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차근차근 목표를 이루어 나갈 또박또박입니다.
지방투자 강의는 두번째 듣게 되었는데요,
지역별 특성이 강한 지방의 특징과 흐름을 한방에 정리해주시며
투자기준과 매수전략 지방투자를 통해 만들어갈 로드맵까지 그려주셔서 좋았습니다.
좋은 강의 해주신 잔쟈니튜터님 감사합니다.
전반적인 지방시장도 공급이 줄고 전세가 부족하다.
공급과 수요에 정직하게 반응하면서 교과서로 참고할 수 있는 지역들이 많이 있다.
단지 선호도를 선호신축 선호구축 중간신축 투자애매한 단지로 나눴을 때
하순위인 단지의 흐름도 봐야 하는 이유는, 이런 시장흐름에서는 하순위 단지에도
흐름이 오는구나 혹은 이런 시장에도 오지 않구나라고 생각하고 다른 지역에도 적용해볼 수 있기 때문이다.
지방 비교평가 시 헷갈릴 때는 거래량을 참고하는 것이 좋다.
수도권도 마찬가지고 특히 지방에서는 환금성이 중요하기 때문에
실거주자가 덜 고민하면서 사줄 단지는?이라고 고민해보고 결정한다.
그래프만 보고 단순히 판단하는 것과 내가 그 그래프 속에 있을 때는 다르다.
넓게 보라라는 의미 : 이 가격에 이 단지가 최선인가?
들어도 들어도 적용이 어려운 내용인데 다시 와닿았다.
한 지역이나 생활권에 매몰되는 것이 아닌, 같은 가격의 단지가 어디있는지 체크하면서
마지막까지 저평가 된 단지를 찾는 시도를 해야한다.
지방투자도 가치성장 투자가 가능하지만 기조는 소액의 종잣돈을 불려서
서울수도권에 있는 더 가치있는 자산으로 갈아타는 과정이다.
매도는 1. 수익 2. 포트폴리오 3. 리스크 세개의 기준을 가지고 결정할 수 있다.
의식적으로 매매가 기준으로 나래비를 세워서 좋은 것부터
보는 습관이 필요하다 이건 노력해야한다.
(투자금 솔팅 → 좋은 것부터 나열 X)
(매매가로 나래비 → 투자금으로 나열 O)
앞마당 시세트래킹을 하면서 매물상활과 호가 상황 등을 보고
현재 시장의 흐름이 빨간시장인지 파란시장인지 잘 구분하고 매수목표가를 정하자.
가격이 싼 시장에서는 더 제대로 가치평가를 해야한다.
싼 걸 사는 것이 중요하지만더 중요한 것은 가치보다 싼 것을 사는 것이다.
댓글
또박님 후기 작성하시느라 고생 많으셨습니다. 모든 것이 다 싼시장에서는 더욱 뾰족하게 보기!, 저평가-투자금-리스크순 보기! 저도 복습 잘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