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부동산Q&A

생애최초 LTV70%로 잔금 후 직접 전세 세팅 전략, 얼마 정도 싸게 사야 할까요?

25.09.24

안녕하세요. 저는 현재 지방에서 무주택으로 월세 거주중입니다.

수도권 전세 낀 매물을 알아보는데, 수리 잘 된 물건은 경쟁이 치열하고 가격도 생각보다 높았습니다.

 

그래서,

  1. 생애최초 LTV70% 대출로 잔금 치르기
  2. 직접 수리 후 6개월 거주(해당 아파트 전입신고만하고, 실거주는 지방)
  3. 이후 전세 세입자 맞추기(대출 상환)

 

이 전략을 쓰면, 전세낀 매물보다 복비(전세), 중도상환수수료, 대출 이자 등 비용이 더 들지만,

매입가를 충분히 싸게 잡을 수 있다면 장기적으로 유리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질문으로는

  1. 이 전략이 실제 가능한지(지방에서 월세로 거주하면서 대출이 가능한지)
  2. 9억 아파트 기준 어느 정도 싸게 사야 전세 끼고 매수보다 유리한지

    *세낀 물건 매수 대비 추가비용(예상) : 2300만 [ 500만(전세복비)+중도상환수수료(600만) 대출이자(1200만_6억*4%*6개월) ]

  3. 실무에서 예상 못한 리스크가 있다면 어떤 게 있을지

 

초보라 모르는 게 많습니다! 선배님들의 조언을 듣고 싶습니다!


댓글


포도링11
25. 09. 24. 11:30

안녕하세요 라임님~ 아예 잔금을 치르고 직접 거주하시는 조건을 고민하고 계시군요! 요즘 소유권이전 전세대출 규제때문에 물건 찾기가 쉽지 않죠 ㅠㅠ 1. 잔금을 치르고 실거주 후 전세를 받는 것이 이전까지는 가능했으나, 현재는 소유권이전뿐만아니라 "근저당"이 있는 집에 대한 전세대출도 안나오고 있습니다. 근저당 말소조건을 걸어도 전세대출 해주지 않는 은행이 많습니다. 하지만 은행마다 다를 수 있으니 확인해보시고 진행하시는 것이 좋을 거 같습니다. 2. 적어도 라임님이 말씀하신 추가비용만큼은 싸게 사면 좋고요. 사실 본질적으로는 라임님이 선택하신 단지가 가치대비 저평가 되었는가? 가 가장 중요합니다. 그게 먼저고, 그리고 나서 추가비용을 더해서도 그 단지가 가치대비 저평가 되었는지를 다시 확인해보시면 됩니다! (예를들면 7억짜리 아파트면 추가비용 생각해서 7.23억으로 고려해서 비교) 3. 말씀드린 것처럼 근저당 말소조건으로 전세대출이 안나오기때문에 라임님이 실거주하셔도 전세대출이 안나오는 집이 될 수 있습니다. (현금세입자나 법인세입자 필요) 그리고 언제 어떤 규제가 추가로 나올 지 모르기 때문에 진짜로 실거주하게 되실 수 있다는 점을 꼭 고려해보셔야할 것 같습니다. 화이팅입니다!!

로건파파
25. 09. 24. 11:33

박라임님 안녕하세요? 전세끼고 매수하는 부분에서 큰 어려움이 있어 다양한 방법으로 고민하신 것이 글에 보이네요. 1. 현재 무주택 상황이시고, 전입신고를 하신다면 주택담보대출은 나올 것으로 생각됩니다. 2. 전세끼고 매수보다 어느정도 싸게 사야 유리한 것인지는 결국 들어가는 비용을 모두 비교했을 때 전세끼고 사는 매물이나 주담대를 받고 사는 매물이나 더 싼 비용이 드는 것을 구입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주담대를 받아서 살 물건이라면 위에서 생각한 부분보다 추가로 드는 비용이 더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6개월 관리비가 있을 수 있고, 세낀 물건이 아니니 아마도 수리비도 필요할 수 있겠습니다. 이런 다양한 방면에 들어가는 비용들을 더 고려해서 정말 세낀 물건보다 유리한 것인가를 생각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3. 대출 규제가 시행된지 아직 많은 시간이 지나지 않았기 때문에 6개월 내 전입 및 실거주 의무에 대한 관리를 행정 차원에서 어느정도 하러 올지를 가늠하기 힘든 리스크도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럴 경우가 거의 없겠지만 실사를 나올 수도 있을 것 같구요. 위에서 여쭤보신 질문에 대해서 답변을 일단 드렸지만, 그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조건이 잘 맞지 않아서 내가 조건에 맞추려고 가치대비 싼 아파트를 보지 않고 조건에 맞는 아파트를 찾는 것은 아닌지 스스로 돌아봐야 한다는 점입니다. 세낀 물건이 아무리 좋은 조건이더라도 가격이 싼 가격이아니라면, 주담대를 받아 살 물건이 아무리 좋은 물건이더라도 가격이 싸지 않다면 매수를 좀 더 보수적으로 바라봐야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 ^^ㅎ

용미27
25. 09. 24. 11:52

라임님 안녕하세요~ 고민하고 계시는 서울수도권의 투자물건 세팅 전략에 대해서 답변 드리고자합니다. 전제는 라임님께서 서울 수도권의 가치대비 가격이 저렴한 물건을 잘 찾으셨다는 조건하에서입니다~^^ 현재 월세 거주하고 계시는 부분에 대해서 임차보증금을 대출받아 거주하고 계신 상황이 아니라면 서울수도권의 물건을 매수하시면서 주택담보대출을 받는시는데는 문제가 없습니다. 하지만, 6/27대책 이후 전세물건으로 나온 집에 근저당이 있다면 (주택담보대출) 근저당이 먼저 없어져야 전세자금대출이 나오는 형태로 대출허용조건이 까다로워졌습니다. 즉, 라임님께서 주택담보대출을 받은 상태에서 전세자금대출로 그 주담대를 상환하시는게 어려운 상황이라는 이야기죠. 제1금융권에서는 안되는 것으로 알고 있고, 제 2금융권(새마을금고 신협등)에서는 일부 해주는것으로 알고 있는데 금리가 높아지다보니 들어올 세입자에게도 이부분은 허들일 것입니다. 결국 현금전세 세입자를 찾거나, 라임님이 전액 현금잔금이 되는상황이여야만 되는 부분입니다. 또한 거주하고 계시는 월세집에서 수도권 투자해놓은 물건으로 전입신고롤 해놓으시면 현재 거주하고 계시는 월세집에 대한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월세보증금에 대한 안정성) 신중하게 고민해보시고 결정하시면 좋겠습니다. 라임님 화이팅입니다~!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