월
-최소 6개월은 하루도 빠짐없이 독서하기
-동료들에게 먼저 베풀고 다가가기
-문제 원인을 외부에서 찾지 말고, 내가 이 상황을 바꿀수 있는 것이 무엇이 더 고민하기.
P334
지금 당장 투자하지 않아도 망하지 않는다. 준비하고 있으면 결국 기회가 당신을 찾아온다.
잘 준비하고 꾸준히 투자한다면, 지금은 저만치 앞서가는 것처럼 보이는 이들도 결국 한 지점에서 만날 수 있다.
당신이 ‘그래, 이거야!’를 외치며 의지와 열정으로 충만해진 상태라면, 이것이 조급함으로 둔갑하는 순간을 경계하라.
P356
‘문제의 원인은 내가 아닌 상대에게 있다’라는 식의 아마추어 같은 사고를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내가 무엇을 할 수 있을까?’ 고민하는 프로의 태도로 바꾼다
P310
-현재 월세 임차인이 있어서 당장 월세 보증금 5천만원을 중도금으로 지급하면 잔금을 치르지 않고도 공실을 만들어 수리할 수 있는 물건도 있었다.
Q 규제 상황 속에서 월세낀 매눌 매수하는 프로세스와 리스크에 대해 논의 하고 싶습니다
-월세입자와 협의후 보증금 지급하고 공실 만들어 수리하고 전세 세팅하기
-협상이 잘 되지 않았다면 이사비용 또는 사례금으로 협상 진행해보기.
#월급쟁이부자들 #월부 #열반스쿨중급반 #재테크책 #부동산책
댓글
기브미자유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