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재테크Q&A

실거주집 전세를 주고, 기한내 처분조건으로 정책대출 받고 갈아타기 시.. 계약&특약 관련 질문드립니다.

25.10.20

안녕하세요. 밝음맘입니다.

궁금한 부분이 있어 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다름이아니라

 

실거주집을 현금으로 전세를 들어오고 싶다는 분이 계십니다.

그래서 전세를 주고

상급지 갈아탈 집을 보금자리론으로 매수하려고 합니다.

지역은 천안인데요.

 

  1.  현재 상황에서  내년 1월 잔금으로 보금자리론 받으면 기존주택 3년이내 처분하는게 맞을까요?

     

  2. 처분조건 기간이 3년이내에 처분하는게 맞다면, 전세만기가 28년 1월이 되는데요..알아보니, 27년12월,28년 3월 입주가 많이 있어서 전세만기가 입주많을때라 전세 만기시점 이전에 상황이 좋다면 처분해야하나 고민이되어서요. 이번주 계약시 특약에 추후 집 내놓으면.. 집 보여주기에 협조해준다는 특약을 넣어달라고 사장님께 사정을 말씀드렸는데 사장님께서 계약할때 집 팔거라 잘 보여달라고 이런말하면 안좋아한다고 하셔서 좀 주저하시더라구요…그래도 계속 특약 넣어달라고  조르는(?)게 맞는건지.. 꼭 넣어야될 중요한 특약사항과 매도시 집 보여주는것 협조해달라는 것을 ..사장님껮어특약넣을수있는 방법이 어떻게 해야할까요?

     

  3.  그리고 2번 질문내용처럼 입주가 많을때 그 사이에 28년 1월에 전세 만기가 되는데  만기전에 매도를 안할 경우, 천안 백석동 16~17년차식 대단지아파트이지만, 구축이라 전세만기시 역전세날까 걱정이 되는데요 역전세를 피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3년으로 계약을 해도 되는건지요?  3년이내에 처분을해야하면 이 또한 리스크가 있지 않을까 하여 고견을 여쭈어봅니다🙏

     

  4. 전세 특약 꼭 넣어야하는게 있을까요?

 

미리 감사드립니다🙏


댓글


우도롱
25.10.20 19:19

안녕하세요 밝음맘님~ 주택 매수와 기존 주택으로 고민이 많으실 것 같아요. 저도 확인해본 결과 보금자리론 실행시 기존주택 처분조건부 가능하고, 대출 실행일로부터 3년으로 보입니다. 다만 2번, 3번에 써주신 생각을 정리했을 때, 현재 매도하지 않고 일시적 2주택을 유지하려는 이유가 앞으로 주택가격이 지금보다 오를 것으로 생각되는데 팔지 못할 경우는 전세 만기시 공급으로 인한 전세가 하락을 우려하시는 것으로 보이는데요. 2년 뒤에 매매가격, 전세가격이 지금보다 오를지 떨어질지는 모르겠지만, 지방에서 매매가는 전세가와 함께 움직이는 점을 고려할 것 같고, 최고의 시나리오 보다는 최악의 시나리오에서 덜 위험하고 덜 손해보는 것이 무엇일지 종이에 써보시길 추천드려요. 가능하시다면 월부닷컴의 투자코칭 서비스를 통해 의사결정에 도움 받아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빠이팅입니다!

블랙달리
25.10.20 23:23

안녕하세요~밝음맘님!
솔직한 고백 너무 감사하고, 결정에 빠진 것은 없는지 불안 하실 것 같습니다.

1. 기존 주택은 3년 이내 처분이 맞습니다.
2. 3. 위에 우도롱님 답변처럼 그 당시의 매매전세가 어떻게 될지는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다만 천안의 그 때 공급이 선호도가 있는 지역의 공급인 만큼 전세가에는 영향을 미칠 것 같습니다.
그래서 시장의 리스크를 대응 할 수 있는 방법은 없는지 아니면 역전세가 난다면 내가 감당할 수 있는지 점검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2. 집 보여주는데 협조한다는 특약은 주변의 사례나 본인의 경험을 토대로 설득해보시는 것 좋겠습니다!
제가 이전에 세입자의 협조가 안 되어서 곤란을 겪었던 경험이 있어서 그런다는 식으로 해보시면 좋겠습니다.
4. 특약 관련해서는 아래글 참고해보시면 좋겠습니다!
https://weolbu.com/community/522271

수수진
18시간 전

안녕하세요. 밝음맘님!
현재 실거주집에 전세를 살고 싶어하시고, 새로운 매수계획까지 너무 대단하신 것 같습니다.

먼저
1)1번 질문에 있어서는 현재 밝음맘님의 정확한 재정 상황을 모르기 때문에 투자코칭을 통해서 앞으로 가진 자산을 어떻게 만들고 갈아타기를 할 지에 대해 명확히 알아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저도 매년 1회씩 꼭 자산 관리와 어떻게 꾸려갈지 받고 계획을 세우고 있어요~!
<1:1 투자코칭>
https://weolbu.com/product/4751?inviteCode=7E80CF&utm_source=user_share&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user_share_button

2)기존주택 3년 내 처분 규정
보금자리론이나 안심전환대출 같은 정책모기지 대출은 1주택자 실거주 조건을 전제로 하기때문에 기존주택은 3년내에 처분해야하는 게 맞습니다. 다만, 전세를 준 상태로는 실거주로 간주되지 않는 점이 있어요. 2026년 1월에 보금자리론 실행시 2029년 1월까지는 기존주택을 처분해야할 것으로 보입니다.

3)전세만기시 공급
질문처럼 전세 만기가 28년 1월이면 만기 시점에 리스크가 발생할 수 있을 것 같아요. 그래서 공급을 피하기 위해서 먼저 들어오실 세입자분께 3년 계약을 먼저 제시하기도 합니다. 단 3년 계약시 말씀하신 것처럼 계약서상 3년 계약한다고 명시하기도 합니다. 먼저 들어오고 싶어하시는 세입자분이 혹시 분양이 되셔서 전세로 거주하시려는지 먼저 부동산 사장님을 통해 알아볼 것 같습니다^^

3)전세특약
전세특약은 꼭 필요합니다. 위의 공유해주신 url을 기본적으로 참고하시고 특약들과 함께 전세를 맞추시게 되면 꼭 이사 계획이 있거나 할 때 3~4개월 전에는 먼저 계획을 말씀해달라고 명시하는 게 필요합니다.(그래야 대비가 가능하기 때문에) 특약에 적어두고 캘린더에 표기해둔 후에 만기 시점 6개월 전에라도 연락하셔서 미리 세입자분의 이동 여부를 확인해야할 것 같아요!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앞으로 더 멋진 자산 이루시길 진심으로 응원하겠습니다!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