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지투기 31기 몽쉘입니다.
열중 강의를 듣고 반해버린 잔쟈니님께서
열강해주시는 지투기 2강
[지방투자 임장 효과적으로 하는 법+광역시급 수요를 가진 창원]

잔쟈니님 뜻이 궁금했는데
설명해주셔서 안 틀리고 딱!
창원이라는 지역의 이름을 처음 들은 건
바야흐로,,, 한참을 시간을 거슬러가서
학생 때 수업시간이었나,,, 그 때
경상남도에 있는 창원+마산+진해가
하나의 시로 통합된다는 이야기를 들었던 것?
그 때 당시에 각 시 주민들이 엄청 반대가 심했다…
이 정도 외에는 사실 창원과 전혀 연관이 없다 보니
크게 관심이 없었는데…
이번 2강을 통해 창원이 얼마만큼의 수요를 끌어당길 수 있는
그런 지역인지, 왜 광역시급이라고 하는지를
알 수 있게 되었습니다.
창원의 입지 가치! 직교학환공
창원이라는 도시에 대해 알아가고 친숙해지는 시간
접점이 없는 도시다보니 어떤 직장이 있고,
어떤 사람들이 거주하는지, 수요를 이끄는 곳은 어딜지,
왜 지역분석으로 이곳이 나왔을지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었던 시간입니다.
생각보다 확장성이 넓지 않아 재건축도 이루어지고
주변 지역과의 관계성도 고려해서 투자를 해야 함을
인식할 수 있었습니다.
[BM]
그 지역의 입지 가치, 선호도 결정요소!
사람들은 어디로 모이고 왜 모일까?
창원 투자전략 및 투자범위 잡는 법
창원 생활권별 가격과 투자 우선순위를 잡았으니
어떤 전략을 가지고 투자를 해야 하고
어디까지가 저가치가 아닌 물건일지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었습니다.
무엇보다 잔쟈니님께서 말씀하신
너무 투자범위를 제한하다보면 투자할 게 없다.
이곳에 살아야하는 수요가 있는 곳인지를
생각해보는 과정이 중요하다는 말씀이 와닿았습니다.
아직은 투자범위를 정확하게 잡는 것
시장에 따라 유연하게 변경할 수도 있는
인사이트가 부족하지만 그 부분들도
배워나가면서 채워나가도록 하겠습니다!
[BM]
투자범위를 편견을 가지고 제한하기보다
어디까지 투자할 수 있을까를 고민해보자.
창원이라는 낯선 지역에 대해서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고
가 본적 없지만 가 본 것 같고, 가보고 싶은 궁금증을 일으키는
잔쟈니님의 강의 덕분에 지방에 대한 인사이트가
조금 더 성장한 것 같습니다.
열중반 강의에서 잔냐니님의 강의를 처음 듣고
정말 명강의였는데 또 듣게 되어 정말 좋았습니다!
❤️❤️❤️
댓글
몽쉘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