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의 얼굴
돈의 탄생, 그리고 흐름
-돈은 신뢰를 바탕으로 하고, 그 신뢰는 영원하지 않다
이자, 굴려드립니다
-실질금리 = 은행 약정 이율 - 물가상승률
인플레이션의 정체
-화폐 발행은 실질적으로 세금과 같다
-빚은 나중에 갚자
빚 갚고 계십니까?
-불확실성에 대비할 재정적 안전망을 갖춰야 한다.
돈의 또 다른 얼굴, 암호화폐
-탈중앙화된 분산장부시스템, 블록체인으로 모든 사용자의 장부가 신뢰를 보중하는 역할을 한다.
-누가 신뢰받는 돈을 만들 수 있는가
**느낀 점
-2025년 물가상승률은 약 2%. 요즘 예금, 적금 금리도 3% 기본, 많으면 5% 특판 정도인데 그렇다해도 물가상승률 2%를 빼면 1~3% 정도. 이번에 1호기를 매도하여 잃지 않는 수준 정도의 시세차익을 얻을 수 있었다. 수익률을 따지면 연 10% 정도. 예적금만으로는 내가 원하는 목표 자산을 이룰 수 없다는 것을 배웠고, 실제 투자를 통해 저환수원리에 따라 투자하면 연 10%이상은 벌 수 있다는 것을 체득했다. 인플레이션을 뛰어넘기 위해서는 투자는 필수, 올해 안에 목표 수익을 얻을 수 있는 2호기로 갈아끼워야겠다.
-4년 전 전세대출을 받고 대출은 무조건 갚아야 된다고 생각해서 달마다 열심히 갚아 상환을 완료했다. 하지만 지금와서 생각해보니 그당시 금리는 1~2% 정도, 만약 대출을 갚지 않고 그 돈으로 투자를 했다면 지금보다 자산이 더 불어나있을 것이다. 그래도 얼른 상환해야한다는 일념하에 무분별한 소비는 줄이고 선저축하는 시스템을 갖췄다. 2년은 상환, 2년은 투자공부를 했기에 이전과 똑같은 실수를 되풀이하지 않고 앞으로 이 돈을 불려줄 자산을 찾는데 집중해야겠다.
댓글
요니스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