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11월 돈버는 독서모임 - 워런버핏 삶의원칙
독서멘토, 독서리더

책 제목(책 제목 + 저자) : 나는 나의 스무살을 가장 존중한다, 이하영 지음
저자 및 출판사 : 토네이도
읽은 날짜 : 2025.10.01~03
핵심 키워드 3가지 뽑아보기 : # # #
도서를 읽고 내 점수는 (10점 만점에 ~ 몇 점?) : 8점 / 10점
1. 저자 및 도서 소개
: 저자는 개원한 의사로써 20대 초반부터 꿈을 위해 달려오면서 지금의 성공에 이르게 된 마인드와 자세에 대하여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부를 쌓는 과정에서 단지 결과를 위해서가 아니라, 과정을 즐기고 과정에서 해야할 기본기를 통해 깨달아야 하는 것들을 설명해주셔서 부를 이어나가는 여정에 있는 투자자에게 인생의 과정에서 BM해야할 점들을 찾을 수 있는 훌륭한 책이라 생각합니다.
2. 이 책에서 얻은 것과 알게 된 점 그리고 느낀 점
p.16 중요도가 높은 순으로 시작한다. 아침에 일어나 ~ 출근해서 하루를 시작한다.
깨 : 하루 중 중요한 일을 결정지어 이른 시간에 미리 시작해야한다.
적 : 명상 후에 원씽을 적고 우선순위에 맞게 먼저 시간을 사용하자
p.19 기본기가 독서, 운동, 명상이다. 이것을 하는 사람과 하지 않는 사람은 앞으로는 절대 만날 수 없다.
깨 : 독서, 운동, 명상은 부자, 전문가로 가는 기본 자세이다.
적 : 미모로 오전에 독서, 운동, 명상을 제일 먼저 실행하자
p41. 무의식에 있는 자신의 이미지를 바꿔라. 그러면 그 이미지가 곧 나타날 것이다.
깨 : 의식이 아닌 무의식 속에 있는 자아상을 긍정적이고, 충만한 상태로 각인시켜야 한다.
적 : 진짜 원하는 모습이 된 것처럼 행동하고, 말하고, 시간을 사용하자
p53. 성공 확률이 희박하지만 실패가 당연하기에 두렵지 않다. 당연한 실패는 우리를 불안하게 만들지 않는다.
깨 : 실패는 성공으로 가는 과정에 있어 당연한 과정이기에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
적 : 실패를 루틴처럼 행하고, 더 나아질 수 있는 기회라는 걸 알기에 하루 루틴 중 벅찬 일을 해나가듯이 도전과 실패도 똑같은 항목으로 같이 해나가자. 당연한 실패를 하자.
p59. 인생이 영화임을 알면 그것이 주는 불안과 두려움을 즐길 수 있다.
깨 : 인생은 한 편의 영화이고 우리는 관객이다.
적 : 관객으로 보는 영화가 내 인생이므로, 인생 영화를 그저 즐기고 지금 여기에 감사하면 된다.
p66. 나는 그들을 바라보며 한 편의 영화를 보고 있다. 그리고 그 위치에서 인생 시나리오를 쓰고 있다. 세상을 볼 때가 아니라, 세상을 보고 있는 나를 바라볼 때 인생을 수정할 수 있다.
깨 : 내 인생 영화를 작가가 되어 각본 쓰고, 수정하고, 각색해야 한다.
적 : 영화 속 주인공이 되려하지말고, 세상을 바라보고 있는 나를 바라보면서 인생 영화를 쓰는 시나리오 작가로 행동하자
p79. 즐거움의 차이고, 몰입의 정도며, 그로 인해 생기는 자신감과 당연함의 유무다.
깨 : 미래를 이미 바라보고 되었다고 확신하는 자신감과 당연함을 갖자
적 : 이미 성공한 사람처럼 행동하고, 그가 되기 위한 시나리오를 작성하는 사람이 되자
p105. 두려움을 전제로 하는 예측은 늘 부정적 미래와 연결되기 때문이다. 불안한 예감은 늘 틀리지 않는다.
깨 : 무의식에 자신감과 당연함이 새겨진 결정을 시행해나가자
적 : 인생의 작가로서 자신감과 당연함의 긍정적인 미래와 연결되도록 시나리오를 써내려가자
p110. 나와 남의 관계는 사실 나와 나의 관계가 표현된 것이다. 내 안에 상처받은 뿌리 감정이 그를 통해 표현되는 것이다.
깨 : 용서와 감사의 말로 나 자신과 대화하고 생각을 표현해야 한다.
적 : 나 자신과의 대화와 생각을 기록으로 남기고, 지속적으로 긍정적이고 감사의 표현을 하자
p121. 반대로 나의 오늘을 즐기며 허락할 때, 세상은 그 과정과 연결된 즐거운 미래를 펼쳐낸다. 과정과 결과는 연결되어 있다.
깨 : 과정을 즐겨야 더 많은 것을 이루고 행복을 경험하는 삶을 살게 된다.
적 : 너무 잘하려 하지 말고 즐거움을 허락하는 과정 속에서 투자 생활을 이어나가자
p140. 명상의 목적은 이거다. 생각의 늪에 빠진 나에게서 벗어나 또 다른 나를 만나는 것이다. 그리고 그가 만드는 세상에 내 삶을 내맡기는 것이다. 이것이 명상의 본질이다.
깨 : 명상을 통해 삶을 살아가는 나 자신을 바라보는 나를 만난다.
적 : 바라보는 나인 무의식을 만나면서 내 인생의 시나리오를 쓰고 작가로서 살아갈 수 있다.
p175. 돈은 나를 비춰주는 거울이다. 내가 돈을 긍정하고 돈에 감사할 때, 돈은 그 가치를 세상에 전달한다.
깨 : 나 자신을 돈을 긍정하고 감사하는 사람으로 만들고, 그 가치를 세상에 전달할 수 있어야한다.
적 : 명상과 확언을 통해 무의식 속에서 돈에 감사하고 사랑하는 사람이 되자
p197. 내가 원하는 시간에, 내가 원하는 곳에서 내가 좋아하는 사람과 즐겁게 일하면 부자다.
깨 : 시간을 중요한 가치로 여기고 부자가 된 나의 모습을 무의식에 각인해야한다.
적 : 비전보드에 맞게 시간을 소중히 여기는 부자가 이미 된 것처럼 나 자신을 받아들이고 사랑해야 한다.
p205. 상대에 대한 감사는 누구나 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상대가 나일 때 그 가치는 더욱 빛나게 된다.
깨 : 나 자신에게 항상 감사한 마음을 표현하여 자존감을 높이고 시나리오 대로 써내려가자
적 : 틈틈히 나 자신에게 감사 문장 쓰고 기록하기
p229. 오늘의 당연함에 감사하라. 지금 내 주변에 있는 모든 것들에 감사해보자.
깨 : 감사함으로 내면의 풍요를 채우면서 부자의 길로 가게 된다.
적 : 매일, 매시간 감사일기, 감사한 생각을 가지고 기록하자
p. 254 행복해지려 하지 말고 그냥 행복하자. 그냥 행복하면 된다. 무엇을 가져야만, 어디를 가야만, 어떤 위치에 있어야만 행복한 것이 아니다.
깨 : 그저 이 순간에 충실하고 즐기면 과정을 이어나가야 한다.
적 : 이 순간을 행복하고 즐기는 마음을 갖고 하루를 보내자
p261. 저항하면 지속되고, 허용하면 흘러간다. “그렇구나. 그럴수 있다. 그래라 그래”
깨 : 생각의 힘을 빼고 힘든 감정과 슬픔, 괴로움을 흘러가게 해야 한다.
적 : 관객의 눈으로 감정들을 허용하고 흘려보내자.
3. BM 할 점
4. 연관 지어 읽어 볼만한 책 한 권을 뽑는다면?
: 슈퍼노멀, 주언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