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y Word: # 4년에 100% # 부동산 사이클 # 수익형 전세 레버리지 기법 #입주권 매수
1. 황금 숫자, 4년에 100%
#4년에 100%
일단 투자금액의 2배가 되는 기간이 언제일지에 대한 일반적인 통계가 4년이다.
너무 오래 보유하면 수익류른 평균에 회귀한다.
4년이란 기간은 대중으로 하여금 심리적 허점을 만든다: 대중은 최대한 참아봐야 3년이다. 대중의 속성을 뛰어넘으려면 거기서 딱 1년만 더 참아봐라.
갑자기 자금이 많이 생긴 경우:목표한 수익이 나오지 않아도 새로운 자금과 합쳐서 최대한 결과물을 키우는 전략이 가능할 때
승산이 없을때: 과감하게 실수 인정하고 손절
2. 첫 번째 황금 로드맵, 부동산 사이클링 기
# 2500만원으로 20억 만들기 #부동산 사이클링 기법(강세장, 하락장, 약세장) # 비과세 전략
부동산 사이클을 알아보는 법 ① 강세장
약세장이 3년 이상 지속된 경우
가장 대표되는 단지부터 가격이 오른다.
몇 년간 지속적으로 전세가가 상승한 경우
상당 기간 신규 공급이 없을 때
대중이 매수할 여력이 있을 때
부동산 사이클을 알아보는 법 ② 하락장을 예측하는 법
어디 가나 사람들이 부동산 이야기를 하는 경우
정부가 비합리적이라고 할 정도로 과한 정책들을 몰아붙이는 경우
소액투자가 매우 활성화된다.
지방 구석구석까지 투자한다.
부동산 사이클을 알아보는 법 ③ 약세장
상승세가 핵심 지역과 핵심 단지에 국한된다.
부동산은 안좋다는 이야기가 여전히 주류를 이룬다.
참여인원이 제한적이다.
강세장과 하락장이 일시적으로 나타난다.
부동산 사이클링 방법 실천방법: 비과세 전략 사용
기존 주택 취득일로부터 1년 경과 후 신규 주택 매수
기존 주택 보유 기간 2년 이상 경과
신규 주택 취득 후 3년 이내 기존 주택 양도
3.두번째 황금 로드맵, 수익형 전세 레버리지 기법
# 수익형 전세 레버리지 # 입주권 매수
자금의 절반으로 내 집 마련을 하고, 나머지로 투자용 자산을 매입한다. “ : 1년이라는 기간을 두지 않는다. 비과세 받으려는 전략이 아니라 계속 보유할 생각이기 때문에 연속해서 매수한다.
4년을 보낸 후 입주권을 매입한다.
4년 후 새 아파트를 소유하면서 동시에 입주권을 매입한다.: 관리처분인가 이후 단계의 입주권을 매수
추가로 새 아파트를 소유하면서 마지막 입주권을 매입한다.
4. 성공률 90%, 돈 되는 부동산 고르기
#확신 # 원리
강세장이 계속되는 시점에 투자를 안하는게 아니라 기대치를 낮춘다.
거품인지 헷갈리면 누가 봐도 좋은 곳에 투자한다.
명백한 거품일 때는 반드시 쉬어야 한다.
책 읽고 깨달은 점
P331-332 살아남는 방법은 오직 하나다. 시장이 움직이는 원리와 투자의 정석을 철저하게 익힌 다음에, 지금의 시장에서는 그게 어떤 형태로 나타나고 응용되는지 끊임없이 관찰하는 길 밖에 없다. 끊임없이 연료라는 인풋이 있어야만 실현된다. 그렇다고 너무 두려워하진 마시라. 운전면허 따는 정도보다도 쉽다. 다만 꾸준히 해야할 뿐이다. 꾸준히 시장을 관찰하다보면 모호한 경계가 모호하지 않게 다가오고 과감하게 행동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사이클이 맞지 않아도 아무것도 안하는 것보다 현재 내가 할 수 있는 투자를 하는게 맞다. 사이클이나 부동산 시장 원리는 계속 보면서 살아남아야한다.
나에게 어떤 점이 유용한가?
투자에 적용할 점: 비과세 전략 잘 활용해서 3호기 갈아타기/ 꾸준하게 환경에서 시장 관찰
이 책에서 얻은 것과 알게 된 점 그리고 느낀 점
2500만원으로 12년만에 20억을 달성할 수 있는 로드맵
로드맵 보니깐 실현 가능해보인다. 리치라이프!
논의하고 싶은 점
p76. 확신을 갖지 않으면 절대 행동할 수 없을 것이다. 그래서 투자에 있어서서는 '확신'을 가지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리고 확신을 가지려면 어떠한 현상이 언제나 통하는 원리인지 파악해야한다.
>>저자는 사이클링 기법> 수익형 전세레버리지>입주권 매수의 흐름으로 투자하면 리치라이프를 살 수 있다고 한다. 하지만 지금까지 월부에 남아서 보면 결국은 책을 통해서, 강의를 통해서 배워도 환경을 떠나거나 투자를 이어나가지 않는 경우를 많이 봤다. 이것도 스스로가 확신을 갖지 못해서 그러는거라고 생각하는데, 오랫동안 이 환경에 남아 있는 분들은 어떠한 확신을 가지고 이어나가는 걸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