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TEP1. 책 소개
STEP2. 본깨적
✅ 본: (p.81) 대부분의 사람은 자기 생각, 행동, 반응 등을 의식해서 점검하지 않으면 자신이 부정적인 사고를 한다는 사실을 깨닫지 못한다. 자기분석 과정은 간단하다. “이것은 긍정적인가 아니면 부정적인가?” 라고 자신에게 물으면 된다. 자기 마음의 주인이 되어 자기가 선택한 방향으로 사고하는 데 실패한 사람이라면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기 쉽다.
✅ 깨: 생각해보면 나도 내 스스로가 부정적인 사고를 하고 있다는 사실을 눈치채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다. 만약 내가 내 마음의 주인이 되지 못한채로 내가 선택한 방향으로 나아가지 못한다면 나는 확실히 부정적인 사고를 하게 될 것이다.
✅ 적: 주기적으로 내가 부정적인 사고를 하고있는지 의식할 필요가 있다. 내 마음이 긍정적인 방향으로 나아가도록 늘 신경쓰자.
✅ 본: (p.87) 인생을 사는 여러 가지 방법 중에는 ‘흘러가는 대로 사는 방법’이 있다. 이것은 언뜻 보기에는 걱정과 스트레스를 없애며 평안한 마음으로 사는 것 같아 마음이 솔깃해지기도 한다.
그러나 흘러가는 대로 모든 것을 놔두는 것은 자신이 누구인지, 무엇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부정적인 결과에 보내는 핑곗거리가 될 뿐이다.
(p.88) 긍정적인 마음가짐은 모든 것을 핑계삼으며 도피하는 걸 용납하지 않는다. 부정적인 생각이 떠오를 수는 있겠지만, 깊이 생각하면 그것이 행동과 책임을 회피하려는 수단임을 깨닫게 된다. 그러면 그 생각을 거부하고 긍정적인 제안으로 대응해야 한다.
이런일이 자주 이뤄질수록 반사적으로 긍정적인 생각이 일어나는 빈도도 높아지고, 결국은 부정적인 생각이 발을 붙일 수 없게 된다.
✅ 깨: 늘 흘러가는 대로 살아가는 인생을 추구했다는 생각이 들었다. 가장 스트레스가 없는 방법이라고 믿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흘러가는 대로 살게되면 알게 모르게 스트레스를 많이 받지만 계속 합리화했다. ‘나는 괜찮아’라고 내 자신을 속여왔다는 생각이 들었다. 지금 생각해보면 이 모든게 부정적인 생각의 일환이었다고 생각한다. 만약 이러한 순간에 긍적적인 생각을 한다면 합리화가 아닌 ‘그래 해보자’ 라는 선택을 했을 것이다.
다행인 것은 지금의 나는 흘러가는 대로 살아가는 것을 싫어한다. 오히려 거부하고 역행하며 나의 목표와 꿈을 향해 나아가려고 하고있다. 그 과정에서 느끼는 고통과 스트레스는 오히려 나를 더욱 단단하게 성장시켜주는 고마운 존재이다. 점차 부정적인 생각보다는 긍정적인 생각을 통해 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노력하고 있다.
✅ 적: 긍정적인 생각을 통해 스스로 합리화하는 과정 줄이기
✅ 본: (p.96) 맬츠 박사는 우리의 잠재의식은 진짜 경험과 상상 속의 경험을 구분하지 못한다고 강조했다….
“매일 일정한 시간을 정해 눈을 감고 자신의 목표에 대해 이미지화한다. 자신이 그 목표를 이루었다고 상상하는 것이다. 자신이 이룬 목표가 어떤 느낌, 어떤 냄새, 어떤 모습인지 그려본다. 자신이 부정적인 생각에 잠겨 있는 걸 발견하면 즉시 그 생각을 버리라고 명령한다. 그리고 그 우울한 이미지를 당신이 인생에서 진정으로 바라는 마음의 그림들로 대체한다.”
✅ 깨: 사실 우리 행동의 대부분은 잠재의식이 결정한다고 생각한다. 우리가 의식 할 수 있는 부분은 굉장히 적다. 잠재의식은 상상과 실제를 구분하지 못한다. 그래서 더더욱 나의 생각과 나의 말을 조심해야 하는 것이다. 우리는 정말 우리가 생각하는 대로 우리가 상상하는 대로 이루어진다.
✅ 적: 부정적인 이미지를 벗어 던지고 긍정적인 이미지를 항상 떠올리자.
✅ 본: (p.123) 늘 긍정적인 마음가짐을 가져라. 우리는 자기 마음의 생각과 태도를 물리적 현실로 옮겨놓고 있다는 걸 깨달아야 한다.
✅ 깨: 물리적 현실로 옮겨놓는다는 표현이 정말 좋은 것 같다. 우리 마음의 생각과 태도는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이지만 사실 그것이 우리를 규정하고 우리를 만들고 우리 삶을 결정한다는 의미에서 물리적 현실이라는 표현이 참 좋은 표현 인것 같다.
✅ 적: 나의 생각과 나의 태도가 곧 나라는 걸 항상 명심하자.
✅ 본: (p.133)절대 실패하지 않는다는 것을 안다면 당신은 지금 무엇을 시도하겠는가?_로버트 슐러(미국의 목사)
✅ 깨: 아주 큰 울림을 주는 문구였다. 강호동님이 하신 말씀도 떠올랐다. “인생에는 성공과 실패가 있는 것이 아니다. 인생에는 성공과 과정만이 있을 뿐이다.” 즉 내가 목표를 향해 달려가는 과정에서 실패라고 느끼는 것은 사실 실패가 아닌 과정이다. 우리는 절대 실패하지 않는다. 항상 과정속에 있을 뿐이다. 그러므로 실패를 두려워해서 시도하는 것을 포기하지 말자. 멋지게 시도하고 멋지게 과정을 겪어 나가자. 물론 힘들겠지만 그래도 누군가에겐 정말 경험하고 싶었던 행복한 과정일 것이다.
✅ 적: 항상 과정속에 있을 수 있음을 감사하자. 도전하고 과정속에서 성장하자.
✅ 본: (p.175)실패에 맞서 마음의 통제력을 잃지 않는 것은 벤치프레스에서 정해진 횟수보다 한 번 더 바벨을 들어올리는 것과도 같다. 그러면서 전보다 더 강인하게 정신력을 단련시키는 것이다.
✅ 깨: 근육을 키우기 위해서는 점진적 과부하를 해야 한다. 항상 같은 무게와 같은 횟수만 들면 근육이 자라지 않는다. 긍정적인 마음가짐과 정신력도 똑같다. 힘든 상황에서도 한 번 더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웃는 행동이 이러한 마음가짐을 단련시켜주는 것이다.
✅ 적: 긍정적인 마음가짐과 정신력을 키우기 위한 ‘의식적인’ 노력을 하자.
✅ 본: (p.200) 목표를 세우면 목표를 이루기 위해 대가를 치를 의욕이 생기지요. 필요한 시간과 돈을 할당합니다. 공부하고, 생각하고, 되도록 날마다 계획을 세우면서 목표 달성을 위한 원칙을 습득하고, 그 원칙을 실행에 옮기죠.
자신의 목표에 대해 많이 생각할수록 그만큼 더 열정적으로 변합니다. 그래서 단순한 소망이 불타는 열망이 되지요. 그러면 일상 속에서 나타나는 기회에 민감해지고, 자신이 무엇을 원하는지 알기 때문에 기회를 알아보기도 더 쉬워집니다.
✅ 깨: 목표를 세우는게 왜 중요한지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하게 해준다. 목표를 세우면 우리는 자연스레 그 목표를 수행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그 과정에서 평소에는 보이지 않았던 목표와 관련된 영역들이 보이기 시작할 것이고 점차 행동이 달라질 것이다.
✅ 적: 단순히 목표가 머릿속에 떠올랐다가 사라지도록 두지 말고 종이에 구체적으로 기록하자.
✅ 본: (p.209) 나폴레온 힐은 성공을 이루려면 우선 자기 마음의 주인이 되라고 강조한다. 진정한 성공은 요행으로 얻어지거나 남을 밟고 올라서서 강탈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을 잘 다스려서 자신의 힘으로 만들어가는 것이라고 말한다. 성공의 근본은 정신력이며, 육체와 마찬가지로 정신도 부단한 단련을 통해 힘을 키워야 한다고 조언한다.
✅ 깨: 투자 활동도 그렇고 모든 영역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마인드라고 생각한다. 결국 우리의 마인드가 우리의 현실로 나타난다. 그러므로 가장 우선시되어야 할 것은 우리가 우리 마인드의 주인이 되는 것이다. 우리의 마인드를 우리가 컨트롤 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이것은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점진적 과부하처럼 계속해서 단련하며 키워야 하는 것이다.
✅ 적: 우리의 마인드를 긍정적으로 바꾸고 건강하도록 바꾸기 위해 꾸준히 의식적인 노력을 하자.

댓글
걷는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