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용미입니다~!
아침저녁 일교차가 심한 것 같아요!
감기, 체력관리 유의하며
임장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저는 이번달, 월부학교 마지막달로
자율임장지를 서울로 선택해
임장을 하고 있는데요!
임장하면서
아, 생활권별로 사는 사람들이
너무 많이 차이가 나는데?
이 격차를 좀 확인 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
고민하다가
매달 임보에서 "구별 소득"으로
그 지역구 소득을 확인하는 걸
좀 더 디테일하게 알아보고 싶다!
라는 생각을 하게되었습니다.
그러다 찾게된게
"상권분석서비스"
창업을 준비하시는 분들을 위해
뜨는 상권, 점포개수, 인구수, 점포생존률
이런걸 알려주는 사이트인데
여기에 딱 제가 원하던
"동별 소득"이 있었습니다.
https://golmok.seoul.go.kr/stateArea.do
지역·상권별 현황 - 지역별 현황 : 서울시 상권분석 서비스
지역상권별현황 - 소득/가구수 를 검색하고!
구별 상세를 누르면!
동별 소득분위가 촤르르륵~~ 나옵니다!!
이걸 엑셀로 긁어가서 동별 소득 분위표를 만들면 되는데요!!
그냥 이렇게 방법만 알려드리면 또 너무 섭하지 않겠습니까?!
그래서 가져왔습니다~!!
서울시 전체 구별 상세동의
소득분위표 한판 정리입니다!!
제 앞마당인 성북구를 체크해 보았는데요!
성북구를 보면, 평균은 7분위로
월평균 300~370선의 소득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중 길음1동과 돈암2동은 8분위로
월평균소득이 400만원이네요?!
임장하면서 길음동이 제일 좋은 생활권이다 느꼈는데
그런 부분들이 이런 소득분위에서도 느껴지는 것 같습니다!
또한 정릉2동, 3동쪽은
빌라와 주택가들이 많아서
생활권 후순위겠다 생각했는데
역시나 소득분위에서도 평균보다 아래에 위치하네요!!
길음동과 비슷한 소득수준인 다른 지역구를 살펴보면
강북구와 도봉구엔 없고!
서대문구 북아현동, 마포구 공덕동이 눈에 띕니다!
오호라~!
길음동 수준이 서울 상급지 수준으로도
볼 수 있겠구나?!
여러가지 인사이트들이 생겨납니다!
아울러 서울시 평균 소득지도도
추가로 넣어드렸습니다!
서울임보 작성시 임장지를 체크하고
그 안에서 구별 평균을 의미하는 "지역평균"보다
상위에 있으면 고소득의 생활권,
하위에 있으면 저소득 생활권으로 일단 의심하고
분위기 임장 가셔서 보신 현장의 느낌과
임보 데이터들을 종합해서
생활권의 우선순위를 매기시는데
참고할만한 지표가 되겠습니다~!
편하게 임보에 넣으시라고
PPT 파일도 첨부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서울시동별소득분위표_용미27제공.pptx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