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10월 돈버는 독서모임 - 돈의 얼굴
독서멘토, 독서리더

1. 책 제목: 몰입
2. 저자 및 출판사: 황농문
3. 읽은 날짜: 25.09.06-09.
4. 총점 (10점 만점): 7점 / 10점
#머리를 쓰자 #생각을 하자
생각 없이 열심히 노력만 하지 말고 머리를 써라. 제품이 아닌 작품을 만들 듯이 연구 활동 하나하나에 최선을 다하라.
work hard가 아니라, think hard하라.
강의, 독서를 몰아치듯이 하지만, 인풋 중심이라는 생각을 했다. 그 인풋들이 모여 자연스럽게 내 안에 쌓이고 내가 달라질거라는 막연한 생각으로. 하지만, 독서후기를 쓰면서 생각을 정리하 듯, 인풋들을 모아모아 생각을 해야 한다.
# 생각먼저 #능동적몰입
배워야할 것에 대해 생각을 많이 한 뒤에 책을 보는 것과 그냥 곧바로 책을 보는 것의 차이점을 발견했다. 생각의 단계를 거친 뒤 책을 읽으니까 새롭게 생각해야 할 단서들이 걷잡을 수 없을 만큼 쏟아졌다.
#몸이 희노애락을 결정한다
내가 되고자 하는 목표에 맞게 시냅스를 형성시킬 수 있으려면 경험이 입력되어야 하고 이러한 입력은 환경에 영향을 받는다. 내가 되고자 하는 목적에 맞는 환경으로 들어가야 한다. 지금 월부가 나의 몰입을 돕는다.
#천재 #한계를 뛰어넘는 문제를 마주하고, 오랜 시간 스스로 생각하는 사람
‘진짜 천재’는 자기 스스로 생각해서 그 방법을 찾아낸 사람이다. 항상 스스로 생각하는 것이 중요하다. 자신의 한계를 뛰어넘는 문제를 풀려고 노력하는 활동은 비록 가시적인 결과를 도출해 내지 못한다 하더라도 큰 의미가 있다. 이렇게 난이도가 높은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평소보다 훨씬 더 강도 높은 사고 체계를 가동해야 하기 때문이다. 모르는 문제에 대해 생각하는 과정에서 창의력이 발휘된다. 1분밖에 생각할 줄 모르는 사람은 1분 결려서 해결할 수 있는 문제밖에 못 푼다. 10시간 생각하는 사람은 그보다 600배나 난이도가 높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하루에 열시간씩 10일을 생각하는 사람은 6000배의 난이도까지 100일을 생각하는 사람은 6만 배의 난이도까지 해결할 수 있다.
#생각을하면 주도적이게 된다.
일을 생각하지 않고 주어진 일을 밤새워 하면 자신이 발전하기 보다는 소모된다는 느낌을 더 강하게 갖는다. 반면, 자나 깨나 자신의 일을 분석적으로 생각하면서 일하면 자신의 능력은 점점 더 빠른 속도로 키우고 동시에 열정과 호기심도 강해진다. ‘내가 좋아하는 일을 함으로써 행복을 추구하지 말고, 내가 해야 할 일을 좋아함으로써 행복을 추구하라’. 이를 이루려면, 내가 해야할 일을 먼저 생각하고, 이 생각을 통해 수동적으로 주어지는 일을 하는 게 아니라, 주도적으로 일을 하게 된다. 이게 능력을 키우는 방법이다. 일을 쳐내는 게 중요한 게 아니다. 생각이 먼저다.
#성공 #포기하지않기 #스스로 보상을
성공 체험을 많이 해봐야 긍정적인 감정도 생기고, 이것이 보상으로 작용해 지속적으로 목표를 추구할 수 있는 힘도 생긴다. 이 힘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작은 성공에도 크게 기뻐하는 것이 좋다. 반대로 실패를 경험했을 때는 좌절의 부정적 감정을 최소화시키는 것이 좋다. 뉴턴과 아인슈타인처럼 답이 보이지 않아도 포기하지 않고 계속해서 문제를 풀기 위해 생각하는 것이 지적 능력을 100퍼센트 발휘하는 방법이다. 포기하지 않고 계속하면, 성공한다.
각 잡고 책상에 앉아서 강의를 듣고 컴퓨터로 자료를 만들고 정리해야만 내 할일을 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편안하게 머리를 기대어 앉아 알파파를 유지한 채 천천히 생각하는 것. 그걸 해봐야겠다. 오히려 뇌의 부담을 낮추고 내가 하고 있는 것들을 장기기억으로 정리하고, 내가 해야할 것이 무엇인지를 깨닫게 되고 주도적으로 하게 될 것이다.
p. 165 몸이 희노애락을 결정한다.
어떤 시냅스가 형성되느냐에 따라 인생이 결정된다. 창의력, 문제해결력을 높이는 시냅스가 발달하면 좋을 것이고, 내가 해야 할 일을 재미있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시냅스가 발달해도 좋을 것이다. ㄱ렇게 하기 위해서는 그러한 시냅스를 형성시킬 수 있는 경험이 입력되어야 한다. 입력은 주위 환경에 영향을 받으므로 나를 좋은 환경에 둘 필요가 있다.
p. 166 몸이 희노애락을 결정한다.
‘마라토너스 하이’라는 현상이 있다. 마라톤을 하다 보면 지극히 힘든 상태를 경험하게 되는데, 이 고비를 넘기면 다시 충만한 자신감과 힘이 생겨서 계속 달릴 수 있다는 이론이다. 이는 우리 신체의 마이너스 피드백이 극도의 고통을 무마하기 위해 뇌 속에서 엔도르핀을 분비하여 기분을 고양시키는 현상이다. 따라서 마라톤을 여러 차례 하다 보면 보다 쉽게 엔도르핀이 분비되어 기나긴 코스를 완주하는 고토잉 점점 견디기 쉬워진다. 이것이 뇌과학의 견지에서 바라본 인내력의 원리이다.
p.227 천재성을 일깨우는 생각의 힘
1분밖에 생각할 줄 모르는 사람은 1분 결려서 해결할 수 있는 문제밖에 못 푼다. 60분 생각할 수 있는 사람은 그 보다 60배나 난이도가 높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10시간 생각하는 사람은 그보다 600배나 난이도가 높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하루에 열시간씩 10일을 생각하는 사람은 6000배의 난이도까지 100일을 생각하는 사람은 6만 배의 난이도까지 해결할 수 있다.
해야 할 일을 즐기는 행복한 삶
p. 305
내가 깨달은 행복의 비법은 그리 특별한 것이 아니라. 그것은 바로 ‘내가 좋아하는 일을 함으로써 행복을 추구하지 말고, 내가 해야 할 일을 좋아함으로써 행복을 추구하라’는 것이다.
p. 308 엔트로피 법칙
어떤 일이 일어나려면 반드는 그것을 일으키는 구동력이 있어야 한다. 우리의 모든 행위에도 엔트로피 법칙을 적용할 수 있는 데, 어떤 일을 할 때 그 일을 하게끔 하는 동기 부여 또는 이유가 바로 구동력이다.
성공하는 삶의 조건
p. 312
뉴턴이 만유인력의 법칙을 발견하기까지 내내 그 생각만 했다는 것은 역으로 그 문제를 오랫동안 풀지 못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인슈타인이 또한 몇 달이고 몇 년이고 생각하고 또 생각했다는 것은 오랫동안 문제를 못 풀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들은 삶의 대부분을 이러한 상태에서 보냈는데, 이것이 바로 창조를 잉태하는 모습이고 지적 능력을 100퍼센트 발휘하는 모습이다. 즉, 뉴턴과 아인슈타인처럼 답이 보이지 않아도 포기하지 않고 계속해서 문제를 풀기 위해 생각하는 것이 지적 능력을 100퍼센트 발휘하는 방법이다.
p. 320 몰입으로 얻은 축복받은 삶
축복받은 삶은 내가 가진 능력을 마음껏 발휘해서 뒤돌아보면 한 치의 후회가 없는 삶이다. 자신의 능력으로는 도저히 불가능해 보이는 목표에 도전하고 마침내 그것을 성취했을 때 희열을 느끼면서 발전하는 하루하루 감동하는 삶이다.
‘천천히 생각하고 하나의 문제를 오래 생각하고 몰입한다’ 는 저자의 신념. 저는 해야할 일을 루틴으로, 강박처럼 하면서 살아가는 느낌입니다. 여러분은 어떠신가요?
#몰입 #생각하기 #목표를가지고능동적으로 #운동하기 #긍정보상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