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실전투자경험

부동산 잔금일, 꼭 직접 확인하세요 (5만 원 돌려받은 이유)[나알이]

25.10.31

안녕하세요

나날이 아름답고 이롭게 하고 싶은 나알이입니다.

 

오늘은 매수잔금 후

꼭 확인해야 할 사항에 대해 이야기드리고자 합니다.

 

매수 잔금일, 국민주택채권 꼭 직접 확인하세요

 

✅ 국민주택채권이란?

주택을 매수할 때 단순히 잔금만 치르고 끝나지 않고
등기, 취득세, 법무사비용 등 부수적인 절차들이 함께 따라옵니다.
 

이 중에 대부분 처음 들으셨을 수 있는 것이 바로 국민주택채권입니다.

 

국민주택채권은 국토교통부 산하 주택도시기금
서민 주거안정을 위한 국민주택사업 자금 조달을 위해 발행하는 채권입니다.

 

부동산을 매수할 때 국가가 의무적으로 매입하도록 한 채권으로
국토교통부 산하 주택도시기금이 서민 주거 안정을 위한 재원을 마련하기 위해 발행합니다.

 

즉 나라에서 “집을 사고 팔거나 대출을 받을 때 일정 금액만큼 채권을 사 주세요”
라고 의무화해둔 제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두 가지 상황에서 매입하게 됩니다.

  • 소유권 이전등기
  • 근저당 설정(대출 시)

✅ 누가 매입하나요?

실제 절차는 대부분 법무사가 대신 진행합니다.
등기 과정의 일부이기 때문이고 

채권 매입, 세금 납부, 서류 접수 등 하루 안에 끝내려면

위임하는 게 더 효율적입니다.

 

  • 법무사가 은행을 통해 채권을 매입
  • 같은 날 즉시 매도
  • 매입 시 발생한 실질 부담금(할인 손실액)을 매수자에게 청구합니다.

 

채권을 만기까지 보유하여 원금과 이자를 받을 수도 있지만 대부분 즉각 할인해서 팔아 현금화하게 됩니다. 

 

여기서 확인할 사항은

매일 채권 금액은 변동이 됩니다.

여기서 중요한 건 얼마를 할인 받냐인데

국민주택채권의 할인율이 높으면 채권 가격을 낮게 매입하여 바로 되팔기에 부담금이 줄어들게 됩니다.

 


 

✅ 매일 변동되므로 당일 확인

국민주택채권 매입 금액은
매매가가 아니라 시가표준액을 기준으로 산정됩니다.

 

시가표준액은 “부동산에 세금을 매길 때 쓰는 기준가”입니다.
즉, 취득세·등록세·국민주택채권 모두 시가표준액으로 계산됩니다.

 

이 금액은 지역, 거래유형, 시가표준액, 그리고 ‘할인율’에 따라 달라지는데
특히 앞서 말씀드린 것 처럼 할인율은 매일 변동됩니다.
그래서 잔금일 ‘당일’ 기준으로 확인하는 게 가장 정확합니다.

 


✅ 직접 확인은 어떻게??

  • 채권매입금액 조회: 국민주택채권 매입대상금액조회

매입대상금액조회 < 제1종국민주택채권 < 청약/채권 | 주택도시기금

 

  • 즉시매도 부담금 확인: 고객부담금 조회 : 당일 할인율을 기준으로 실제 내가 부담해야 하는 금액

고객부담금조회 < 제1종국민주택채권 < 청약/채권 | 주택도시기금

 


 

✅️ 왜 직접 조회해야 하나

법무사님께서 사전에 주신 견적서상 금액을

잔금 당일 이체 후

혹시 몰라 채권 부담금을 조회해보니 

5만원 정도 차이가 있었습니다.

 

단 3분 조회로 돈을 돌려 받을 수 있었습니다.

 

대부분 거래 경험에서 법무사님이 

당일 조회 후  견적서를 주셔서 상이한 적이 없었지만

우리가 부동산을 

공부하는 이유는 단지 자산을 늘리기 뿐 아니라

내 삶의 주도권을 갖기 위해서이기도 합니다.

 

그 시작은 바로

작은 금액 하나도 허투루 보지 않는 

태도에서 시작된다고 생각합니다.

 

CEO 마인드로 나의 작은 돈까지 지켜갈 수 있도록

꼭 확인하시길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


감또개
19시간 전

오오 이런 꿀팁 너무 감사합니다 !! 당일에 할인율 얼마인지 꼭 확인하겠습니다 😊😊

베르베린
18시간 전

잔금일에 꼭 확인해봐야겠어요 !! 나눔글 감사합니당 🩵

행동대장
15시간 전

챙겨야할 것들 잘 챙기겠습니다 ㅎㅎ 항상 도움되는글 감사합니다 튜터님

하트를 들고 있는 월부기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