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자 코칭을 해주신 프메퍼 튜터님의 강의라 더 반갑고 신나는 마음으로 들었습니다!
ㅎㅎ투코때는 그렇게 세심하셨는데 대문자T에 무서우시다니 ㄷㄷ 😫
실력이 늘어서 다시 만날 수 있는 날을 기대 하겠습니다.
이번 강의의 핵심은 ‘비교평가’, 아직 이해가 다 되지 않았지만 배우고 느낌 점들을 적어 봅니다.
지방 투자 프로세스
가치 판단(지역내 입지, 선호도, 단지 특징)
어떤 생활권이 좋을까?, 사람들은 왜 이곳을 선호할까?
학군! 어떤 학교를 보내는지를 진짜 중요하게 생각하는구나
직장, 부자동네 좋은직장을 가진 사람들, 무바자들이 모여 살면서 선호 되는 그들의 커뮤니티를 만들었다.
(부자가 많고 그게 다시 선호 포인트가 되고)
가격 판단(절대적 평가, 상대적 평가)
시장이 싼 시장인지 비싼 시장인지, 매도자 시장인지, 매수자 시장인지
비교 할 수 있는 비슷한 단지 비교로 상대적인 비교 평가
투자판단(투자금, 리스크, 포트폴리오)
내가 가진 투자금(+3000)으로 내가 감당 할 수 있는 현실적인 물건을 보자
포트폴리오 지금당장은 아니지만 나중에 물건이 많아 지면 꼭 고려 해야 한다.(포트폴리오 관리 하고싶다 ㅠ)
비교 평가
지역내 비교평가(지역선호도, 신축, 환경)
연식, 생활권, 펴형등 기준을 잡고 1:1로 비교평가해 보자
틀려도 괜찮다, 내생각과 다르다면 왜 다른지 어떤 요소를 놓친건지 찾아보면 된다.
연식, 환경, 선호도를 각각 비교해서 최종적으로 가치를 비교 하는게 가독성 좋게 확 와닿았습니다.
같은 가치 → 가격 비교 / 같은 가격 → 가치 비교
절대적 저평가: 가치 순서대로 가격이 비싸지 않다면 가치가 더 좋은 것이 우선
상대적 저평가: 가치 순서대로 가격이 비쌀 때 가격이 더 싼 것이 저평가
적용할 점
비교평가가 항상 어렵고 궁금했는데 다양한 예시들로 비교 평가를 보여 주셔서 감사합니다.
우선 지약간 비교평가(같은 규모끼리)를 할 수 있게 내 앞마당 내에서의 비교평가는 잘 되었나 다시 찾아 보겠습니다!
진짜 비교 평가는 매물과 매물로 하는 거구나, 현장에서 내가 만들어 내는 것임을 알았습니다.
더욱 현장과 가까워져야 한다.
ㅎㅎ 사실 아직 다 이해 되지는 않았지만 다시 강의를 보고 직접 내 임보에 적용 해 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