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직장인이 10억 달성하는 법, 열반스쿨 중급반
월부멘토, 밥잘사주는부자마눌, 양파링, 잔쟈니, 주우이

지금까지 강의 여러 개를 들으며 매매에 대해 주로 들어왔다.
그 중 전세에 대한 내용은 ‘역전세’ 정도!
이번 강의에서 꼭 기억할 내용을 두 가지로 압축해서 여러 번 강조해 주시니
강의 내용을 복습하는 지금,
기억에 상상하게 남아있다.
첫째, 적정 전세가 설정하는 3단계는 단지, 생활권, 공급이다.
전세가를 설정할 때
단지 내에서 내 물건과 다른 평행과 비교하여 적정 전세가를 설정할 수 있다.
생활권 내에서 내 물건과 평형이 비슷한, 환경이 비슷한 다른 단지와도 비교해본다.
공급 물량을 확인하고 공급 물량과 전세가를 비교해본다.
둘째, 임대 기간 설정 시 고려할 3가지는 공급, 수요, 포트폴리오다.
2년 뒤 전세 만기 시점에 공급이 있는지를 파악한다. 신규 입주가 있을 때 역전세를 물론 전세 빼기도 어렵기 때문이다.
전세 만기 시점에 수요가 있을까를 고려한다. 작은 평수는 결혼, 입학, 취업 등 봄, 가을에 많으나 그래도 수요가 고르다.
그러나, 학군지의 30평대 이상은 1~2월에 가장 수요가 많으므로, 전세 기간을 딱 2년을 채우려고 하지 말고 1~2월까지 길게 잡는 것이 좋다.
나의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때 특정 달에 전세 만기가 몰리지 않도록 골고루 분포시킨다.
그 외에
법인 임차인을 둘 때의 장점과 단점
전세 계약서를 쓸 때 특약사항으로 넣을 것,
매매 계약서를 확인하는 법
임대리스크 줄이는 법 등
정말 중요한 내용이 많았다.
전세 계약을 할 때 꼭 기억할 점!
전세 설정 시 계약 기간을 유연하게 잡을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니,
수요가 많은 1~2월로 맞추도록 노력하고,
역전세 리스크를 대비해 만기 시점의 공급도 꼭 확인해 봐야겠다.
댓글
부자워너비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