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및 느낀점>
Q1. 투자에 대한 흔한 오해
- 리스크헷징? 분산투자? ‘모르는 것’이 유일한 리스크이다.
- 투자에 필요한 것 = 종잣돈 + 운 + 인풋(시간,노력,희생,멘탈싸움)
- 그런데 ‘한정된 인풋’으로 주식과 부동산을 둘 다 잘할 수 있을까? 없다!
(재테크는 50+50=50 이며, 100+0=100 이다)
- 분산투자는 ‘숲’이 되어서야 하는 것이다.
- 하나씩 쓰러뜨려야 한다.
→ 나의 마음을 들켰다. 나는 사실 둘 다 잘하려고 했다. 이게 잘못된 생각이라니 정말 충격이다.
사실 아직까지는 온전히 받아들이기가 힘들다. 그러나 이점을 인지하고, 생각하자.
Q2. 알파투자와 베타투자
- ISA(알파투자)로 부동산 종잣돈을 모은다는 생각은 ‘틀린’ 생각이다.
→ 이 또한 내 마음을 들켰다. 정확히 이런 계획이었는데, 이것이 ‘틀린’생각이라니,,, 충격이다.
이 또한 공부를 통해 온전히 이해해보도록 해야겠다…
Q3. 청년도약 vs 연금저축 vs ISA vs 예적금
- 일반인은 ‘기대수익’만 본다.
- 고수는 ‘리스크’와 ‘기대수익’을 본다.
Q4. 알파투자할 때 너나위님 스스로에게 묻는 질문은?
1. 적정한 범위인가? → 기준
2. 가치 대비 비싸지 않은가?(서울) 혹은 싼가?(지방) → 가격
3. 장기보유에 적합한가?(서울) 혹은 목표 매도가에 도달할 수 있는가?(지방) → 가치
Q5. 멀리서 보면 희극, 가까이에서 보면 비극
- ‘탁월한 성과’를 위해서는, 당연히 ‘탁월한 노력’이 필요하다. 명심하라.
Q6. 일이 행복하기도 불행하기도 한 이유
- 모든 해봐야 안다.
- 단 한가지 핵심가치 : 두려움 없이 적극성을 가지고 행동한다.
- 눈 앞에 해야 할 것들을 이전과는 다른 태도로 해보자.
<적용할 점>
1. 부동산과 주식을 동시에 할 수 없다는 점과 ISA로 종잣돈을 모을 수 없다는 점의 이유를 알아가자.
2. ‘탁월한 성과’를 위해서는 ‘탁월한 노력’이 필요함을 항상 명심하자.
3. 두려움 없이 적극성을 가지고 행동해보자.
4. 눈 앞에 해야 할 것들을 이전과는 다른 태도로 해보도록 시도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