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실전준비반 - 단 한 번의 투자로 1억 버는 임장∙임장 보고서 노하우
권유디, 자음과모음, 코크드림, 너나위

체계가 있다. 체계만 따라가도 어떤 생활권이 좋은지, 어떤 단지가 좋은지 구별 할 수 있다.
우선순위 정하기가 쉬워진다. 모든것은 우선순위를 정하기 위함임을 잊지말자
지도랑 친해지기. 지도를 자주 보는 습관 가지기. 오며 가며 지도를 봐야겠다. 처음가는 동네가더라도.
너무 임장보고서 완벽하게 쓰려고 집착하지말자. 내가 파악하는게 중요. 비교하기 위함이다.
꾸준히 하다보면 익숙해진다. 모든일이 그렇듯. 꾸준히.
임장보고서를 쓰고 분임, 단임을 하고 시세조사를 하고 다시 지역을 살펴보니까
어떤 아파트가 저평가 되어있는지 , 어떤 아파트는 투자하면 안될지 대략적으로 감이 온다.
예전엔 가격이 싼걸 찾기 바빴는데. 싼 가격 자체가 중요하지 않다는 걸 알게 되었다.
저평가 되어있다는게 중요하다..!!!
단지의 가치 중에서 환경적인 요소가 중요하다!
조경이나 동간 간격까지는 신경쓰지 못했던 것 같다. 하긴, 비슷한 조건이면 쾌적한걸 선택하겠지.
2. 꼭 적용해보고 싶은 점
단임 가지 못했던 단지들을 마저 가보고, 임장보고서와 시세분석을 통해서 내가 좋은 단지라고 생각한 단지와 실제 단임 단지와 비교해보고 싶다.
그래서 강사님 처럼 1,2 순위 생활권을 정하고 그중에 선택지 각 3개씩 추려봐야겠다.
아직은 생활권 1,2위도 헷갈린다.
중랑구는 교통이 중요하기 때문에 7호선의 생활권이 1,2위 가 맞겠지?
직접 가봤을 땐 신내동이 살기에는 가장 괜찮았기에 신내동이 들어가야하는건지 헷갈린다.
신내동까지 시세 분석을 해보고 비교해보면 알수있지않을까?
댓글
타라빈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