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수강후기

[실전반33기11조 허ㅆ1허ㅆ1튜터님과초코쓰_라노] 실전반1강 - 권유디님 강의 @ 이 길이 맞을까에 대한 고민과 함께!

25.11.06

 최애 권유디님 강의 ! 강력한 규제속에서 저를 포함한 수강생들이 해볼만한 고민들에 대해 설명을 해주셔서, 흔들리는 시장속에서 다시 마음을 잡을 수 있었습니다. 언제나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25년 11월 현재 수도권 시장

✔ 오래 쉬면서 부동산 규제 이슈로 buying을 계속 외치실까 궁금했는데, 오히려 드라이브할 시기라고 말씀해 주셔서, 놀랐습니다.ㅎㅎ

 

✔ 현재 시장 사이클을 2017년과 비슷하다고 보시고 (금관구등 가격 변동 크지 않음, 투자자들 규제에도 가격이 오르는 상황에 실거주자가 아닌 투자자들 위주의 규제를함. ), 기회에서 사지 못하면, 앞으로 15년을 더 기다려야 할 수 도 있다는 생각으로  강력하게 드라이브 걸어야 할때라고 강하게 말씀해주셔서, 용기도 얻었습니다.

 

항상 본질을 잊지 말자.

비규제지역 풍선효과 주의 → 상급지와 가격 비교해보고 의사결정 필요.

 

✔ 10.15대책으로 영향

1. 토허가 지역 전월세 물량 부족현상 가속화 (전월세 신규 출연 안되는 것 뿐만 아니라, 재건축 & 재개발 기대감 감소 영향도 있음.

2. 매물감소 (세낀 물건)

3. 거래량 줄어드는 상황에서 가격 형성 

 ** 지금부터 거래가 안되는 기간이 기회일 수 있다. 

 

 ✔가격

- 전고점 넘은것 → 싸지 않음.

- 전고점 이하 → 비싸지 않음. 

- 전고점대비 -20% 이하 → 싸다.

 

저환수원리의 디테일

✅ 저평가 관련

 전고점대비 아래 구간에서는 절대적 저평가 보다는, 가치가 더 있는 단지를 우선으로 하자.

** 전고점대비 아래 구간에 해당하는 이야기임

정리 

✔ 절대적 저평가 : 전고점 보다 아래에 있는 가격

✔ 상대적 저평가 : 같은 투자금으로 더 좋은 단지 선택 

 

수익성 관련

부동산을 투자재로 보는 시각이 확대되면서, 전세가율과 무관하게 매매가가 반응중 → 전세가 상승 기다리면서 투자금 줄이는 전략이 유효하지 않을 확률이 커짐 → 내 투자금으로 가장 큰 수익이 기대되는 단지 하는 것이 가장 유리 

 

투자 사례 관련

 투자 원칙 지키면서, 묵묵하게 할것을 했던 유디님의 투자 생활을 보면서, 나도 언젠가 저렇게 되고 싶다고 생각했습니다. 힘든게 당연하다는 말씀, 평온한게 이상하다는 말씀 3개월정도 월부 생활을 안해보니까 마음 한켠에서 불편한 마음이 떠올라서 공감됐습니다. 원하는 것이 있다면 쉽게 가저갈 수 없다는 마음 가짐을 가질 수 있게 동기부여도 주신 멋진 강의였습니다.

 


고민!

 전세가율 대로 매매가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더이상 나의 영웅들이 했던 것 처럼, 투자금을 줄여 수익률을 높이는 투자가 유효하지 않을수도 있겠단 생각을 하게 되었다.

부동산 투자가 맞을까 하는 근본적인 생각도 지나간게 사실이지만, 주식투자를 볼 때, 성향상 잘 맞지 않고, 무엇보다 내가 가진 투자금 모두를 걸만한 확신이 있는 종목과 가격을 찾아내는 것이 어려울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정보 접근성이 더 뛰어나고, 스스로 공부를 통해 확신을 가질 수 있는 부동산 투자가 내게 좀더 맞지 않을까 생각하게 됨.

 

 주식 공부가 많이 부족한 상황에서 투자를한 문제도 있고, 1호기만 투자한 상태에서 속단하기는 힘들지만, 스스로 투자물건에 대한 확신 및 심리적 압박감 측면에서 부동산이 투자 생활 이어가는데 더 유리하다고 생각된다.

 

결국에 수익률만 바라보기 보다는, 자산을 쌓아 올리는 것만이 답인점을 계속해서 리마인드 해야함. 과거만 돌아보면서, 수익률 높은 투자 하기 어렵다는 생각보다는, 지금 처한 상황에서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하는 것에 집중해야 한다. 

 

목표를 투자로 생각하는게 아닌, 노후준비 관점에서 장기적으로 생각하면서, 처한 상황에서 할 수 있는 것을 하자. 매미킴처럼!

 

 

 


댓글


라노님~~ 저도 이번 강의 수익성부분 인상깊었습니다! 이제 시장에서 기회를 꼭 잡는 투자자가 되어요:) 후기 감사합니다💕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