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수강후기

[지기 31기 6조 킵고잉3335] 3주차 강의 후기 / 지방투자의 시대가 도래한다. 나는 그 시대를 잡는다. 이 투자는 나를 수도권으로 이끌어줄 것이다.

25.10.28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3주차 강의는 자음과모임님의 “부산” 강의였다. 

 

부산 역시 나에게는 너무 먼 곳이고, 내가 투자할 곳이라는 생각은 없었기에 조금은 가벼운 마음으로 듣기 시작했다.

 

부산에 투자할 생각이 없었던 이유는

  1. 구가 15곳이나 되는, 울산/창원에 비해 또한 광역시 중에서도 지방이라기보다는 수도권과 같은 느낌의 광활함.
  2. 그렇기에 임장하며 앞마당 만드는 것도, 임보쓰며 분석하는 것도 몇 배로 복잡하고 힘들 것 같음.
  3. 결국 투자 결론, 단지 결정에 시간이 많이 들 것 같음. 

 

이렇게 크게 3가지 였다. 

 

자모님의 강의를 들을 후, 나의 이런 생각은 틀린 것은 아니었다! ㅎㅎ

자모님께서 부산에 대해서 정말 콕콕 찝어주시는 것 따라가는 데도 숨이 찼다!!! ㅎㅎ 

 

만약 내가 이번 지투기를 바로 부산을 선택했다면, 해냈을지언정 정말 눈물 콧물 다 빼며 다녔을 것 같다. ㅜㅜ 

 

그렇지만, 부산은 정말 투자하기 좋은 시기이고 투자자라면 꼭 알아둬야 할 의미 있는 곳이라는 말씀은 이해했다! 

그래서! 시작단계인 지금은 그보다 작은 도시인 창원, 대구와 같은 곳들을 먼저 앞마당으로 잘 만들고, 

부산도 이후 꼭 앞마당으로 만들두어야겠다고 다짐!

 

정리가 안되는, 광역시별 특징 정리 최고! 

 

자모님께서 이렇게 지방을 한 번 쫘악 훑어주는 강의는 여기 지투기 밖에 없다 하셨고, 

앞으로도 지투기에서 이 시간은 꼭 가지고 싶다고 하셨다! 

(지투기를 반복해서 들어야 할 또 하나의 이유가 이렇게 생겨버렷다. ㅎㅎ +1111111111111 )

 

앞으로 지방 광역시 앞마당을 늘려가면서 각 광역시의 특징 어떤 부분에 초점을 맞춰서 해내가야겠다는

큰 그림이 어렴풋이 머리에 그릴 수 있는 시간이 있어서 좋았다. 

 

 

투자는 ㅂㅇ를 잘해야 수익도 나고 망하지 않는 거에요!

 

내 종잣돈 안에서 ㅇㅇ하고 ㅂㅇ하는 측면에서 수월한 것이 나에게는 더 좋은 것이다!

 

비슷한 2개가 있다면, 고민하다 매물 놓치기보다는 

둘 중 무엇을 해도 수익은 날 것이니 내가 가지고 있기 더 좋은 것을 선택하면 된다는 것! 

너무 둘 중 무조건 더~~~ 좋은 하나를 고르고자 시간을 너무 허비하는 것도 안좋다! 

 

갭이 1백만원으로 투자 하셨던 동료분 사례

 

물론, 실력이 먼저지만, 갭 1백만원 단지 찾으신 것도, 수익을 낸 것도 정말 대단하다고 생각하면서 들었다. 

나라면 저가치라고만 생각하고, 꼴랑 1백만원으로 무슨 투자야. 하며 그냥 거들떠도 안봤을 것 같은데,,,

 

ㅈㄱㅊ 이슈있는 아파트는 소액투자자인 나랑은 상관이 없다. 

 

아~ ㅈㄱㅊ 할 정도로 “ㅇㅈㄱㅊ”가 있는 곳이구나! 라고 이해하고 넘어가자!

내가 사는 지역도 ㅈㄱㅊ 이슈가 있는 곳들이 있어서,, 

계속 기웃거리게 되고 소액투자 말고 이런 큰거 한방을 해야 하는 거 아닌가 하는 마음이 한 번씩 올라오는데,,, 

현실을 잘 직시하자. 큰거 한방할 돈은 없다!!! ㅎㅎ 

 

실거주자들이 선호하는 단지를 알아볼 수 있는 실력을 키우자!

 

소액으로 했을 때 돈 벌 수 있는 걸 볼 수 있는 눈이 중요하다! 

 

ㄹㄷㅁㅋ 아파트를 봐야 하는 이유! 

 

사지도 못하는 ㄹㄷㅁㅋ 아파트 값을 왜 알아야 할까? 싶지만, 

형님이 가야 아우도 따라간다! 

 

ㄱㅈ를 낮추더라도, 할 수 있는 걸 해야 한다. 안하면 그냥 그대로 그 상태일 수 밖에 없는 것이다. 

 

각 구의 랜드마크 아파트를 ㅅㅅ로 해서 ㅅㅈㅎ를 나눠본다! 

 

그간 나는 나는 너무 각 단지별로 개별적으로 봤는데, 

생활권 뿐만 아니라 ㅅㅅ 를 기준으로 그룹핑을 해서 묶어보는 것도 정말 중요하겠구나! 

지금하고 있는 창원임장보고서에 꼭 이 장표를 추가해서 마무리 하자!!!

 

아직 마무리 하지 못한 임장보고서의 결론과, 

어떤 장표들이 꼭 들어가야 하는지, 

현재 내 투자금에 맞지 않는 단지여도 왜 꾸준히 시세트레킹을 해줘야 하는지, 

시세트레킹 할 때도 +3천, +5천 넓혀서 해보는 것이 왜 중요한지, 

 

3강을 들으면서 더 새롭고 깊이 알 수 있었다! 

 

이제 임장보고서에 적용하러 가보자!!! 


댓글


킵고잉3335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