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지투기 31기 몽쉘입니다.
월부 입성 13개월만에 처음으로 듣는
지방투자기초반의 설레는 첫 번째 강의!
권유디님과 함께하
[돈버는 지방투자 원칙 3가지 + 울산 지역분석]
![[데이터 테러주의] 공카가 혼란에카오스다 ㅇㅅㅇ/](https://cdn.weolbu.com/data_file/9828c5bc-3d01-4696-92d3-040e18ecfe35.jpg)
(규제로 혼란스러운 현 시장!)
항상 듣는 수도권과 지방은 전혀 다르다!
수도권에서 중요한 요소와 지방에서 중요한 요소는
다르기 때문에 이걸 잘 구분할 줄 알아야 한다.
사실 저는 지방에서 20년 넘게 생활했다 보니
처음 수도권에 올라왔을 때…
부모님 지인 분께서 1기 신도시의 복도식 10평대 초역세권 아파트를
매수하라고 추천해주셨을 때
이걸 돈 주고 사라고요? 그것도 2억 넘게 주고? 라는 생각을 했던 사람이었더랍죠.
그러고 나서 폭등장이 시작되었고 그 단지는 전고점이 4.9억 정도,,,
현재 시세는 4억 초반대를 형성하고 있습니다ㅋㅋㅋㅋㅋㅋ
돌이켜 생각해보면 저에게 뿌리박혀 있던 지방인의 마인드
‘복도식은 아파트가 아니다, 아파트라 함은 최소 25평 + 방3 화2다’
이게 기본 전제 조건이었기 때문에 강남에 40분 컷으로 갈 수 있는
그 단지가 진짜 집으로 안 보였던 거죠ㅎㅎㅎ
이랬던 제가 올챙이 적 시절을 모른다고 지방 어려운데…
막연한 공포만 가지고 있었던 것 같습니다.
20년 넘는 세월을 지방에서 살았던 저의 기억을 되살려서 들었던
이번 1강의 강의 후기 시작하겠습니다.
지방 투자는 어떻게 바라봐야 할까?
소액투자처로서 많은 분들이 고민하는 지방투자!
하지만 열중반에서도 알 수 있었던 것처럼
지방에는 영원히 오르지 않는 저가치 물건도 많이 있기에
내가 고른 이 단지가 저가치이면 어떡하지?
투자 범위를 제한해야 한다고 하는데 이게 그 범위 밖이면 어떡하지?
이런 고민들을 할 수밖에 없습니다ㅠㅜ
지투기 1강에서는 이런 수강생분들의 고민을 덜어주셨습니다.
먼저 지역별 매매지수 등을 통해 각 지역들이
어떤 흐름을 보이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지방에서 수요가 있는 지역과 단지에 대해서
스스로 생각해볼 수 있도록
‘수요가 있는 지역인 것은 어떻게 알까?’
‘수요가 있는 동네인 것은 어떻게 알까?’
‘수요가 있는 단지인 것은 어떻게 알까?’
라는 3가지 질문을 던져 주셨습니다.
이 질문을 나의 임장지에 적용한다면 저가치 물건을 거르는 것은
어렵지 않겠다는 확신을 가질 수 있는 대목이었습니다.
[BM]
지방투자의 핵심 입지가치를 기억하자.
강의 내용을 나의 임장지에 적용하자.
울산 지역분석
살면서 한 번도 가 본 적이 없는 울산!
하지만 울산하면 떠오르는 대기업인 현대자동차
학생 시절 캠프에서 만난 울산에서 온 한 친구가 있었는데
그 친구가 누군가에게 했던 말이 아직도 저에게 기억에 남아 있습니다.
“그 월급으로 어떻게 살아요?”
그 당시에는 와,, 저게 무슨 말이지 싶었는데 그 친구의 부모님도
현대자동차에 근무하셨던 터라 그 말을 듣고
울산의 기본적인 소득 수준을 가늠할 수 있었습니다.
이번 울산 지역분석 강의를 들으면서
유디님께서 계속해서 복습에 복습에 복습!!!!을 더해주신 덕분에
한 번도 가 본 적 없는 울산이 친숙해졌습니다ㅎㅎㅎ
중구, 남구, 북구, 동구, 울주군까지
울산을 여행하는 듯한 특별함을 체험할 수 있었습니다.
[BM]
시장마다 투자범위는 바뀔 수 있으니 이에 적응하는 것,
각 구에서 중요한 핵심입지가치를 파악하고 투자범위를 정하자.
돈 버는 지방투자의 원칙 3가지를 제대로 알려주신 덕분에
첫 지방 임장지인데도 불구하고 두려움 없이 임장지에 대한 설레임만 안고
추석 연휴기간동안 임장 다녀올 수 있었습니다.
실물로 뵈어도 정말 멋있으셨던 권유디 멘토님의
지투기 1강 너무 잘 들었습니다. 항상 좋은 강의로 어깨를 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댓글
몽쉘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