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달에 무조건 투자할거다라는 목표인 경우
내가 가진 돈으로 할수 있는 최선의 투자를 하는 것이 목표이다.
첫번째, 이번달 임장지에서 최선의 투자를 찾아보는것.
내돈으로 할수 있는 물건으로 반드시 결론 내려보기.
다른 곳에 투자하고 싶어도 (서울이나 광역시) 반드시 이곳에서 투자물건을 뽑아야 한다.
<지역 내에서 비교평가 후 이것이 최선일까? 결론 내리기.>
두번째, 지금까지 만들어둔 앞마당에서 가격확인후 내 돈으로 할수 있는 물건을 찾아낸다.
시세트레킹, 앞마당원페이지 훑어보면 내 투자금으로 할수 잇는 지역이 보이고,
그곳을 전수조사해야한다.
지역간 비교평가 (저평가, 공급, 투자금) 고려후에
비교평가로 우선순위 세워보고
최종목표인 이돈으로 여기 투자한다 라는 결론을 내리면 된다.
투자를 할수 없는 상황인 경우
전국을 아는 투자자로의 성장이 목표.
시세를 보고 싼 곳을 파악할 수 있게끔 결론내리기
첫번째, 이번달 임장지에서 가치와 가격을 확인하고 어느정고 가격대와 투자금이 드는지 정리
n억이 있다면 어디가 싼거지? 고민
이번달 임장지에서의 투자결론 내리는것은 동일 (투자할수 있는 경우와 동일)
두번쨰, 앞마당 가격 확인 후, 억대별로 싼곳 알아두기, 투자금별로 싼곳 알아두기
앞마당에서 전수조사가 우선순위는 아니다
전국을 잘 아는 투자자로의 성장이 목표이기 때문.
그래서, 앞마당관리
시세트레킹(구에서 딱 10개라도) 하기
앞마당 우선순위 (비교평가) 하기 → 이때는 지역의 공급상황, 적정 전세가격인지 생각하는 과정 필요
1. 매매가 저평가 (5억대 저평가는?) 2. 투자금별 비교평가
임보의 목적을 알고 그에 맞는 행동하기.
투자할거라면 1. 이번달 임장지에서는 1)내돈으로 할수 있는 물건 비교평가 2)이것이 최선일까? 결론내리기
2. 앞마당에서 시세트레킹, 앞마당원페이지 후 내 투자금으로 할수 있는 지역 보이면 전수조사하기. 지역간 비교평가후 최종으로 여기에 투자하겠다는 결론 내리기
투자할수 없다면 1. 임장지에서 어느정도 가격대와 투자금 드는지 정리하고 얼마 있따면 어디가 싼지 고민하여 결론내리기.
2. 앞마당 시세트레킹하고, 앞마당끼리 비교평가 후 저평가 판단해본다. (바쁘다면 여기까지) 더 나아간다면 투자금별 비교평가도 해본다.
임장지에서 내동으로 할수 잇는 물건 비교평가
이것이 최선일까? 결론내리기
앞마당에서 원페이지 작성후 1군데 전수조사하기.
비교평가후 여기에 투자하겠다 결론내리기
챌린지에 참여하는 멤버에게 응원 댓글을 남겨주세요. 혼자가면 빨리 가지만 함께 가면 멀리 갈 수 있어요.🚶♀️🚶♂️
댓글
오상아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