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11월 돈버는 독서모임 - 워런버핏 삶의원칙
독서멘토, 독서리더

▼추천도서후기 쓰는 양식
책 제목 : EBS 자본주의
저자 및 출판사 : EBS
읽은 날짜 : 25.09.23
핵심 키워드 3가지 뽑아보기 : #자본주의 #인플레이션 #시간
도서를 읽고 내 점수는 (10점 만점에 ~ 몇 점?) : 10
1. 저자 및 도서 소개
:
EBS 자본주의 책은 2013년 방영된 EBS 다큐프라임 <자본주의>를 책으로 엮은 것으로, 현대 자본주의 시스템의 작동 원리를 분석하고 문제점을 짚으며, 우리 사회가 왜 살기 힘든지를 묻고 더 나은 해법을 모색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다큐멘터리의 내용을 바탕으로 금융, 소비, 빚 등 자본주의의 핵심을 쉽게 풀이하고, 자본주의의 장점을 살려 모두가 잘 사는 사회를 만들기 위한 아이디어를 제시합니다.
2. 내용 및 줄거리
:
1. 빚이 있어야 돌아가는 사회
- 자본주의 하에서 물가는 지속적으로 오른다고 했다. 그런데 한 가지 궁금한 점은 정부가 지속적으로 '물가안정대책'이라는 것을 내놓는다는 점이다. 정부의 이러한 대책은 과연 자본주의의 물가 상승을 막을 수 있는 것일까? 결론부터 이야기하자면 물가 상승이 속도를 '억제할 수는 있지만, 근본적으로 물가 자체를 낮추거나 고정시킬 수 없다
- 내가 금고에 있던 100원을 은행에 예금하면 은행은 10원을 남기고 A라는 사람에게 대출을 해줍니다. 이제 은행은 나와 A를 합해 모두 190원을 꺼내줄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100원의 예금이 대출이라는 과정을 거치면서 90원이라는 새로운 돈이 만들어진 것이다. 이렇게 난데없이 생긴 90원 '신용통화'라고 이야기한다
- 돈은 빚이다. 은행에서 돈을 만들어 내기 위해서는 '대출'이라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즉, 돈은 '빚'이라는 형태가 되어 많은 사람들에게 나누어진다. 누군가 빚을 지는 사람이 있어야 자본주의는 정상적으로 작동한다는 말과 같다. 그리고 그 '빚'에 대한 이자를 받아 은행은 수익을 챙긴다. '빚'이 없으면 은행도 없다
2. 위기의 시대의 꼭 알아야 할 금융상품의 비밀-금융지능은 있는가?
- 모든 금융상품은 장단점이 있게 마련이란 사실을 인식하고, 그 상품의 수익률과 함께 위험성에 대한 설명도 반드시 들어야 한다. 모르면 묻고, 이해가 될 때까지 질문해야 한다. 그것이 ‘자신의 이익을 먼저 추구하는 은행’과의 공정한 거래법이다.
- 원금은 잃어도 수수료는 내야한다.
- 보통 판매보수(수수료)가 1% 높아지면, 투자자의 수익률은 0.31%가 낮아진다는 통계가 있다. 어떻게 보면 1%가 뭐 그리 큰돈이냐고 생각할 수도 있다. 그런데 매월 40만 원씩 투자한다고 했을 경우를 계산해보면 엄청난 차이가 난다. 30년 후에는 무려 1억 4천 600만 원의 돈을 수수료로 더 내야 한다는 이야기다. 결국 수수료라는 것은 0.1%라도 아껴야 한다는 결론이 나온다
- 금융이해력이 있어야 살아남는다.
3 나도 모르게 털리는 소비자 마케팅의 비밀.
- 쇼핑으로 인한 만족감은 순간이다.
- 청소년기부터 반복되어 나타난 사람은 성인이 되어 가장 심각한 소비단계인 ‘중독소비’로 갈 가능성이 높아진다. “쇼핑을 하면 도파민이 나옵니다. 도파민은 신경전달 물질로서 게임을 하거나 술을 마시거나 쇼핑을 할 때 많이 분비 됩니다. 우리는 쇼핑을 하면서 지속적으로 도파민을 분비시키려고 하는 것입니다
4 위기의 자본주의를 구할 아이디어는 있는가.
- 금융자본의 탐욕이 현재의 위기를 만들었다면 그 해법은 윤리에서 찾을 수 있다. 인간이 가질 수 있는 가장 높은 상태의 도덕적, 윤리적 각성이 바로 인간이 만들어낸 최악의 단점들을 보완할 수 있다는 이야기다
3. 나에게 어떤 점이 유용한가?
:
자본주의는 빚과 신용의 시스템 위에 작동한다.
화폐를 찍어내는 권력, 즉 중앙은행과 은행 시스템은 경제의 흐름과 위기를 좌우하는 핵심 축이다.
소비는 이성보다는 감정과 인간관계, 사회심리와 깊이 연결돼 있다.
단순히 ‘시장만 믿자’ 혹은 ‘정부만 개입하자’는 해결책은 불충분하다.
복지와 분배를 통해 사회적 안정성과 지속 가능성을 끌어올려야 한다.
4. 이 책에서 얻은 것과 알게 된 점 그리고 느낀 점
:
자본주의는 빚과 신용 위에 세워진 시스템이며, 이를 이해하지 못한 채선택하는 소비·투자 방식은 우리가 자본주의에 휘둘리게 만든다.
5. 연관 지어 읽어 볼만한 책 한 권을 뽑는다면?
:
돈의 얼굴 다큐
(마지막으로 내가 읽은 책의 페이지나 책 표지를 대표사진으로 꾹 클릭해주세요.)
댓글
필디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