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전문가칼럼

무조건 떡상하는 블로그 글쓰기

11시간 전
  • 블로그 글쓴다고 돈이 되나요?
  • 이미 레드오션 아닌가요?
  • 최적화블로그 그들만의 리그 아닌가요?
  • 요즘 누가 블로그를 하나요?
  • 소재 찾는게 너무 어려워요
  • 꾸준히 글쓰는게 쉽지 않네요

 

 

틀린말 하나 없습니다.

 

다 맞는 말 입니다.

 

하지만 여전히 블로그는 돈이되고, 새로 신설한 신생 블로그가 최상단에 노출되는 등 수익화의 길은 열려있습니다.

 

 

그리고 초보도 반드시 성공할 수 있는 글쓰기 방법도 있습니다.

 

 


 

 

초보 블로그는 

경쟁강도가 낮은 키워드로 

글을 써야 됩니다.

 

 

이게 대전제입니다.

 

초보 블로그는 최대한 경쟁강도가 낮은 키워드로 글을 써야 됩니다.

 

그래야 그나마의 상단 노출가능성이 있거든요. 단, 너무 마이너하면 극악의 일 방문자수를 기록하고 그게 반복되면 지쳐서 그만두게 됩니다. 그래서 밸런스가 참 중요하죠.

 

 

여기서의 키포인트는 소재 자체는 검색량이 많되, 내가 쓰는 키워드는 그 소재를 수직으로 파고들어야 된다는 겁니다.

 

 

소재 자체의 검색량이 적으면 아무리 최상단에 노출된다고 하더라도 그 글로는 방문자를 끌어모을 수가 없습니다.

 

 

상위노출 되도 방문자가 적음

 

가령 제가 최근에 쓴 “채무면제 유예상품” 글을 보면,

 

이 주제는 검색량이 적은 마이너한 소재입니다. 

 

메인키워드 (채무면제 유예상품)으로 최상단에 노출되었지만, 방문자수는 일 50~100명으로 극히 적습니다.

 

 

서브 키워드 방문유입은 최악

 

그나마 저는 메인키워드가 상단에 노출됐으니 50~100명이라도 온건데 서브키워드 (경쟁강도가 약한)의 경우 방문비율을 보면 정말 극악입니다.

 

초보 입장에선 이런 키워드로는 쓰면 안되죠

 

마이너한 키워드라 상단노출 가능성은 높지만 방문자가 워낙 적으니까요

 

 

 

검색량이 많은 키워드를

수직으로 파고들어야 됨

 

 

 

초보가 방문유입을 극대화시키기 위해선

 

검색량이 많은 소재를 찾은 뒤 그 키워드를 수직으로 파고 들어야 됩니다.

 

대표적인게 “기초생활수급자” / “생계급여” / “국민연금” / “근로장려금” 같은거죠.

 

 

이런 검색량이 많은 소재를 가지고 수직으로 파고들어야 됩니다. 여기서 말하는 수직은 연관있는 키워드를 파고든다는 뜻입니다.

 

 

위과 같이 검색량이 많은 키워드로 최상단에 노출되면 글 하나로 수만~수십만명이 들어옵니다. 

 

초보의 경우 이러긴 어렵겠죠. 하지만 이런 키워드는 서브 키워드라도 상단에 노출되면 꽤 많은 방문유입이 일어납니다.

 

 

 

 

제가 쓴 실업급여 관련 글을 보면

 

 

 

 

글 하나로 4만명이 유입됐는데,

 

 

 

지금도 서브키워드 (실업급여 4차 구직활동 등)로 방문 유입이 일어납니다.

 

 

 

단순 나열이 아니라

수직으로 파고든다는 것의 뜻

 

 

 

 

그런데 초보의 경우 위 예시처럼 하시면 안됩니다.

 

저렇게 실업급여 / 실업인정일 / 구직활동 / 반복수급자 처럼 연관없는 키워드를 나열하는 건 뭐라도 얻어걸릴 수 있는 확률이 높은 인플루언서가 제목을 정하는 방법입니다.

 

 

초보는 나열식으로 키워드를 나열하면 안되고, 수직으로 파고 든 키워드를 써야 됩니다.

 

기초생활수급자부양의무자며느리/사위재산 이런식으로 파고들어야죠

 

 

기초생활자에 대해 검색하는 사람들은 자신이 대상이 되는지 궁금해하고, 부양의무자 (가족)의 재산을 보는지 궁금해 합니다. 그러면서 며느리나 사위의 재산이나 소득도 보는지 궁금해하죠.

 

 

그래서 이런식으로 파고들어 제목을 구성해야 됩니다.

 

만약 제가 새로 블로그를 파서 운영한다면

 

 

[ 기초생활수급자 부양의무자 며느리 사위 재산 포함 여부 ] 이런식으로 제목을 구성해서 글을 쓸 겁니다.

 

 

다시 말씀드리지만, 나열식으로 쓰면 안되고 수직으로 파고 든 글을 써야 됩니다.

 

 

잘된 예)

[ 기초생활수급자 부양의무자 며느리 사위 재산 포함 여부 ] 

 

 

잘못 된 예)

[기초생활수급자 조건 및 혜택과 조건 / 자격 / 재산]

 

 

위 둘의 차이가 느껴지시나요?

 

 

저같은 인플루언서는 후자로 쓰면 됩니다. 

 

 

“기초생활수급자 조건” / “기초생활수급자 혜택” / “기초생활수급자 자격” / “기초생활수급자 재산” 등 뭐로 검색해도 상단에 뜰 수 있으니 이렇게 나열식으로 쓰면 됩니다.

 

 

하지만 초보는 절대 이렇게 상단노출이 안됩니다.

 

 

이런 키워드들은 자동완성 키워드로 검색량이 폭발적인 만큼 경쟁강도가 높아 경쟁에서 밀리거든요

 

 

대신 기초생활수급자 부양의무자로 파고들어서 며느리와 사위 등으로 검색한 사람들의 유입을 노려야 됩니다.

 

 

 

블로그에 대해 좀 더 알고싶다면

수익화에 성공하고 싶다면

 

 

 

제 블로그 “은퇴연구소”에 정말 많은 정보가 있으니,

 

 

블로그 수익화를 원하시는 분들은 제 글을 꼭 읽어보세요!

 

 

https://blog.naver.com/meaning87/223908512979

 

 

저처럼 월 400~600만원을 안정적으로 벌긴 어려워도 꾸준히 하시면 월 백은 거뜬하실겁니다!


댓글


탑슈크란
25. 10. 14. 23:21

검색을 많이 하는 키워드에 연상을 통해 독특한 제목을 만들어야되겠네요. 블로그도 전략게임이라는 것을 배우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그뤠잇v
25. 10. 14. 23:58

블로그 수익화 전략 감사합니다 :)

무쏘의뿔
25. 10. 15. 00:02N

좋은 글 감사합니다. 그 동안 강의를 들을 때마다 롱테일 키워드 얘기를 들었지만 수직으로 파고드는 키워드라니..제 블로그 제목을 다시 재점검하게 되는 계기가 된 거 같아요. 감사합니다.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