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시대(연도)별 부산의 발전 지역 순서를 설명해주셔서 더 부산을 잘 알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으로 각 구 혹은 생활권을 기본부터 이해하고 접근할 수 있었습니다.
처음에는 지방 투자를 접할 때 시 전체를 하나로 보고 공급의 영향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머리에 입력되었습니다.
하지만 부산의 구별 인구 이동 자료를 통해서 부산 내에 동쪽과 서쪽으로 멀리 이동하는 인구가 많지 않아(단절되어 있을 정도?) 강서구의 대규모 공급이 일어나더라도 해운대구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음으로 해석될 수 있다는 점이 기억에 남습니다.
수도권 기준으로 내집마련 수강을 해서 그런건지 역세권의 요소가 지방을 바라볼 때도 자동으로 선호도와 연결하려는 생각들이 있었습니다. 그렇게 생각하기 보다 개별 단지 자체에 대한 선호와 환경, 학군이 어떤지를 우선해서 생각해야 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지방투자는 선호도를 파악하는 것인데 이때 수집한 데이터 중 실제 어떤 데이터가 유의미한 인과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를 알아내는 것이 핵심이라고 생각합니다. 데이터는 분임, 전임 등 손품으로 알 수 없는 것 까지 포함이구요.
그래서 자모님 강의 자료와 또 라이브 특강에서 첨부되었던 데이터를 스스로 수집해보고 선호도를 연결해서 밀도있는 임장보고서를 작성해보고자 합니다.
댓글
부자로건너뛰기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