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11월 돈버는 독서모임 - 워런버핏 삶의원칙
독서멘토, 독서리더

1. 책 제목: 그릿
2. 저자 및 출판사: 엔절라 더크워스/ 비즈니스북스
3. 읽은 날짜: 25년도 9월
4. 총점 (10점 만점): / 10점 (내게 제일 부족한 성장형 사고방식, 끝까지 해내는 끈기가 성공의 주요한 요소임을,
이건 후천적으로도 배울 수 있음을 알려줘서 많은 위안이 되었다.)
1부 그릿이란 무엇인가
#열정적인 끈기
성공에 있어서 자신의 부족함을 알고, 목표를 이룰 때까지 끝까지 해내는 끈기,
GRIT이 정말 중요하다. 그리고 자신의 능력 부족을 자신이 부족한 부분을 메꾸는 노력을 통해
더 큰 성과를 발휘한 예는 정말 많다.
p43 심화반으로 옮긴 뒤에 약간 뒤쳐졌어요. A를 못 받고 B를 받았을 때 낙담했죠. 하지만 다음에 어떡해야 할지 거기에 집중해야 한다고 생각했어요. 선생님을 찾아가 도움을 청했어요. 기본적으로 제가 뭘 틀렸는지 바른 풀이는 무엇인지 이해하려고 노력했어요. 그해 그는 AP시험에서 5점 만점을 받았다.
p75 어빙이 ‘작가로서 제가 가장 잘하는 일은 고쳐쓰기입니다. 저는 초고를 완성한 시간보다 더 많은 시간을 들여서 원고를 수정합니다 남들보다 유창하게 읽지 못하고 맞춤법에도 서툰 것이 ’장점이 되었다'. 매일매일 노력한 끝에 역사상 가장 문장력이 좋고 다작하는 작가가 됐다. 그는 노력을 통해 수백만 독자에게 감동을 준 작품을 탄생시켰다.
p81 가장 큰 문제는 운동을 아예 멈추는 것이다. 오랜 시간 꾸준한 노력이 가장 중요하다. 어느날 하루 기울이는 노력보다는 다음날, 그 다음날도 눈을 뜨면 러닝머신위에 올라갈 각오가 되어 있는 것이 더 중요하다.
p125 어떤 일을 아주 잘하려면 능력 이상으로 노력해야 한다. 열심히 하는 능력은 하루아침에 생기지 않는다.
2부 ‘포기하지 않는 나’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부족한 부분 보완 #도전 수용
사람은 늘 변하고 성장한다. 지금 못한다고 해서 영원히 못하는 것은 아니다.
항상 하고자 하는 방법을 찾으며, 내 약점에 대한 피드백을 바탕으로
어떻게 개선할 수 있을지 적극적으로 고민해서 적용하자.
한 순간의 고통과 슬픔에 주저앉지 않아도 된다.
그 때 그 순간일뿐일거니.
내 앞에 찬란한 순간을 맞이하기 위해
오늘도 나의 부족한 점을 메워가며,
될 수 있는 방법을 찾으며,
주어진 모든 상황을 기쁘게 받아들이고 해결해나가겠다.
p151 초기에 초보자들에게는 격려가 매우 중요하다. 놀이 같은 활동으로 초기의 학습을 매우 즐겁고 보람있게 만듦.
p168 전문가들은 도전적인 목표를 설정한 뒤 뚜렷한 약점을 개선하려고 노력한다. 그들은 가능한 한 빨리 자신의 수행에 대한 피드백을 받고 싶어한다. 그들은 앞으로 고쳐나가야 할 틀린 부분에 더 관심이 많은 것. 피드백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자세는 즉각적인 피드백만큼이나 매우 중요하다.
p203 장기간 열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타인과 관계를 맺고 그들을 돕고 싶은 욕구 또한 대단히 중요하다.
p235 ‘나는 어떤 일이 생기든 거기서 배울 점이 있다고 보는 편이에요. ’그래 썩 잘 되지 않았지만 계속 밀고 나가야지' 라고 생각하죠.'
p238 ‘할 수 있다고 생각하면 할 수 있고 할 수 없다고 생각하면 할 수 없다.’ 상황을 개선시킬 방법을 계속 찾는다면 마침내 그것을 발견할 가능성이 높다. 그에 반해 방법이 없을 거라 지레짐작하고 포기한다면 단언컨대 절대 찾지 못할 것이다.
p243 ‘인생이란 스스로에 대한 도전이며 이전에는 하지 못했던 일을 할 수 있도록 배우는 것’
p249 포기하기 직전까지 갔지만 꿋꿋이 버텨냈고 결국에는 다 잘됐어요. 거기에서 결코 잊지 못할 교훈을 얻었습니다. 좌절과 실패를 맛보더라도 너무 예민하게 받아들이지 말라는 교훈이었죠. 그럴 때는 한 걸음 물러서서 원인을 분석하고 교훈을 얻어야 합니다.
3부. 내면이 강한 아이는 어떻게 길러지는가?
#교육법
초반에는 흥미를 붙일 수 있게 격려해주고, 그 다음에는 엄격하게 자신을 넘어설 수 있도록,
항상 긍정적인 대화를 하며 남을 우선시하고, 남의 성장도 이끌어 줄 수 있도록
그런 환경안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해주면 내면이 강한 아이가 된다.
p270 아이들이 시작한 일을 끝마치도록 가르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함.
p288 엄격한 교사들은 매년 학생들의 학력을 크게 신장시킨다. 반면 학생을 지지하고 존중하는 교사들은 학생들의 행복과 수업에서의 자발적인 노력을 증진시키고 대학 진학을 꿈꾸게 만들었다.
p331 실패란 있기 마련이지만 그럴 때 대처 방식이 성공여부에 가장 중요한 변수일 것입니다. 단호한 결의가 필요합니다. 책임지고 나서야 합니다.
p346 항상 경쟁하라(자신이 가진 능력을 최대한 발휘하라. 내일 자신의 오늘 기량을 넘어서라) 우리는 연중무휴 24시간 시호크스이다. 긍정적인 자기대화를! 그리고 팀 우선이다!
사실 나는 고정형 사고방식을 갖고 있고,
‘쟤는 나보다 뛰어나니까’ 하면서 내 한계를 스스로 접고 들어가고,
나보다 뛰어난 사람이 있다는 걸 아는 순간 흥미를 잃어버리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이 책에서 소개하는 사례에는 수학을 못 해도, 걸을 수 없을 거라는 얘기를 들어도
포기하지 않고 끈기있게 목표를 향해 나아가 해내는 사람들이 있다.
그리고 이는 누구나 다 할 수 있는 생활방식이다.
한 번 열심히 한다고 해서 내 목표가 이루어지거나 삶이 바뀌진 않는다.
목표를 이룰 때까지 열정을 갖고 꾸준히 해야 목표를 이룰 수 있는 법이다.
항상 어제의 나를 뛰어넘고 충만한 하루를 보내자.
‘인생은 스스로에 대한 도전이다’
할 수 있다고 생각하면 할 수 있고, 할 수 없다고 생각하면 할 수 없다.
지금 일어난 일들을 개선시킬 방법을 계속 찾고, 약점을 개선해 더 나은 내가 되도록 매일 노력한다면
어느 순간 달라진 삶을 마주하게 될 것이다.
p81 가장 큰 문제는 운동을 아예 멈추는 것이다. 오랜 시간 꾸준한 노력이 가장 중요하다. 어느날 하루 기울이는 노력보다는 다음날, 그 다음날도 눈을 뜨면 러닝머신위에 올라갈 각오가 되어 있는 것이 더 중요하다.
p168 전문가들은 도전적인 목표를 설정한 뒤 뚜렷한 약점을 개선하려고 노력한다. 그들은 가능한 한 빨리 자신의 수행에 대한 피드백을 받고 싶어한다. 그들은 앞으로 고쳐나가야 할 틀린 부분에 더 관심이 많은 것. 피드백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자세는 즉각적인 피드백만큼이나 매우 중요하다.
p238 ‘할 수 있다고 생각하면 할 수 있고 할 수 없다고 생각하면 할 수 없다.’ 상황을 개선시킬 방법을 계속 찾는다면 마침내 그것을 발견할 가능성이 높다. 그에 반해 방법이 없을 거라 지레짐작하고 포기한다면 단언컨대 절대 찾지 못할 것이다.
p243 ‘인생이란 스스로에 대한 도전이며 이전에는 하지 못했던 일을 할 수 있도록 배우는 것’
p168 전문가들은 도전적인 목표를 설정한 뒤 뚜렷한 약점을 개선하려고 노력한다. 그들은 가능한 한 빨리 자신의 수행에 대한 피드백을 받고 싶어한다. 그들은 앞으로 고쳐나가야 할 틀린 부분에 더 관심이 많은 것. 피드백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자세는 즉각적인 피드백만큼이나 매우 중요하다.
나의 약점은? 이를 개선하기 위해 할 일은?
<아웃라이어>, <엔론 - 세상에서 제일 잘난 놈들> 다큐, <리추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