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배너
전문가칼럼

노후 준비 자금, 연금저축계좌에 S&P500 ETF 담아야 하는 이유

23시간 전

 

과연 우리가 나이 들어서

더 이상 생산 능력이 없는 시기에

노후자금은 얼마나 필요할까요?

국민연금 연구원이 발표한 

제10차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에 따르면, 

2024년 말 서울 거주 부부 기준 

최소 노후 생활비는 월 248만 원, 

적정 생활비는 월 337만 원 이상으로 추산됩니다.

 

평균 수명을 고려해 25년간 생활한다고 가정 시, 

최소 10억 원 이상의 노후자금이 

필요하다는 계산이 나오는데요.

이 때문에 노후준비는 늦다고 생각할 때가

가장 빠를 때라는 말이 나오는 것 같습니다.

일찍부터 시작하지 않으면, 단순 저축만으론

마련하기 어려운 금액이기 때문이죠.

노후 최소, 적정 생활비

구분

최소 생활비

적정 생활비

부부 기준

개인 기준

부부 기준

개인 기준

전체

217만 원

136만 원

297만 원

192만 원

거주 지역

서울

248만 원

157만 원

337만 원

220만 원

광역시

215만 원

131만 원

299만 원

186만 원

208만 원

132만 원

284만 원

186만 원

자료: 제10차 국민 노후보장패널조사, 국민연금연구원

여기서 직장인이라면 연말정산 시,

사업자나 프리랜서는 종합소득세 신고 시

세액공제 혜택을 챙길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인 노후자금 전략!

연금저축계좌의 활용을 

빼놓을 수 없습니다.

 

그렇다면 연금저축계좌 안에 

무엇을 담아야 할까요? 결론부터 말하면, 

장기 복리 효과를 누릴 수 있는 

S&P500 ETF가 

가장 합리적인 선택이라는 생각입니다.

지금부터 그 이유를 차근차근 살펴볼까요?

 

 

 

1. 노후자금 마련에 연금저축계좌

활용해야 하는 이유 

예를 들어 연봉 5,000만 원인 당신이 

연금저축계좌에 매달 30만 원씩 

 납입한다고 가정해 봅시다.

연간 총 납입액: 360만 원

총 급여 5,500만 원 이하인 경우 → 

세액공제율 16.5% 적용

= 최대 59만 4천 원 세금 덜 내도 됨

내야 할 세금이 마이너스인 경우 

세금 환급 가능!

 

 

1년 세액공제 금액으로 59만 원이 

적어 보일 수도 있지만 

20년 동안 꾸준히 납입 가정 시, 

해당 기간 내 세액공제로만 

총 1,188만 원의 혜택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이죠!!

 

 

이와 동시에 과세이연으로 

자산의 복리 성장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노후준비 자금 마련을 위해, 

연금저축계좌는 단순 투자 수단이 아닌 

절세가 가능한 세테크 + 

장기 복리효과를 누릴 수 있는

 성장 플랫폼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걸 아직 활용 안 하고 있다면

당신은 한걸음 뒤처져 있는 것이라고 

말하고 싶네요.

 

 

 

 

2. 연금저축계좌에 S&P500 ETF

담아야 하는 이유?

 

 

세계 증시에서 가장 큰 규모를 차지하는

미국 증시 중에서도 대표 지수 격인 

S&P500 ETF에 투자하는 것은, 

안정성과 성장성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는 최적의 투자 전략입니다.

▶ 미국 대표 500대 기업 자동 분산 투자 

→ 개별 기업 리스크 최소화

▶ 성장성 있는 기업으로 지속 교체 

→ 30년 이상 우상향 흐름 유지

(연평균 수익률 최소 8~10%)

 

 

▶ 하락장에서 회복력 강함 

→ 연금저축계좌의 장기 투자에 적합

▶ 인플레이션·환율 환경에서도 경쟁력 

→ 글로벌 대표 장기 투자 자산

자료: Google 

 

 

3. 복리의 힘: 

단순 저축 vs S&P500 ETF

 

 

노후자금을 단순 저축으로만 모으는 것과

 S&P500 ETF 적립식 투자로 모으는 것은

 차원이 다르다고 할 수 있습니다.

매달 100만 원씩 10년간 저축

(연 2% 금리)과 

S&P500 ETF 투자

(연 8% 수익률 가정)를 비교하면,

구분

5년 후

10년 후

15년 후

단순 저축 

(연 2% 이자)

6,300만 원

1억 3천8백만 원

2억 2천만 원

S&P500 ETF

 (연 8% 수익률)

7,300만 원

1억 7천3백만 원

3억 8천만 원

👉 같은 금액을 넣어도, 복리 효과 덕분에

 장기적으로는 S&P500 ETF가 

노후준비 자금을 더 빠르게

불려주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점을

눈으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4. 연금저축계좌에서 매수 가능한

국내 상장 S&P500 ETF

현재 국내에도 여러 운용사의 

S&P500 ETF가 상장되어 있는데,

최근 몇 년간 성과와 자금 유입을 비교해 보면

사실 특징이 뚜렷합니다. 

* 자산규모(AUM) 큰 5가지 상품만

가지고 와봤음.

자료: Funetf

① 자금 유입 규모

먼저 자금 유입 규모를 보면 

최근 6개월 사이 Kodex 미국S&P500 상품에

가장 많은 투자 자금이 

유입된 것을 보실 수 있는데,

이는 최근 Kodex에서 향후 15분기 동안

추가 분배금 지급을 발표했기 때문입니다. 

자료: ETF Check

 

 

② 분배율

실제로 올해 예상 분배율을 보면

Kodex 미국S&P500 ETF가

연 2.05%로 가장 높은 것을 보실 수 있고,

(운용보수는 수익률에 모두 반영되니

바로 아래에서 따로 비교해 볼게요~)

자료: Funetf

 

③ 기간별 수익률

총 운용보수 비용 반영 및 

분배금 재투자를 가정한 수익률의 경우에도 

Kodex 미국S&P500ETF가

가장 수익률이 높은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사실 같은 S&P500 지수를 추종하기에

수익률에는 거의 차이가 없지만,

매우 미세한 차이가 존재하는 이유는

운용보수나 운용 능력의 차이 때문이라고 

할 수 있지 않으려나요?

 

자료: Funetf

 

이처럼 연금저축계좌에 투자할

국내 상장 미국 S&P500 ETF를 고를 땐,

단순히 주변에서 많이 사는 브랜드를 

고른다거나 하기보다는

실제 기간별 운용 성과(수익률)와

분배율을 보고 상품을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오늘 글에서 드리고 싶은 말씀은 하나에요.

노후준비는 단순히 저축만으로 

해결되지 않는다는 것.

앞서 살펴본 것처럼, 넉넉하게 살려면

노후자금으로 최소 10억 원 이상이 

필요하기 때문에, 우리는

하루빨리 준비를 시작해야 하며

세액공제 혜택까지 주어지는 연금저축계좌를 

더욱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합니다.

그리고 그 안에 담을 자산 중 하나는

분명하다고 생각합니다.

바로 S&P500 ETF! 

전 세계 경제를 주름잡는 미국 500대 기업에 

분산 투자하면서도 장기 복리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대표 상품.

여러분의 오늘 작은 선택이 

20년 뒤 노후준비의 격차를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당장 실천합시다!


댓글


주아팬더
25. 09. 09. 13:21

지금바로 실천하는 ETF.. 저도 개설해야겠네요

탑슈크란
25. 09. 09. 17:57

세액공제, 과세이연과 함께 우상향하는 S&P500 투자! 여러 상품중에서 무엇이 좋은지도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원씽포커싱
25. 09. 09. 19:02

저는 잘 모르고 누가 추천해줘서 사고 있었는데, 뭔가 근거를 보니 더 열심히 모아야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