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강. 실전 투자로 이어지는 단계별 비교평가 전략
[배운점]
투자는 가치*가격*내 상황의 교집합에서 실행한다. 투자의 원칙을 지키면서, 가치와 가격을 제대로 판단한 비교평가로 유의미한 저평가 투자 후보를 추릴 수 있고, 그 후보 중에서 최종적으로 나의 상황에서 할 수 있는 가장 좋은 투자 의사 결정을 한다. 최종 선택은 환금성 / 수익성 / 원금보전 / 리스크를 고려하여, 각자의 상황/ 지금 나의 상황에 맞게 장기적 수익을 선택할 수도, 전략적 접근을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나의 선택에 대해 명확하게 이해하고 책임을 져야 한다.
- 지난 나의 매수 결정에 중요한 결정 기준은 무엇이었나?
- 투자를 만드는 각 세 가지 요소 중 내가 충분히 채우지 못한 부족한 부분은 무엇인가?
- 비교평가는 투자 확신과 투자 운영으로 연결된다. 쉽게 변하지 않는 각각의 단지 가치를 제대로 판단하고 우선순위를 알면, 시장에 따라 움직이는 지금의 매물별 가격을 입혀서 가격의 적정성과 저평가 여부를 알 수 있다. 우선순위를 잘 세워둔 비교평가를 매수, 전세, 매도까지의 투자의 모든 단계에 활용한다.
- 확신이 흔들리는 이유는 우선순위를 명확하게 남기지 못했기 때문이 아닐까?
- 비교평가가 매수 단계에서만 적용한다는 생각으로 접근하지 않았나? 투자의 전과정을 연결지어 그려보았나?
- 지역 내 핵심가치 파악이 중요하다. 기본적인 단지의 가치 구성 요소는 동일하지만,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각 요소의 중요도와 우선순위는 지역에 따라 다르다. 우리는 발품과 손품을 통해 이 핵심 가치를 파악해야 한다.
- 왜 이 지역에 사람들이 살려고 하는가? 이 지역을 찾아오는 수요는 무엇을 보고 들어오는가?
- 이 지역 내에서 어느 단지를 더 살고 싶어하는가? 그 이유는 무엇인가?
- 나는 그동안 각 지역의 핵심 요소를 집중적으로 고민하면서 핵심가치를 파악했나?
- 물건별 비교평가는 각 매물의 특징과 매도자, 점유자의 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나에게 가장 유리한 투자물건을 찾아나가는 과정이다. 최종적으로 내가 투자하는 것은 지역도, 단지도 아닌 내가 계약서를 쓰는 하나의 집이다. 각 물건의 상황에 따라 최선의 선택이 달라질 수 있기에 깊게 찔러봐야 한다.
- 지난 매수 당시 나는 각 매물의 정보를 깊게 찔러보았나? 각 매물의 조건을 알고 있었나?
- 매도자, 점유자의 상황에 대한 찔러보기는 부족하지 않았나?
- 더 나은 매물 조건을 만들어볼 여지가 있는지 충분히 숙고해보았나?
- 롱런 투자자는 독서로 의미를 찾고 오늘 가장 중요한 원씽은 반드시 해낸다.
- 현재 나의 독서 루틴은? 점검해보자
- 지금까지 원씽은 반드시 해내고 있었나? 멀티태스킹을 하려고 하지 않았나?
[적용점]
잔쟈니 멘토님의 지난 특강, 라이브 강의 때 명쾌한 설명으로 부족한 이해를 채우고, 놓치고 있던 생각들/ 넓히지 못한 부분들을 말씀해주셔서 사고를 확장하고 나를 위한 최선이 무엇인지 의사결정하는 것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이번 열중 정규 강의로 여전히 막연한 두려움으로 헤매고 있었던 비교평가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었고, 실전 적용 연습으로 혼자서도 다음 임장과 임보에 적용해볼 용기가 생겼습니다.
무엇보다 스스로 놓치고 있던 부분을, 열심히 매수해놓고 잊고 있었던 부분을 상기시켜주셔서 이마를 탁 쳤네요.
나의 상황에 맞는 최선의 의사결정을 한다. 그리고 그 의사결정에 대한 책임을 진다. 잘 새겨두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