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수강후기

[지투기 31기 한번(1)의 선택으로 7채의 미래를 바꿀 온리원조_백개의씨앗] 1강 후기: 지방 투자의 시작을 유디님과 함께! (지방의 기준을 잡다)

25.10.04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인상 깊었던 점 

  • 지방은 사지 말아야 하는 것을 안 사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리고 더 버는 것보다 얼마나 빨리 회수 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아야 한다. 공급이 많은 지역이 안 좋은 지역이 아니라, 투자에 적합한 시기가 오지 않은 것이다. 수익을 빠르게 실현할 수 있는, 시간적 기회비용을 줄일 수 있는 지역의 공통점은 공급에 있다. 현재 시점에서 다른 곳에 더 좋은 기회가 있을 뿐, 먼저 보아야 할 곳과 나중에 봐도 되는 곳을 구분하자! 

 

  • 벼락치기 공부하듯이 하면 오래 못한다. 재미있게 하자. 먼저 행동하지 못 한다고, 후순위 물건에 투자한다고 잘못하는게 아니다. 제 가치를 찾을 때까지 여유를 가지고 기다릴 수 있어야 한다. 투자는 점이 아니라 선이다. 매수와 보유와 매도까지 이어지는 선. 이 과정 중에 가족과의 관계가 깨지거나 회사에서 평판이 무너지면서까지 극단적으로 하다가는 금방 사라지게 된다. 잘하려고 하는 것보다 오래 하는 방향으로 해야 한다!

 

  • 편견을 가지지 말자. 수요의 관점에서 보자. 임장보고서 안에 객관적인 자료를 담는 이유는 내 생각의 오류(지레짐작, 편견, 오해)를 줄이기 위함이다. 특히 지방은 객관적인 이해 보다 해당 지역 자체의 특성을 공감해야 한다. 지방의 경우 명확한 기준으로 선호도를 구분할 수 없다. 수요자의 관점에서 그 곳에 살아야 하는 이유를 찾아야 한다! 

 

 

#적용해보고 싶은 점

  • 지방마다 투자 기준이 달라진다. 지방투자의 핵심 기준을 토대로 해당 지역의 투자 우선순위 기준을 정해보자. ‘택지의 규모(커뮤니티) + 핵심 입지 요소(ex. 상품성, 학군 등)’ 

 

  • 임보 거창하게 하지 말자! 어떤 자료를 가지고 어떻게 해석하느냐가 중요! 시간을 아끼면서 인사이트를 뽑아내는 것을 목표로! 객관적 자료(데이터) → 분석(투자생각) → 우선순위 정리(투자기준). 본질은 투자에 직결되는 기준을 세우는 것이다.

댓글


경이맘
25. 10. 06. 17:21

씨앗님 오프강의 너무 축하드려요! 강의도 다 듣고, 후기까지 이렇게^^ 저희 임장지의 우선순위 기준 함께 얘기해보면 좋겠어요~~ 오프강의 다녀오시면, 후기도 공유해주세요!!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