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부동산Q&A

전세 연장시 고민(임대인 입장)

25.11.11

 



안녕하세요.

작년에 세낀 집을 매수하였고, 기존 매도인과 세입자분이 맺은 전세 계약을 제가 승계받은 상태입니다.

내년 4월 전세2년 만기가 되어서 얼마전 부동산 사장님으로부터 세입자분께서 계갱신청구하고싶다고 연락이 왔습니다.

 

1. 세입자께선 그 당시 세가 시세보다 비쌌다면서 이번엔 증액없이 기존 금액으로 연장하시길 원하신다는데, 임대인인 제 입장에서는 5%까진 아니어도 1~2천이라도 올리고 싶은데 이 경우 어떻게 협의하면 좋을까요? 그냥 기존 금액으로 원만하게 합의하는게 더 나은 선택일지(좋은 관계를 위하여), 아니면 부동산 통해서 의견을 전달하며 조율해야할지 또는 제가 직접 임차인분께 문자로 말씀드려야할지 궁금합니다. 만약 동의하지 않으시면 기존 금액으로 연장해야겠지만요.

 

2. 그리고 사장님통해서 임차인분과 가격 등을 협의하게되면 추후 부동산에서 재계약서를 쓰게되서 대필료를 지불을 해야할 듯한데요. 재계약이니 굳이 부동산끼고 안하고 임차인분과 직접 하고싶은 마음인데 그렇다면 애초에 지금부터는 부동산통하지말고 제가 직접 임차인분께 연락드려서 협의하는게 맞을까요?

 

3. 재계약 vs 계약갱신청구권 사용 중에 어떤게 더 나은 선택일지도 궁금합니다.

제 경우에는 갭투자(현재 토허제로 묶임)물건으로 임차인분께서 쭉 안정적으로 살아주셨으면 하는데, 계갱신 쓰시면 중간에 갑자기 나갈 경우 대처가 어려울 듯하여 안정적으로 기간채울 수 있는 재계약으로 하고싶습니다. 또 현재 제가 갖고 있는 전세계약서에는 매도인분의 서명이 되어있는 것이어서 이번에 새로 재계약서 쓰면서 제 이름넣고 다시 계약서를 쓰고 싶기도 하구요~

그런데 찾아보면 보통은 금액 조정이 크게 없는 경우는 재계약보단 계갱신을 쓰시는 것 같아서 어떻게 해야할지 고민이 됩니다.

 



 

 

월부 앱을 설치하고, 답변에 대한 알림🔔을 받아보세요! 
앱을 설치하는 방법은 앱 출시 공지사항 ← 여기 클릭!

 


댓글


잠토
25.11.12 00:02

안녕하세요, 폴올히님 매도인으로서 전세연장을 하시게 되었군요~ 1. 전세가 설정 - 이부분은 주변 단지들 전세가를 같이 살펴보면 좋을 것 같아요. 주변 나온 전세가들을 보았을때 가지고 계신 부동산의 전세가가 낮으면 올려도 되고, 현저하게 높으면 올리지 않고 연장 하는 방식으로 할것 같습니다. 2. 재계약 전세계약 - 전세계약 재계약부터는 부동산을 끼지 않고 작성하여 매도자와 임차인간의 싸인 또는 도장을 찍고 한부씩 가지시면 됩니다. 전세계약 연장계약서라고 검색하시면 양식이 많이 나올거에요~ 직접 임차인분께 연락하여 연장계약 하려고 하는데 시간 되시면 만나서 싸인하고 그게 아니면 등기로 하겠다고 어떤 방식이 좋냐고 여쭤보고 협의 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3. 계약갱신권은 전세보증금을 5% 이상 올렸을때 전세입자가 쓰는 권리입니다. 그래서 매도인이신 폴올히님이 전세 보증금을 5% 이상 올렸을때는 계갱권 쓰라마라 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고 임차인분께서 선택하실것 같아요. 만약 전세금을 올리지 않았다면 계갱권 안쓰고 하자고 권유해볼 것 같습니다. 답변 도움되셨길 바래요!

룰루랄라7
25.11.12 00:50

폴올히님 안녕하세요^^ 이번에 세입자분과 전세 연장 관련하여 고민 중이시군요. 1. 전세는 현재시세가 중요할 것 같습니다. 현재 시세가 기존 세입자분 전세보다 비싸다면 현재 시세를 근거로 증액을 말씀 드려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세입자분이 거부하시면 사실상 증액이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금액 관련해서는 부동산 사장님을 통해 먼저 이야기 해보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2. 전세 재계약은 부동산에서 20만원 정도로 대필 해주는 곳이 있기도 합니다. 비용을 아끼기 위해서는 부동산을 통하지 않고 따로 작성하시는 방법도 있습니다. 3. 재계약과 계약갱신청구권은 말씀은 드려볼 수 있지만... 임차인 분께서 결국 마음을 정하시기 나름인 것 같습니다. 세입자분과 원만한 합의가 이루어지길 바랍니다.

조에디
25.11.12 01:52

안녕하세요 폴올히님 1. 우선 5% 증액 될 때의 금액과 현재 시세가 중요할 것 같습니다. 만약 5%증액을 한다고 해도 현재시세보다 낮고, 임차인분께서 계속 지금 시세로 살기를 원하시면, "지금 현재시세는 이정도인데 5%증액해도 가격은 이정도다. 그래도. 세입자분께서 잘 써주시고 하시니까 5%정도는 아니고 3%정도는 증액정도로 하는 것이 어떠시냐?"라고 여쭤볼 거 같아요 2. 그런 경우에는 보통 임대인이 재계약 관련 계약서를 뽑아서 우편으로 보내거나 직접 찾아가서 도장한번만 찍어달라고 요청을 하더라구요! 3.지금 현재 전세가가 낮게 껴있다하면, 계약갱신권 쓰더라도 큰 일이 있지 않는 한 계속 사실것이라 예상이 되구요. 전세시장이 어떻게 될 지 모르지만, 현재 전세 물량은 계속 줄어들고 있고, 공급은 없는 상황이라 전세 가격은 장기적으로 볼 때 오를 수 밖에 없다고 생각이 드는데요. 만약 개갱권으로 인해 불안하다고 하시면, 임차인분한테 너무 좋으신분이신 거 같아, 오래 사셨으면 좋겠다. 계약갱신권 쓰면 별도로 저희가 재계약을 하지 않으면 나가셔야되는 상황이 오니 이번에 정식 재계약을 하시는 게 어떻겠냐?" 제안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