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나에게 특히 인상깊었던 점’
지방에서 구축 단지인데도 선호도 있는 곳은 어떻게 판단하는지 알게됨.
지방에서는 서울/수도권에 비해 땅의 가치가 떨어져 단지들의 입지독점성이 떨어지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입지독점성을 지닐수 있는 요소가 무엇인지 알게됨.
선호 생활권과 후순위 생활권의 대장단지 매매가격 수익이 크게 다르지 않다. 그만큼 땅의 가치가 적다는 것이고, 교통요소가 크지 않다보니 한 광역시 내 각 생활권별 선호하는 단지면 수요가 있고 가격에 반영된다는게 신기했음.
행정단위가 작은 곳이라고 해서 가격이 안오를거라는 선입견이 있었으나, 특수요소로 인해 수요가 집중되는 곳은 선호생활권 못지 않은 가격 상승이 있는 것. 즉, 결국 아무리 군이고 읍이더라도 선호 단지는 투자대상이 될 수 있다!
‘꼭 적용해보고 싶은 점’
지방은 입지 독점성이 떨어지는 만큼 서울/수도권처럼 장기보유만 해서는 안되는걸 알게됨.
특히 공급량에 따른 전세/매매 지수가 정직하고 매전차이가 튀는 구간이 없기 때문에 공급량에 따른
세입자 연장계약이라던가 매도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공급량을 통한 매수, 보유, 매도 전략을 세우는 걸 적용해 봐야겠다.
앞으로 영원히 매매가 변동이 없을수도 있는 곳도 있으니 투자 범위를 명확하게 하기
눈에 보이면 좋은건데 그래도 평균 이상 선호도가 있는 곳이어야 유효한 수요요소 일 수 있음.
어쨌든 택지 여부가 중요하기 때문에 임보에 생활권별 판단할 때 택지여부 도 표기해보기
절대적 저평가 시장에선 가격이 다 싸기 때문에 투자금이 싸다고 해서 혹하지 말고, 투자금이 좀 더 들더라도 선호도를 우선순위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댓글
웨슬리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