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10월 돈버는 독서모임 - 돈의 얼굴
독서멘토, 독서리더

부의전략수업 - 폴포돌스키 / 필름
P202. 투자는 평생에 걸쳐 지속적으로 학습해야하는 분야다. 스트레스에 대응할 숭 ㅣㅆ도록 마음과 몸을 훈련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투자할 때 훨씬 더 큰 그림을 이해해야한다.
P265. 보통 이런 두려움은 시장이 극도로 불안정할 때 나타나며, 이런 손실은 대부분 무시해야한다. 하지만 진짜 위기경우에는 무시해서는 안된다. 이것이 바로 투자에서 가장 복잡한 부분이다.
→ 투자자는 시장이 하는 방향이 아닌 반대방향으로 가라고 늘 말씀주셨습니다.
시장의 규제가 발생하더라도 가치있는 자산은 우상향한다! 진짜 위기인 경우는 과한 레버리지를 포함하는 것이었는지??
P308 . 시간이 흐를수록 보이는 것들
전체적 느낌 : 현재 열반스쿨 기초반을 수강하고 있는데, 강의 내용과 상당히 엇비슷한 말씀들이 있어 강의를 복기하는 느낌이 많이 들었습니다. 내가 원하는 금액을 글로 써보고, 비전보드를 작성하는 과정과 많이 흡사했다. 그리고 결국 끝에는 건강을 챙겨야한다.
내가 하루이틀하고 끝내는 것이 아니기에, 건강 없이는 꾸준히 못한다!
돈의 굴레
- P24. 돈을 불리는 원칙은 매우 단순하다. 버는 것보다 덜 쓰고, 최고의 직업을 얻고, 저축한 돈을 가장 저렴하고 단순한 주식과 채권에 투자하고,,,
→ 돈은 지출을 통제를 잘하면 되고, 수익이 소비보다 크면 된다.
- P29. 시스템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부분이 아니라 전체를 봐야한다.
→ 숲을 봐야한다. 규제가 일어났다면 그 전에 어떻게 해결이 되었는지도 체크해보고, 왜 일어났는지 상황을 파악해본다.
소득( 생계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금액 = 생활비)
- P57. 비전보드와 비슷함
(나에게 필요한 돈/ 어떤 가치 제공 / 어떤일로 더 많은 돈 / 직업과 급여는 시간이 지나면서 어떻게 변화하는지?)
- 부자들의 공통점은 바로 사람들이 반드시 필요로 하는 자산을 소유하고 있다.
-P68. 가격 = 공급과 수요의 관계
- 롭이 갈 수 있다면, 나도 갈 수 있지 않을까? → 라는 마음으로 스케일 키우기!
- P75. 변화를 감지하는 유일한 방법은 주변에서 일어나는 일에 주의를 기울이는것
→ 부동산 투자하는 경우라면 투자 이후 주변 공급상황을 예의주시해야한다!
가격(급여와 소비,저축)
- P81. 결론적으로 돈을 잘 다루려면 높은 급여 , 낮은 가격 소비를 목표해야한다.
- P88. 더 많은 돈을 벌면서 과거의 절약이 훨씬 어렵게 느껴진다.
→ 사람은 적응하는 동물.. 소득이 커지더라도 소비는 통제를 해야한다!
- P92. 투자의 핵심은 현재 가격에 반영되어 있지 않은 무언가를 보는 것이다.
→ 저환수원리 + 호재 (시장이 눌려있어 호재가 반영이 안된경우라면, 적극 우선 고려한다. 호재는 시장이 좋으면 기름이다~!)
- P133. 기본적인 생존을 보장받고자 하는 심리는 우리 모두에게 있다. ~ 그사람을 받아들이는 태도를 보이면 그는 다신의 동맹이 될 가능성이 있다.
- P135. 조직에서 성장하고 자신의 가치를 높이려면 반드시 레버리지를 확보해야한다. 첫번째 기술적 전문성 / 두번째 사람들과의 관계- 회의 기술이 중요하다.
무엇보다 중요한점은, 재정적 안정성을 확보하면 사내 정치에 덜 신경써도 된다는 것이다. 조직이 당신을 통제하지 못하도록 만드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결국 경제적 독립을 이루는 것이다.
→ 회사에서 사내정치에 신경을 쓴적이 있는가?? 독단적으로 했는데,,,사람들이 좋아해준것들이었구나! 라는 것을 다시한번 알게 되었다. 경제적 자유를 이루면 더욱 사람들의 손 안이 아닌 내가 더욱 신경을 안쓸수도 있구나!
삶에서 일어날 수 있는 위험에 대비하라. 오차범위 설정!
-P150. 세상은 냉정하다. 스스로 대비하라.
→ 스스로 버틸 수 있도록 정신과 재정적으로 준비해야한다.
- P157. 위험을 회피하면 그 많은 기회를 놓치게 된다.
- P159. 숫자로 계산해보는 것이 논리와 감정을 분리하는데 도움이 된다.
→ 직접 손으로 적어보면 명확해진다!!
부채 - 부채는 도구다. 제대로 활용하라.
- P163. 집을위해 일하지 말고,집이 자네를 위해 일하게 만들어라
→ 자본소득을 소득수준의 3배를 만들어라~!
- P171. 내가가진 부채가 내 자산과 소득대비 어느정도인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 부채는 양날의 검이므로, 내가 감당할 수 있는(연저축액의 1배) 까지만 검토한다!
- P177. 다른 투자와의 기회비용을 모두 고려한다.
→ 편익과 비용을 보고, 같은 비용이라면 편익이 큰 곳으로 선택하는 것이 옳다!
돈의 원천
- P184. 돈 덜 찍으면 > 긴축 정책 > 금리 상승 > 대출 감소 >
돈 더 찍으면 > 완화정책 > 금리 하락 > 대출 증가
→ 우리는 시장의 반대로 움직여야한다. 두려워할때 매수해야한다.
- P189. 돈의 진정한 비용은 물가상승률을 반영한 실질 금리이다. 실질금리는 중앙은행에서 금리에서 인플레이션율을 뺀것으로 계산된다.
중앙은행 정책 금리 = 예상 인플레이션(+-) 1~2%
- 197. 금리정책은 세대간 이해관계를 조율하는 중요한 과제가 있다.
높은 대출 금리는 집, 차 구매를 어렵게 하고, 저축하는 연령대 높은 분들은 높은 이자율이 더 좋다. 서로 반대의 경우가 있다~
자산의 종류 - 현금,주식,채권,부동산
P202. 투자는 평생에 걸쳐 지속적으로 학습해야하는 분야다. 스트레스에 대응할 수 있도록 마음과 몸을 훈련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투자할 때 훨씬 더 큰 그림을 이해해야한다. 1) 자산은 시간이 지나며 가치 상승 / 통화 정책 > 자산 가격 영향 줌 / 현금흐름 분석 / 모르면 포트폴리오 분산
-P 209. 바로 그 자산이 현재 가격에 어떤 기대치를 반영하고 있는가?
→ 열기 10년이후에도 오를만한 자산인가? 가치가 있는 것을 매수해야한다.
- 현금 - 아무런 변화 없는 자산 <인플레이션>
- 주식 - 기업의 수익 / 수익대비주가수준 > PER ! 투자자가 기업의 이익을 소유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돈을 지불하는가?
- 채권 : 돈을 빌리기 위한것. 돈의 가격 결정하는 핵심 요소이며, 시장금리가 하락하면 채권가격은 상승한다. 시장금리와 채권은 반대이다!
- 원자재 : 실물자산(석유,구리, 밀)
- 통화 :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
- 부동산 : 유동성이 낮다.
건강도 결국 투자해야하는 대상이다. 항상 끝에서 건강을 챙겨야 장기적으로 내가 갈 수 있는 방향에서 나도 누릴 수 있다. 건강하지 않으면 다 필요없는것.. 건강하지 않으면 행복하지 않다. 투자를 왜하는가? 투자는 내가 원하는 시간에 내가 원하는 사람과 함께 할 수 있는 시간을 쓰기위한 것이라고 생각든다. 그런데 행복하지 않고, 추후에 건강하지 않는다면 다 필요없다. 공부도 투자도 중요하지만 건강이 가장 중요하다.ㅎㅎ
댓글
0카이0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