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국과 송의 비전보드를 이룰 국송입니다.
2주차 실전반 강의는 메퍼튜터님의 비교평가 방법입니다.
수도권뿐만 아니라 지방에서 비교평가는 완전 거리가 먼지역이기에
지역간 비교평가를 대부분의 사람들이 어려워 하는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단지의 가치가 좋고 나쁨에 대해서 대략적으로 알고 있지만
이걸 투자로 적용하다보니 무엇인 싼건지 비싼건지 잘 못알아봐서 그렇습니다.
그리고 지방투자를 할때 아무래도 지역별로 가격을 결정하는 요소가 많고
그것을 정률화하여 딱 짤라서 비교평가 할 수 없기에 대략적인 선호도로 비교해야해서
더 어려운 것 같습니다.
메퍼튜터님 말씀처럼 어려운 것은 맞고
그렇기에 기준을 두고 비교평가를 해야 잘한다는 것이었습니다.
인구,전세가,투자금,공급상황,리스크까지 복합적으로 고려해야했습니다.
왜냐하면 지방은 적은돈으로 투자할 수 있고
빠른 수익을 가져가야하는 투자이기 때문에 이런것까지 복합적으로 봐야했습니다.
이런 어려운 부분을 이번 강의에서 차근차근 해석해주고 풀어주셨습니다.
지금 당장 이해가 안되더라도
강의 교안만 보더라도 이해가 될 수준이니
두고두고 보면서다른 사람들 알려줄 때에도 사용하려고 합니다.
지방에서도 땅의 가치가 있고 덜하고가 있기에
비교평가의 비율을 조정하고
그 지역마다 좋아하는 가격결정요소가 있기에
그런 요소들을 비교평가에 반영해야했습니다.
처음에는 이 방식이 익숙하지 않을 수 있지만
반복적으로 시도하고 앞마당을 쌓아간다면
투자의 앞서 비교평가에 좋은 툴이 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