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스로 내 투자의 의사결정을 하는 방법
- 물건이 4년 전 가격이라는 것은 비싸지 않다는 의미
- 매수할 때 가치와 가격, 우선순위를 모르면 보유기간 동안 수시로 어려움을 겪는다.
- (ex) 적정 매도가, 전세 설정
- 비교평가의 두 요소 : 가치(**가치를 제대로 판단하기)와 가격
- 교통(접근성), 위치가 가장 중요, 그리고 둘은 항상 같이 봐야 함
- 직장, 학군, 환경 순으로 추가적으로 고려하기
- [1단계] 지역 내 핵심가치(해당지역에서 가격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소) 찾기
- (ex) 성북구 : 교통+환경
2. 좋은 투자의 첫 단계, 같은 지역 안에서 더 좋은 단지를 고르기 위해 필요한 3가지
- 싼 걸 사는게 투자의 본질은 맞지만, 둘 다 싸다면 더 가치 있는 곳을 선택해야 함
- 하락률을 생각하지 말고 더 가치있는 거를!
3. 앞마당이 여러개일 때, 같은 종잣돈으로 최선의 단지를 찾는 지역 간 비교평가를 하는 법
[2단계 : 지역 간 비교평가. 공통점을 찾아 묶기]
- 가치가 차이나는 경우에은 더 가치 있는 곳을 우선순위에 두지만, 장단점이 혼재하는 경우엔 상황에 맞는 곳을 우선순위에 두어야 함
- 다주택자라면, 전세 상승분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1~2주택자와 선택의 과정에서 차별점이 있음)
4. 같은 단지, 다른 가치 나의 상황과 목적에 딱 맞는 물건 찾는 법
[3단계 : 물건별 비교평가. 실제 들어가는 비용을 정확히 체크하기]
- 수리에서 큰 비용이 드는 것 : 샤시, 화장실 => 올수리를 확인할 때는 많은 돈이 들어가는 수리가 되어 있는지를 확인
- 사람들이 전세를 구할 때 제일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 : ‘싱크대’(이사 당일에도 가능할 수 있음. 장판, 벽지도), ‘주방’, 화장실은 이사 당일에 힘듦 but 방법 있음
- 98p. 신축 아파트의 경우, 확장은 무조건 되어 있어야 함. 덜 중요한 것이 되어있다고 해서 전세가를 더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님
5. 25년 9월, 현재 상황에서 가장 유리한 물건은? + 지방에서 비교평가하는 핵심
- 102p. (실투자금) 6억 => 2.3억+수리비 2천 (조건) 매도인으로부터 수리/전세협조 된다면
[3단계 비교평가 적용 : 지방편]
- 지방은 각 도시별로 우선 가치가 다름
- 지방에선 인구가 곧 수요
- 지방은 땅의 힘이 약해 집이 낡으면 대체되기 쉬움
- 지방아파트는 전세가의 움직임이 중요
- 전세가와 매매가가 같이 움직임. 전세가의 움직임에 따라 매매가도 같이 움직임. 전세가에 영향을 주는 “공급” 유무가 매우 중요
- “환경”이 제일 중요. 매도할 때, 내 집을 매수해줄 사람의 입장에서 생각해서 투자물건 고르기. 구축은 더 구축 됨. 팔 때 수월한 게 뭘까? 최고가를 찍어준다는 의미는 아님.
- 지역 내 선호도가 중요한 이유 : 오를 때 먼저 오르기 때문에 매도의 길을 앞단에 열어줌
- ex. 부산 구축의 경우 선호도가 높은 곳이 모두 오른 다음에 오를 것
6. 비교평가 사례와 실전 투자 로드맵
- 앞마당 만들면서 지역 내 “핵심가치” 무조건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